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8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13

II. 상수역학의 전통 16

1. 한대 상수역학과 그 특징 16

1) 취상설의 유래와 성격 18

2) 맹희의 역학 28

3) 경방의 역학 29

2. 송대 도서학파의 성립 33

1) 진단의 상수학 36

2) 주돈이의 역학 38

3. 명대 상수역학의 특징 40

1) 상수학의 발달요인 41

2) 래지덕의 상수학 44

III. 태극도의 연원 47

1. 태극의 개념과 성격 48

1) 태극의 개념 48

2) 태극의 성격 53

2. 역도학의 특징과 태극도의 논리적 구조 56

1) 易圖學의 특징 56

2) 태극도의 논리적 구조 67

3. 태극도의 형성과 유래 73

1) 위백양의 참동계 77

2) 당대의 還丹五行功論圖 및 日月弦望圖 85

3) 진단의 선천태극도 87

4) 진단의 무극도 90

IV. 태극도의 시대별 유형 94

1. 송원대의 태극도와 그 유형 95

1) 진단의 선천태극도 95

2) 진단의 무극도 98

3) 태극선천도 102

4) 주돈이 태극도 104

5) 원대 衛琦의 무극도 110

2. 명청대의 태극도와 그 유형 112

1) 래지덕의 태극도 112

2) 청대 호후胡煦의 循環太極圖 117

3. 조선의 태극도와 그 유형 118

1) 權近의 十二月卦之圖 119

2) 曺植의 태극도 120

3) 鄭齊斗의 太極陰陽象卦方位節氣之圖 125

4) 李滉의 太極圖 127

5) 張顯光의 太極圖與易相合之圖 130

V. 태극도의 도상학적 세계 133

1. 태극도와 시공간적 세계관 135

1) 진단의 무극도 135

2) 주돈이 태극도 141

2. 태극도의 본체론과 인간의 본성 151

1) 래지덕의 원도와 본체론 153

2) 曺植의 學記圖와 인간의 본성 162

3. 태극도의 천인합일론적 세계관 170

1) 원형의 태극도 170

2) 다층형의 태극도 177

VI. 태극도와 매체이론 188

1. 매체철학의 문제의식 188

1) 함축성의 생명력 190

2) 매체의 형상화 194

2. 태극도의 도상학적 특성 196

1) 取象歸類와 재현성 198

2) 인식체계와 선험성 200

3. 태극도의 도상학적 세계관의 이해 204

1) 시대정신에 의한 세계관의 이해 204

2) 천인합일의 이념성 관계 206

VII. 결론 208

參考文獻 211

ABSTRACT 217

국문초록 219

그림목차

그림 1. ①선천태극도 ②후천태극도 73

그림 2. 수화광곽도 81

그림 3. 삼오지정도 81

그림 4. 월체납갑도 84

그림 5. ① 還丹五行功論圖 ② 日月弦望圖 86

그림 6. ①참동계의 월체납갑도(日月 象) ②선천태극도(四正卦 배열) 90

그림 7. ①참동계 ②무극도 92

그림 8. 진단의 선천태극도 96

그림 9. 무극도 100

그림 10. 태극선천도 103

그림 11. 주돈이 태극도 105

그림 12. 주희가 수정한 태극도 106

그림 13. ① 무극도 ② 태극선천도 ③주돈이태극도 108

그림 14. 衛琦의 無極圖 111

그림 15. ①선천태극도 ②복희팔괘방위도 ③문왕팔괘방위도 ④래지덕원도 114

그림 16. 循環太極圖 118

그림 17. 十二月卦之圖 120

그림 18. 三才一太極圖 122

그림 19. 太極與通書表裏圖 125

그림 20. 太極陰陽象卦方位節氣之圖 126

그림 21. 第一太極圖 129

그림 22. 太極圖與易相合之圖 131

그림 23. ①복희팔괘방위도 ② 문왕팔괘방위도 ③ 원도(태극도) 156

그림 24. 월체납갑도 173

그림 25. 선천태극도 174

그림 26. 복희팔괘 방위도 174

그림 27. 문왕팔괘 방위도 175

그림 28. ①래지덕의 원도(태극도) ②정제두의 태극음양상괘방위절기지도 176

그림 29. ①참동계 ② 무극도 178

그림 30. 무극도 179

그림 31. 주돈이 태극도 181

그림 32. 後天太極圖 182

그림 33. 태극여통서표리도 185

초록보기

 동아시아 문화에서 『주역』과 '태극'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주역은 우주의 현상과 운행원리를 함축하고 있는 반면, 태극도는 『주역』이 포괄하고 있는 원리와 사유를 해석하여 전달함으로써 인간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인식하는데 기여한다. 더 나아가 태극도는 인간이 정의와 사람으로서의 도리라는 틀 속에서 진정한 삶의 가치를 찾도록 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유구한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 태극도가 우주론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인류의 고민들 즉, 생명, 윤리·도덕, 인성수양에 관한 물음에 답을 제시하는 하나의 상징으로써 동아시아 문화의 정신적 지주의 역할 또한 도맡아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상학 중심의 접근방식을 통해 태극도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상수역학의 범주에서 한 가지 접근방법은 『주역』의 원리와 사유를 포괄하는 태극도의 담지체로서의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함축된 세계관을 인간에게 전달하는 태극도의 소통체계로서의 기능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처럼 태극도가 『주역』의 사유를 포괄하고 전달하는 역할과 기능을 통틀어 일종의 함축과정으로 개념화한다면 취상설과 취의설에 대한 구분이 가능하며, 이들은 각각 태극도의 특성을 함축성과 상징성 또는 재현과 소통이라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네 가지 속성을 이해하기 위해 본고는 상수역학 및 태극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또한 『주역』에서의 괘상과 괘의를 포괄한 괘효상은 우주·천체의 자연현상과 이치를 형상화하였으므로 『주역』을 小宇宙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주역』을 태극도를 통해 설명하려면 만물의 형상을 괘상으로 함축·전환했던 과정을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연구의 엄밀성 제고를 위해 본고는 취상설과 취의설의 유래는 물론 상수학의 특성을 漢, 宋, 明 시기의 시대적 특성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태극도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중심은 태극도의 유형과 그것이 포괄하는 이념의 철학적 의미이다. 때문에 『주역』의 원리와 이념을 재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원형 또는 다층적 형태 등 다양한 유형의 태극도에 영향을 준 철학적·역학적 원리들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여러 유형의 태극도가 지니는 차이와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각각의 도상을 중국의 송·명시대는 물론 한국의 조선시대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태극도가 지니는 매체로서의 가치에 기초하여 태극도의 도상학적 세계관으로 고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접근방식을 이용하는 이유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태극도가 역사의 시대별 사상, 이념, 세계관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존엄성과 존재가치에 대한 인식을 효율적으로 지도하는 유일한 방법으로서의 정통성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진단의 무극도와 주돈이의 태극도 각각에 있어서의 이념성향을 시공간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한편, 래지덕의 태극도는 본체론적 시각에서 고찰하였고, 조식의 태극도는 인성회복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