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1.1. 연구 목적 11

1.2. 연구사 개관 12

1.2.1. 북한의 육진방언에 관한 연구 13

1.2.2. 중국의 육진방언에 관한 연구 14

1.2.3. 중앙아시아의 육진방언에 관한 연구 15

1.2.4. 선행 연구의 한계 16

1.3.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17

1.3.1. 연구 자료 17

1.3.2. 연구 방법 24

1.4. 논의의 구성 24

제2장 종결어미 연구를 위한 기본 논의 26

2.1. 종결어미 개관 26

2.2. 종결어미와 관련 범주 30

2.2.1. 문장종결법 30

2.2.2. 청자높임법 41

제3장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체계 및 형태적 특성 55

3.1.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체계 55

3.1.1. 기존 논의 55

3.1.2.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체계 67

3.2. 종결어미의 형태적 특성 69

3.2.1. 단일 형태 70

3.2.2. 복합 형태 71

제4장 육진방언 종결어미의 통사와 의미 77

4.1. 서술법 종결어미 77

4.1.1. 합쇼체 78

4.1.2. 하오체 94

4.1.3. 해라체 105

4.1.4. 반말 113

4.1.5. 요약 128

4.2. 의문법 종결어미 129

4.2.1. 합쇼체 129

4.2.2. 하오체 143

4.2.3. 해라체 147

4.2.4. 반말 160

4.2.5. 요약 167

4.3. 명령법 종결어미 169

4.3.1. 합쇼체 169

4.3.2. 하오체 174

4.3.3. 해라체: '-어(아)라' 178

4.3.4. 요약 180

4.4. 청유법 종결어미 181

4.4.1. 합쇼체: '-깁소' 182

4.4.2. 하오체: '-기오' 184

4.4.3. 해라체: '-자' 186

4.4.4. 요약 188

제5장 결론 189

5.1. 논의의 요약 189

5.2. 남은 문제 191

참고문헌 192

Abstract 206

표목차

〈표 1〉 제보자별 조사 일시 20

〈표 2〉 제보자 인적 사항 21

〈표 3〉 국어의 어미 체계 27

〈표 4〉 현대 국어의 문장종결법 분류 체계 35

〈표 5〉 북한 문화어의 문장종결법 분류 체계 40

〈표 6〉 육진방언의 문장종결법 분류 체계 41

〈표 7〉 현대 국어의 청자높임법 분류 체계 48

〈표 8〉 조선어 방언의 '계칭' 범주 (한영순, 1967:174) 51

〈표 9〉 북한 문화어의 청자높임법 분류 체계 52

〈표 10〉 육진방언의 청자높임법 분류 체계 54

〈표 11〉 서술법 어미 58

〈표 12〉 의문법 어미 62

〈표 13〉 명령법 어미 63

〈표 14〉 청유법 어미 64

〈표 15〉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체계 68

〈표 16〉 서술법 종결어미 목록 78

〈표 17〉 '-으꾸마/-스꾸마'와 '-으꽈니/-스꽈니'의 차이 88

〈표 18〉 서술법 종결어미의 통사적·의미적 특성 128

〈표 19〉 의문법 종결어미 목록 129

〈표 20〉 의문법 종결어미의 통사적·의미적 특성 168

〈표 21〉 명령법 종결어미 목록 169

〈표 22〉 명령법 종결어미의 통사적·의미적 특성 180

〈표 23〉 청유법 종결어미 목록 182

〈표 24〉 청유법 종결어미의 통사적·의미적 특성 188

그림목차

[그림 1] 함경북도 육진 지역 지도 19

[그림 2] 문장에서의 종결어미 지위 29

초록보기

 본고는 함경북도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목록과 체계를 밝히고 그들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지역 종결어미의 목록을 확인하고 종결어미의 다양한 통합관계, 제약 조건과 의미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본고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기존 논의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목록의 변화 및 그 변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구어 자료를 바탕으로 육진방언 종결어미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논의에 앞서 먼저, 현대 국어의 어미와 종결어미의 관계, 현대 국어에서의 종결어미의 지위를 살펴보았다. 종결어미는 문말에 위치하면서 서술어 기능뿐만 아니라 각 문장성분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문장 전체를 끝맺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종결어미를 서술어를 포함한 문장 전체 속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또한, 종결어미는 문말에 위치하면서 문장종결법을 실행하기도 하고 청자에 대한 높낮이를 통하여 청자높임법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종결어미를 다룸에 있어서는 문장종결법과 청자높임법을 떠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문장종결법과 청자높임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고, 이 지역 방언의 특성에 근거하여 문장종결법을 서술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청자높임법을 합쇼체, 하오체, 해라체, 반말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기존 체계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육진방언의 종결어미 목록의 변화 양상 및 변화 원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3.2.