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8
3. 용어정의 18
1)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18
2) 교사효능감 19
II. 이론적 배경 20
1. 통합환경에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20
1) 통합환경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20
2) 또래와의 사회적 능력과 다른 발달 영역과의 관련성 23
2. 통합환경에서 치료놀이 적용 24
1) 장애 유아의 치료놀이 적용 26
2) 통합환경에서의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 적용의 필요성 27
3.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31
1) 교사효능감 개념 31
2) 통합 환경에서의 교사효능감의 중요성 32
III. 통합환경에서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 프로그램 36
1. 프로그램의 목표 36
2. 프로그램의 구성 및 내용 37
1) 교사대상의 교육 및 치료놀이 체험 38
2) 전문가 수퍼비전 41
IV. 연구방법 43
1. 연구대상 43
1) 기관선정 43
2) 연구대상 장애 유아의 특성 43
3) 연구대상 교사의 특성 46
2. 연구설계 47
3. 측정도구 48
1)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 48
2) 유아의 행동변화 과정 평가 49
3) 교사효능감 척도 50
4. 연구절차 52
1) 프로그램 구성 52
2) 사전검사 52
3) 프로그램 실시 53
4) 사후검사 53
5) 추후검사 53
5. 자료분석 54
V. 연구결과 55
1. 통합환경에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 55
1)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 55
2) 프로그램실시 전과 후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분석 60
3) 프로그램 실시 과정에서의 개별아동의 행동변화 및 내용 68
2.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변화 114
1) 프로그램 실시 전과후의 교사효능감의 변화 114
2) 치료놀이 프로그램 실시 후 교사행동 변화 및 내용 116
VI. 논의 및 결론 122
1. 논의 122
1) 통합환경에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 122
2)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유지 124
3)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변화 125
2. 연구의 의의 127
1)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127
2) 교사효능감 128
3. 제언 130
1) 장애 유아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 효과 130
2) 교사효능감 130
참고문헌 133
부록 147
부록 1. 치료놀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표와 활동내용 148
부록 2.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기록표 149
부록 3. 교사효능감 설문지 151
부록 4. 각 연령별 교육과정 주제에 따른 치료놀이 프로그램 내용 152
부록 5. 교사교육 내용 160
부록 6. 2회기 교사교육 165
부록 7. 교사교육 시 치료놀이 프로그램 내용 171
ABSTRACT 177
그림. 1. 치료놀이를 적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38
그림. 2. A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68
그림. 3. B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73
그림. 4. C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77
그림. 5. D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81
그림. 6. E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85
그림. 7. F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88
그림. 8. G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92
그림. 9. H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96
그림. 10. I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100
그림. 11. J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104
그림. 12. K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107
그림. 13. L 아동의 행동변화 과정 110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 유아 통합환경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이론을 근거로 하였고,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들을 바탕으로 통합상황에서 치료놀이를 적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의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장애 유아 24명 중 12명씩 동일연령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교사 또한 22명 중 11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주 2회, 20회기 실시하였으며 치료놀이를 통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10회기로, 크게 치료놀이 교육과 집단치료놀이 실시 및 훈련으로 구성하였다. 치료놀이 교육은 4회기로 치료놀이 체험 및 원리와 기법, 활동계획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이후 교사가 실험집단의 장애 유아가 속해 있는 반에서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면서 네 번의 전문가 수퍼비전과 두 번의 동료 수퍼비전을 통해 훈련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척도와 교사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 실시과정 중 장애 유아의 행동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치료놀이 과정 평가표를 활용하였다.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교사효능감의 사전, 사후 추후검사 비교를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속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과 집단치료놀이 과정 중 행동은 전문가의 행동목록 평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통합환경에서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으며, 프로그램 과정 중 장애 유아의 행동 또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통합환경에서 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으며, 교사의 행동 또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추후겸사결과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교사효능감에 대한 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통합환경에서 교사를 통한 치료놀이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