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II. 연구배경 11

1. 일반적인 당뇨 식사요법 11

2. 현미밥과 채식 12

1) 현미 12

2) 채식 14

3) 이안평가법(李安評價法, Lee-Ahn Evaluation, LAE) 17

III. 연구 방법 29

1. 연구대상 선정 및 기간 29

2. 연구재료 29

3. 영양교육 30

4. 연구방법 34

1) 설문지 조사 34

2) 신체계측, 혈당 및 혈압 34

3) 영양섭취 수준 34

4) 혈액의 생화학 검사 35

5) 선택치료식의 요구도와 만족도 조사 35

6) 이안평가법(李安評價法, Lee-Ahn Evaluation, LAE) 35

5. 통계방법 36

IV. 결과 및 고찰 37

1. 조사대상자의 연령분포 37

2. 조사대상자의 지역적 특성 38

3. 조사대상자의 유병기간 40

4. 현미밥채식 입원환자의 약물 중단 시기 40

5. 조사대상자의 생활습관 41

6.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치 44

7. 조사대상자의 현미밥채식 섭취 전 혈압 및 혈당 46

8. 조사대상자의 현미밥채식 섭취 전 생화학적 지표 분석 48

9. 조사대상자의 현미밥채식 섭취 후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 50

1) 열량 및 3대 영양소 섭취량 50

2) 비타민 섭취량 55

3) 무기질 섭취량 58

10. 조사대상자의 현미밥채식 섭취 후 생화학적 지표 변화 61

11. 현미밥채식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 69

12. 현미밥채식의 이안평가 74

V. 요약 및 결론 84

VI. 참고문헌 87

초록 97

Abstract 99

부록 102

List of Tables

Table 1. Kinds of taste and character 19

Table 2. Desire of tast 20

Table 3. Desire of characters 21

Table 4. Ten types of character 22

Table 5. Grade of taste and character 23

Table 6. List of Θ character value(Cv)(이미지참조) 24

Table 7. List of Θ character value(Cv) 25

Table 8. Area of food value 26

Table 9. Nutrition education for the inpatients 33

Table 10. Ag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37

Table 1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39

Table 12. Duration of illness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40

Table 13. Interruption of prescription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group 41

Table 14. Life style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43

Table 15.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45

Table 16. Blood pressure level and blood sugar level in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47

Table 17. Serum levels of lipids, creatinine, hemoglobin and HBA1c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49

Table 18. Mean energy, nutrients contents in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52

Table 19. Effect of fatty acid in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54

Table 20. Effect of Vitamin in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57

Table 21. Effect of Mineral in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60

Table 22. Change in serum lipid level,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group for 4 weeks 63

Table 23. Change in serum lipid level,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for 4 weeks in diabetic diet group 65

Table 24. Change in serum lipid level,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et and diabetic diet group 68

Table 25. Lee-ahn evaluation of boiled brown rice & vegan breakfast 76

Table 26. Lee-ahn evaluation of boiled brown rice & vegan lunch 77

Table 27. Lee-ahn evaluation of boiled brown rice & vegan dinner 78

Table 28. Lee-ahn evaluation of boiled brown rice & vegan 79

Table 29. Lee-ahn evaluation of diabetic diet breakfast 80

Table 30. Lee-ahn evaluation of diabetic diet lunch 81

Table 31. Lee-ahn evaluation of diabetic diet dinner 82

Table 32. Lee-ahn evaluation of diabetic diet 83

List of Figures

Fig. 1. Demand of the choice diet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70

Fig. 2. Satisfaction of taste for the choice diet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72

Fig. 3. Satisfaction of service for the choice diet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73

초록보기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서구화된 식생활로 생활 습관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인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로 식이요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먹거리는 방사능 오염과 어육류 및 우유에 대한 불신으로 현미밥과 채식을 권장하는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대구의료원에서는 당뇨병 및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으로 입원한 남녀 환자 68명을 대상으로 입원기간 동안 선택 식단 중 현미밥과 채식을 선택한 환자에 대하여 영양소 섭취수준 조사, 생화학적지표 분석 및 식이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섭취한 식사의 영양 성분을 CAN(Computer Aided Nutritional) pro. 3.0으로 분석하여 2010년 한국인 평균 영양 섭취량과 비교 검토한 결과, 열량, 지질, 콜레스테롤, 나트륨, 칼륨이 낮았으며, 탄수화물, 식이섬유, 인, 비타민 A, 비타민 B₁, 비타민 B6, 나이아신,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 철분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영양 교육을 통하여 병원 식사 외의 간식섭취를 스스로 조절하게 하였으며,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입원 기간 동안 여러 항목을 조사한 결과, 4주 입원 기간 동안 체질량지수는 26.3 ± 1.7에서 24.3 ± 0.6 (p<0.001), 총 콜레스테롤은 189.4 ± 8.0 mg/dL에서 136.7 ± 9.1 mg/dL(p<0.01), 중성지방은 176.2 ± 20.1 mg/dL 에서 100.8 ± 9.3 mg/dL(p<0.001)로 유의적으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DL-콜레스테롤은 51.5 ± 2.2 mg/dL에서 59.4 ± 1.9 mg/dL(p<0.05)로 높았다

공복혈당은 182.6 ± 16.5 mg/dL에서 136.8 ± 14.4 mg/dL, 식후혈당은 238.8 ± 27.11 mg/dL에서 178.6 ± 19.2 mg/dL, 당화혈색소 8.3 ± 0.4% 에서 7.8 ± 0.3%로 감소효과를 보였다. 수축기혈압은 153.3 ± 3.8 mmHg에서 130.4 ± 2.8 mmHg, 이완기혈압은 94.0 ± 1.0 mmHg에서 82.4 ± 1.9 mmHg로 감소하였다

이안평가법에 의한 약선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 한 결과, 현미밥·채식 식단은 양(+)의 맛(陽味)인 단맛(甘), 매운맛(辛), 담백한 맛(淡)과 음(-)의 맛(陰味)인 쓴맛(苦), 떫은맛(澁)이 혼합되어 있고 선상치가 발생(發生)으로 보기(補氣), 청열(淸熱), 소식(消食), 이수(利水)의 효능을 나타내고, 일반 당뇨식의 식단은 선상치가 배출(排出)로 보기(補), 보혈(補血), 활혈(活血), 이기(理氣)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당뇨병 입원환자가 선택한 현미밥채식은 주치의의 처방에 따라 약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중단하였는데도 혈압, 혈당 조절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당화혈색소 수치도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