에서는 이 지역 종결어미를 단일 형태와 복합 형태로 나누고, 복합 형태를 다시 형태적 구성과 통사적 구성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종결어미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종결어미를 문장종결법과 청자높임법에 따라 분류한 후, 종결어미와 기타 문장 성분들과의 다양한 통합관계, 제약 조건 그리고 의미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육진방언의 종결어미에 대한 총체적인 요약과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남은 문제점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참고문헌 (27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80), “안동방언의 경어법”, 난정 남광우 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일조각, 235-253. 미소장
2 안동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소장
3 (2008), 남북한의 문법 연구, 박이정. 미소장
4 음운변이 및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전남 장흥 방언을 중심으로 소장
5 '오>우' 변화와 언어적 화석 : 전남방언을 중심으로 소장
6 언어 변화와 언어 유지의 원리 : 의문법 어미 '-니'의 확산을 중심으로 소장
7 전남방언 담화 표지 고찰 : 종결 담화 표지를 중심으로 소장
8 상대 높임의 조사 '-요'와 '-(이)ㅂ쇼'의 기원과 형성 과정 네이버 미소장
9 반말체의 등급과 반말체 어미의 발달에 대하여 소장
10 '-겠-'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의 발달 소장
11 중부 방언과 남부 방언의 '-소/오'계 어미들의 역사 : 명령법을 중심으로 소장
12 명령법 어미 '-게'의 기원과 형성 과정 소장
13 (2006), “‘-게 ㅎ-’로부터 발달한 종결어미들”, 언어학 46, 한국언어학회,61-79. 미소장
14 (2003), 국어 명령문에 대한 연구, 역락. 미소장
15 제정 러시아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 연구 네이버 미소장
16 現代國語의 終結語尾에 대한 構造的硏究 소장
17 (1976),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어학연구 12-1, 서울대 어학연구소, 17-53. 미소장
18 (1989), 국어형태론연구,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19 (2001), 역대한국어문법의 통합적 연구,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20 (2004), 북한의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박이정. 미소장
21 (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미소장
22 국어 의문법 어미의 역사적 연구 소장
23 국어의 문장 종류에 관한 역사적 고찰 :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을 중심으로 소장
24 (1995), 서술씨끝의 문법과 의미, 박이정. 미소장
25 (2003), 연변지역 한국어 의문법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2012), “연변 지역어 해라체 의문법 어미에 대한 일고찰-‘-아(어)’, ‘-았(었)대’, ‘-개’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 한국방언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8-220. 미소장
27 「 노한소사전 」의 국어학적 가치 네이버 미소장
28 咸鏡北道 六鎭方言의 音韻論 소장
29 (1994), “북한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인문과학 10, 경북대 인문과학연구소, 263-294. 미소장
30 동북 방언 소장
31 재외동포의 언어 연구 소장
32 六鎭方言의 現狀과 硏究 課題 소장
33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역사와 그 언어적 성격 소장
34 (2008), 중국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미소장
35 국어 융합형 부가의문문의 구조와 의미 소장
36 경북방언의 문장종결조사 {이}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37 현대국어 의 강조법 연구 ; 『 종결어미 』 류 결합 의 경우 소장
38 현대국어 의 약속문 어미 연구 소장
39 (1992),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미소장
40 (2001), 한국어 문법의 연구, 박이정. 미소장
41 (2004),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42 (2010), 중앙아시아 고려말의 문법, 서울대출판문화원. 미소장
43 (1988), 조선어문장론연구, 평양 :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미소장
44 명령어 어미 '-어라'의 형용사 결합에 대하여 : 감탄형 어미 '-어라'와의 통합적 설명을 중심으로 소장
45 (2001), 조선어 계칭의 역사적 고찰, 역락. 미소장
