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I. 서론 9

1. 연구 배경 및 목적 9

2. 연구 범위 및 방법 10

3. 연구 흐름도 11

II. 이론적 연구 12

1. 공간에 대한 이론적 연구 12

1.1. 공간에 대한 이해 12

1.2. 건축적 공간 13

1.3. 회화적 공간 14

2. 영화적 공간 16

2.1. 영화공간에 대한 이해 16

2.2. 영화공간의 구성 요소 16

3. 색채에 대한 이론적 연구 22

3.1. 색채의 특성 22

3.2. 색채 및 시지각 22

3.3. 색채의 연상 24

4. 영화 색채상징 및 상징 구조 26

4.1. 색채상징 26

4.2. 영화 속의 색채상징 27

4.3. 영화 색채상징 구조 및 사례 분석 29

III. 독립 단편 영화 〈그와 그녀〉 분석 36

1. 영화 줄거리 36

2. 〈그와 그녀〉 색채상징 분석 37

2.1. 독립상징-여주인공의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 38

2.2. 독립상징-남주인공의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 41

2.3. 부분상징-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 43

IV. 결론 47

참고문헌 49

Abstract 51

부록 53

[표 1] 무채색 연상언어 통계표 25

[표 2] 유채색 연상언어 통계표 25

[표 3] 〈붉은 사막〉 색채상징 의미 28

[표 4] 색채상징 구조 세 가지 단계 29

[표 5] 영화 색채상징 구조 세 가지 단계 29

[표 6] 〈화양연화〉 인물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 30

[표 7] 〈영웅〉 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 32

[표 8] 여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1 38

[표 9] 여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2 38

[표 10] 여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3 39

[표 11] 여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4 40

[표 12] 남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1 41

[표 13] 남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2 41

[표 14] 남주인공 복장 색채상징 의미 분석3 42

[그림 1] 연구 흐름도 11

[그림 2] 원시시기 벽화 14

[그림 3] 고대 이집트 벽화 14

[그림 4] 〈산로마노의 전투〉, 파올로 우첼로 15

[그림 5] 〈아비뇽의 처녀들〉, 피카소 15

[그림 6]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뒤샹 15

[그림 7] 〈글래디에이터〉, 리들리 스콧 18

[그림 8] 〈블루 벨벳〉, 데이빗 린치 18

[그림 9] 〈씬 시티〉, 프랭크 밀러 18

[그림 10] 〈씬 시티〉, 프랭크 밀러 18

[그림 11] 〈씬 시티〉, 프랭크 밀러 19

[그림 12] 〈베로니카의 이중생활〉,키에슬로브스키 19

[그림 13] 〈악마를 보았다〉, 김지운 19

[그림 14] 〈사쿠란〉, 니나가와 미카 20

[그림 15] 〈세 가지 색 제1편 - 블루/자유〉,키에슬로프스키 20

[그림 16] 〈시계태엽 오렌지〉, 스탠리 큐브릭 26

[그림 17] 〈세 가지 색 제1편 - 블루〉, 키에슬로프스키 26

[그림 18] 〈세 가지 색 제3편 - 레드/박애〉, 키에슬로프스키 28

[그림 19] 〈고백〉, 나카시마 테츠야 34

[그림 20] 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1 43

[그림 21] 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2 44

[그림 22] 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3 44

[그림 23] 시퀀스 색채상징 의미 분석4 45

초록보기

 영화 예술은 시간과 공간을 결합한 종합 예술로, 그 탄생부터 백 년 동안 발전과 진화를 거쳐 성숙하고 풍부한 이미지 언어로 성장했다. 영화 공간은 화면이 드러나는 방식에 따라 화면 내부 공간과 화면 외부 공간으로 나뉜다. 그 중 내부 공간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화면을 이차원의 스크린에 투사한 3차원의 공간, 즉 관객들에게 직접 보여주는 구체적인 공간이다. 그러므로 관객들에게 영화의 줄거리와 주제 사상을 전달하는 과정 중에 어떻게 영화 시각언어를 활용할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색채는 영화의 화면 공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사물에 대한 객관적인 반영일 뿐만 아니라 색채가 상징성을 가지기 때문에 인간들에게 심리 영향과 일정한 감정 효과를 생기나게 한다. 영화의 창작자가 색채의 상징 의미를 활용하기를 통해 관객에게 영화의 주제와 내포를 더 깊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색채는 영화 언어의 일부분으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꼭 구체적인 사물에 붙어 있어야 한다. 영화에서 색채는 세 가지 구조적 층면에서 그것의 상징적 의미를 전달해야 한다. 우선, 색채는 구체적인 인물의 의상과 화장 색채와 같이 결합해야 한다. 의상과 화장 색채는 인물 마음 속 세계의 외연과 물질화, 즉 인물 마음속에 있는 감정의 직접적인 표현이다. 둘째, 영화는 줄거리의 발전에 따라 크게 몇 시퀀스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는 데 여기서 색채는 시퀀스에서 구체적인 장면, 인물, 조명과 함께 결합하여 각 시퀀스로 하여 일종의 통일된 색채 추세를 띠게 하고 일정한 주제와 내포된 의미를 상징하게 해 준다. 셋째, 영화 주제와 줄거리에 따르면 어떤 때에는 하나의 색조가 전체 영화를 일관되어 이 색조가 어느 한 경향으로 치우치게 하여 상징적인 목적을 달성하고 영화의 전체적인 색조는 영화로 하여금 하나의 완벽한 스타일을 형성하게 한다.

본 논문은 위에서 이론을 근거로 수많은 우수 영화에서 공간 표현과 색채 사용 및 상징 분야에서 대표성을 가진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색채의 상징성이 실제 영화에서 활용된 표현 방법과 특징을 파악한다. 이를 근거로 개인 작품 〈그와 그녀〉를 창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