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제1장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11

1.2. 연구의 목적 15

1.3. 논문의 구성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8

2.1. 제 2언어 습득에서 문법 교육의 필요성 18

2.2.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 접근법 20

2.2.1.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21

2.2.2. 영어로 진행하는 문법수업 22

2.2.3. 문맥화 문법 교육 23

2.3. 교과서 분석을 통한 공교육 현장에서의 문법 교육의 실태 및 제한점 27

제3장 방법론 30

3.1. 참여자 30

3.2. 연구도구 32

3.2.1. 문법 능력 평가 사전·후속 사후 평가지 32

3.2.2. 설문지 33

3.3. 교수절차 36

3.4. 자료수집절차 41

3.5. 자료 분석 42

제4장 연구 결과 44

4.1. 문법 능력 평가 결과 분석 44

4.1.1. 사전·사후평가의 성취도 비교분석 44

4.1.2. 사전·후속사후평가의 성취도 비교분석 47

4.1.3. 후속사후평가의 성취도 비교분석 47

4.2.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 기술분석 49

4.3. 자기이해도 평가지 분석 52

4.3.1. 수업 이해도·흥미도·태도점수 결과 분석 52

4.3.2. 수업 이해도·흥미도에 대한 응답 결과 분석 53

제5장 논의 및 시사점 56

5.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6

5.2. 교수 현장에의 시사점 59

5.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의 시사점 61

5.4. 결론 63

참고문헌 64

부록 70

부록 1. 문법 능력 평가지 70

부록 2. 배경 설문지 74

부록 3. 정의적 태도 설문지 76

부록 4. 자기이해도 평가지 78

ABSTRACT 79

표목차

[표 2-1] 개별화된 예시문장의 예 24

[표 2-2] 문맥화 된 문법 연습 활동의 예 26

[표 3-1] 실험 연구 참여자 30

[표 3-2] 참여자들의 특성 31

[표 3-3] 사전 문법 능력 평가 결과분석 32

[표 3-4] 사전·사후·후속 사수 평가지 문항 구성 33

[표 3-5] 자기 이해도 평가 관한 설문지 문항 분류 34

[표 3-6] 사전·사후 설문지 문항 분류 35

[표 3-7] 교과서 활동 중심 집단 교수-학습 지도안 40

[표 3-8] 교과서 활동 확장 집단 교수-학습 지도안 40

[표 4-1] 사전·사후 성취도평가 대응표본 t검정 결과 44

[표 4-2] 집단별 사후 성취도평가 독립표본 t검증 결과 45

[표 4-3] 집단별 사후평가 이해도 독립표본 t검증 결과 46

[표 4-4] 집단별 사후평가 활용도 독립표본 t검증 결과 46

[표 4-5] 사전·후속사후 성취도평가 대응표본 t검정 결과 47

[표 4-6] 집단별 후속사후 성취도평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48

[표 4-7] 집단별 후속사후평가 이해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48

[표 4-8] 집단별 후속사후평가 활용도 독립표본 t검정 결과 49

[표 4-9] 사전·사후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 비교 분석표 50

[표 4-10] 집단별 자기 이해도평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52

[표 4-11] 수업 이해도에 관한 응답 결과 53

[표 4-12] 수업 흥미도에 관한 응답 결과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