46 (1986), “否定 아닌 否定”, 언어 6-2, 한국언어학회, 99-116. 미소장
47 (1960), 국어문법론연구, 통문관. 미소장
48 (1972), 국어문법론, 일조각. 미소장
49 A Study of Change Type in Final Endings of Declarative Sentence 소장
50 (1959), 조선어 방언학 개요(상), 평양: 사회과학원출판사. 미소장
51 (1965), 조선어 방언학 개요(중), 평양: 사회과학원출판사. 미소장
52 육진 방언의 종결어미 연구 소장
53 (1992),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미소장
54 (1954), 조선어 문법 : 어음론, 형태론,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미소장
55 종결어미 '-니'의 기능과 의미 소장
56 '-느-'와 종결어미의 융합 소장
57 (2005ㄴ), 마침법 씨끝의 융합과 그 한계, 박이정. 미소장
58 (2006), 마침법 씨끝의 융합과 그 한계, 박이정. 미소장
59 중국 현대조선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소장
60 (1995), 문법형태의 역사적 연구, 박이정. 미소장
61 (1997), 문법형태의 연구 방법, 박이정. 미소장
62 (1982), 조선어 방언학,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미소장
63 Analysis of Fused forms and the Inventory of Final endings 네이버 미소장
64 논문 : 높임의 토씨 "요"에 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65 (1960), 조선어리론문법, 한국문화사. 미소장
66 (1988), 전남 방언의 서법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7 (2008), 한국어 형태론 연구, 태학사. 미소장
68 (2008), 함경남도 삼수지역어의 음운론, 역락. 미소장
69 (1981), “함경북도 종성군 방언(자료)”, 경기어문학 2, 경기대 국어국문학과, 239-258. 미소장
70 (1982), “咸北 六邑 方言 硏究”, 경기어문학 3, 경기대 국어국문학과,11-37. 미소장
71 (1986), 함경북도방언사전, 경기대 출판부. 미소장
72 영일 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소장
73 A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Sentence Ending Elements 소장
74 (2001), 국어 종결어미의 문법, 국학자료원. 미소장
75 The Meaning and Syntactic Character of " - ilkka " 네이버 미소장
76 평북 초산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소장
77 한국어 종결어미 '-ㅂ시다'의 의미 소장
78 (1973), 국어 완형보문법 연구, 탑출판사. 미소장
79 A Morphemic Analysis and the Sturcture of Korean 네이버 미소장
80 (1985),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미소장
81 (2001),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미소장
82 (2011ㄱ), “함경북도 육진방언의 평서형 종결어미”, 방언학 14, 한국방언학회, 63-84. 미소장
83 중국 조선어의 한어기원 한자어에 대한 고찰 소장
84 (2012ㄱ), “육진방언의 의문형 종결어미에 대한 일고찰”, 조선어연구 11,연변언어연구소, 123~135. 미소장
85 (2012ㄴ), “육진방언의 친족어 연구”, 중국조선어문 2012-2,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3-31. 미소장
86 (1983), 국어의 감탄문 문법, 보성문화사. 미소장
87 (1992), 조선말 역사 문법, 역락. 미소장
88 (2003), 한국어 문법론, 월인. 미소장
89 한국어 종결어미의 반복 순서 제약과 인칭의 문제 소장
90 제주방언 반말체 첨사의 담화기능 소장
91 (2012), “방언 문법과 국어학”, 국어학회 ․ 한국방언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10-127. 미소장
92 중국 연변 정암촌 방언의 상대경어법 소장
93 A Study on the Declarative Sentence Ending Forms - Comparison Formal Forms with Informal Forms - 소장
94 (1997), “육진방언의 특징”, 비교문화연구 제11집 2호, 비교문화연구소,245-254. 미소장
95 종결어미 '-지'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96 국어 반말 종결어미의 역사성 네이버 미소장
97 (1998), 한국어 반말체 종결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8 (2006),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미소장
99 (1964), 한국어구조론 3,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미소장
100 연변지역의 한국어 종결어미 연구 소장
101 고흥방언의 장형부정문 네이버 미소장
102 '잖' 구문에 대하여 소장
103 (1996), 현대 국어의 상대높임법, 전남대출판부. 미소장
104 (1987), 국어 의문문의 연구, 탑출판사. 미소장
105 한국어 청자 대우 등급의 형태론적 해석 네이버 미소장
106 (1990), “한국어 청자대우의 형태론적 해석(2)-‘오오체’에 대한 기술과 설명”, 기곡 강신항 선생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555-584. 미소장
107 (1993), “국어 경어법의 변천”, 한국어문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107-145. 미소장
108 (1996), “현대한국어 하오체 어미의 형태론적 연구”, 형태론 3-2, 박이정. 미소장
109 국어 방언 문법 차이의 기술과 설명 방향 소장
110 (1976), “현대국어의 대우법연구”, 어학연구 8-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미소장
111 (1984), 존대법 연구, 한신문화사. 미소장
112 (1994), 국어문법, 뿌리깊은 나무. 미소장
113 (1985), “국어의 명령형에 대하여”, 국어학 14, 국어학회. 437-461. 미소장
114 (1988), 국어활용어미의 형태와 의미, 탑출판사. 미소장
115 (1991ㄱ), “국어 활용어미의 체계화 방법”, 문법 1, 태학사. 미소장
116 (1991ㄴ), “국어의 어미와 통사규칙”,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김완진선생 회갑기념논총), 민음사, 676-698. 미소장
117 (1998), 문법 연구와 자료-이익섭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미소장
118 (1985),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미소장
119 (1998), “중국 무주촌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교육논총 12-2, 전주대교육문제연구소, 187-212. 미소장
120 A Phonological Study on Yanbian Areal Dialect 네이버 미소장
121 연변 혼춘지역 조선어의 진행중인 음변화 연구 : 구개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소장
122 음변화의 진행 과정 : 연변 훈춘지역 조선어의 구개음화를 중심으로 소장
123 (2005), “음운론적 변이와 변화의 상관성-함경북도 육진방언을 중심으로”,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4 '-잖-'의 의미, 전제, 함축 네이버 미소장
125 새김어휘연구 소장
126 The Language Change of Gurim Village 소장
127 (2002), “장성 지역어의 음운”, 석화 정재완 교수 정년 기념 논총, 석화정재완 교수 정년 기념 논총 간행 위원회, 509~525. 미소장
128 (2009). “19세기 후반 전주 지역어의 한 모습-지역어의 가치와 주변부 언어학의 재발견”, 2009년도 여름 우리말학회 전국학술발표대회. 미소장
129 Study on some problems with the morpheme of Korean 소장
130 (1990), “國語의 融合 現象”, 국어국문학 103, 국어국문학회, 121-137. 미소장
131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소장
132 終結語尾 '-ㄹ게'의 統辭的·意味的 情報 소장
133 (2012), “국어사와 방언-중세국어 어말어미 ‘-디’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한국방언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22-134. 미소장
134 연변방언의 조사와 어미 연구 소장
135 (1998), 종결어미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미소장
136 A Study on Discourse Markers 'ng'(응), 'ja'(야) in Hamgyeong Dialect 소장
137 (2012), “연변지역어의 종결어미 ‘-재(제)’에 대한 일고찰”, 국어학회 ․ 한국방언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99-207. 미소장
138 (1997), “국어 어미의 통사적 지위”, 국어학 30, 국어학회, 225-256. 미소장
139 A Diachronic Study on the Dialect of Housing Space 소장
140 A Study on the Housing Space Dialect 소장
141 A Phonological Analysis of Jeollanamdo Dialect: syilg and salgang 소장
142 어미 '-다고'의 의미와 용법 소장
143 (1994), “국어 청자 대우법에서의 힘(power)과 유대(solidarity)(1)-특히청자 대우를 중심으로”, 국어학 24, 국어학회, 291-318. 미소장
144 (1998), “문장종결법”,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359-394. 미소장
145 (2000),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집문당. 미소장
146 (2005), “국어 대우법의 통시적 이해”, 국어학 47, 국어학회, 321-541. 미소장
147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 종결어미 '-(으)ㄹ래, -(으)ㄹ게'를 대상으로 소장
148 한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 가정의 의미특성을 가진 접속어미를 중심으로 소장
149 A study on symbolic words in Honbul 소장
150 (2005),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미소장
151 (2008), 국어의미론, 역락. 미소장
152 명령어 어미 '-어라'의 형용사 결합에 대하여 : 감탄형 어미 '-어라'와의 통합적 설명을 중심으로 소장
153 우리말 상대높임 등급체계의 변천 연구 소장
154 「전남 북부방언의 상대높임법」 소장
155 (1986),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탑출판사. 미소장
156 한국어 방언들 사이의 상대높임법 비교 연구 소장
157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한국어 연구 소장
158 (2003),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미소장
159 국어 방언 연구의 새로운 길, 구술 발화 소장
160 동남 방언의 담화표지 '고마' 소장
161 星州地域語의 종결어미 연구 네이버 미소장
162 (1998), 방언, 태학사. 미소장
163 (2007), 한국어 방언학, 학연사. 미소장
164 (1976), “‘요’에 대한 연구”, 연세어문학 7-8, 연세대 국어국문학과,209-229. 미소장
165 서술종결형어미 '-단다'의 형성과 의미기능 분석 소장
166 (1992), “융합형의 형태분석과 형태의 화석”, 주시경학보 10. 미소장
167 (2004), 방언 연구-자료에서 이론으로, 태학사. 미소장
168 국어의 청자높임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소장
169 명령형 종결어미 '-게'의 형성에 대한 관견 소장
170 Study on the Confirmative Question and the Verbal Ending '- ci ' 네이버 미소장
171 The Structure of Sentence Final Forms in Current Korean -Chiefly on the Propositive- 네이버 미소장
172 Illocutionary Forces of the Sentence Final Forms in the Current Korean 네이버 미소장
173 반말어미의 형태 분석 Ⅱ : 무주지역어를 중심으로 소장
174 문말 첨사의 통사 · 의미적 특징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175 현대국어의 대우법 연구 소장
176 (2005), 현대 국어 의문사의 문법과 의미, 태학사. 미소장
177 (1974),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국어학 2, 국어학회, 39-63. 미소장
178 (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미소장
179 (1984), 방언학, 민음사. 미소장
180 (1991),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문법 1, 태학사. 미소장
181 (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미소장
182 (2003),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미소장
183 국어의 시제와 상에 대한 연구 소장
184 (1998), “상대경어법”, (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329-357. 미소장
185 (1975), “국어의 보문화에 대하여”, 어학연구 11-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77-288. 미소장
186 (2002), 국어 화용 표지의 연구, 월인. 미소장
187 (2008), 조사와 어미 그리고 통사구조, 태학사. 미소장
188 국어 종결어미의 의미 체계 연구 소장
189 (1996), 국어의 융합현상, 태학사. 미소장
190 음운 교체 양상의 변화와 공시론적 기술 소장
191 (2005),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미소장
192 (2009), 한국어 방언 연구, 전남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93 (2012), 한국어의 표준발음과 현실발음, 아카넷. 미소장
194 경북 서부방언의 종결어미 '-어여' 소장
195 경북 서부방언의 상대경어법 소장
196 국어 형태 변화의 원리 : 국어 형태 변화의 원리 네이버 미소장
197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사적 연구 소장
198 (1982ㄴ), “국어 종결어미의 발달에 대한 관견”, 국어학 11, 국어학회,143-163. 미소장
199 (1957), 새고등문법, 일조각. 미소장
200 (1964), 새 중등 문법, 일조각. 미소장
201 (1996), “어미 및 어미형태류의 하위 범주 문제-어미 ․ 조사의 한국어 사전 편찬 연구 1”, 국어학 28, 국어학회, 335-393. 미소장
202 종결 어미의 의미 특성과 그 사전 기술 방법론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203 국어 담화 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소장
204 경상방언 종결형 어미 '-ㄴ기라'에 대한 연구 소장
205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소장
206 (2008), “한국어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 의미학 26, 한국어의미학회,211-249. 미소장
207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소장
208 (1997), 북한의 문법론연구, 한국문화사. 미소장
209 (1998), 국어 문법의 심층 1, 태학사. 미소장
210 (2002),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211 (2005), 우리말에 대한 성찰, 태학사. 미소장
212 (2008),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213 국어의 부정의문문과 전제 소장
214 국어 부정의문문의 통사적 연구 소장
215 중세국어 종결어미에 대한 통시적 연구 소장
216 (1973), “화의 생성적 연구”, 어학연구 별권 9-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미소장
217 (2001), 조선어 문법 편람, 박이정. 미소장
218 (2002), “국어 활용어미의 방언 분화”, 국어학 39, 국어학회, 201-220. 미소장
219 (1988), 함경도 방언 연구,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미소장
220 (1988), “부정형태 ‘잖(찮)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문학회,283-294. 미소장
221 한글 네이버 미소장
222 안동 방언의 종결 어미에 대한 연구 소장
223 중국 연변 용정 지역 한국어의 곡용과 활용에 대한 연구 소장
224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소장
225 (1993),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회령, 경성, 함주 지방말의 음조를 중심으로, 태학사 미소장
226 (1996), 조선어방언학, 연변대학출판사. 미소장
227 (1998ㄱ),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미소장
228 연변 방언 소장
229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집필조(1985), 중국조선어실태조사보고, 민족출판사. 미소장
230 (2005), 중국 연변지역 조선어의 음운연구, 태학사. 미소장
231 한국어 용언 종결형의 문법 정보 표시 방법 소장
232 '-요'에 관한 총체적 연구 소장
233 西南慶南方言의 副詞化接辭 '-아'의 音韻現象 네이버 미소장
234 (1991), “어미의 재구조화에 대하여”,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김완진 선생 회갑기념논총), 민음사, 238-251. 미소장
235 (1997), “동남방언과 동북방언의 대조연구”, 국어학 연구의 새 지평, 태학사, 585-630. 미소장
236 방언 소장
237 中國延邊地域의 韓國語 硏究 소장
238 過去時制 語尾의 形成과 變化 소장
239 (2002), 함경북도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미소장
240 (2008), 현대한국어의 공시형태론: 경주지역어를 실례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241 A Study on the mood of Unjeon(운전) dialect in Pyeonganbuk-do 소장
242 (1996), “해라체의 종결어미 ‘-ㄹ다’와 예사낮춤의 ‘-ㄹ세/-ㄹ시/-시’의 형성과 방언적 발달, 선청어문 24, 서울대 국어교육과, 295-327. 미소장
243 (2004),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구조, 역락. 미소장
244 (2004),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미소장
245 (1973), 국어방언학, 형설출판사. 미소장
246 (1937), 우리말본, 경성: 연희전문출판부. 미소장
247 (1971), 우리말본(최종판), 정음문화사. 미소장
248 (2003),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태학사. 미소장
249 (1991), 국어종결어미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50 (2002), 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 역락. 미소장
251 (2004), 현대 우리말의 마침씨끝 연구, 역락. 미소장
252 (2006), 현대 우리말의 형태론, 역락. 미소장
253 (1962), “륙진방언연구(개요)”, 조선어학 2. 미소장
254 충남방언의 통사론적 연구 소장
255 (1967), 조선어방언학,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미소장
256 (2003), 륙진방언연구, 역락. 미소장
257 (2010), 한국어 복합종결어미 연구, 박문사. 미소장
258 Study on the Meaning of ‘-eulge’ and ‘-eulrae’ 네이버 미소장
259 국어 어미의 형태통사론적 특성과 기능범주의 투사 소장
260 (1975),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미소장
261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미소장
262 (1999),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문화사. 미소장
263 (1986), 동해안 방언연구,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미소장
264 (1999), 조선어 동서방언 연구,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미소장
265 (2011), 1960년대 육진방언 연구(자료편), 역락. 미소장
266 한국어대우법(韓國語待遇法)의 사회언어학적(社會言語學的) 기술(記述) -그 형식화(形式化)(Formularization)의 가능성(可能性) 네이버 미소장
267 (1990), 조선어방언조사보고, 연변인민출판사. 미소장
268 (1927), “함경남북도방언”, 조선어 17-19, 조선교육연구회, 1-34. 미소장
269 (1987), “An Introduction to Soviet Korea”, Language Reseach 23, Seoul National Univ. 미소장
270 (1991), Russian Sources on Korean Dialects, 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미소장
271 중앙 아시아 한인들의 언어;고려말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