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2

제1장 서론 13

1.1. 연구 배경 13

1.2. 연구 목적 14

1.3. 연구 범위 15

제2장 반도체산업 발전과정 16

2.1. 반도체산업 정의 16

2.2. 반도체산업 발전과정 21

제3장 반도체산업과 시장동향 26

3.1. 세계 반도체시장과 기술동향 26

3.1.1. 세계 반도체시장 현황 및 전망 26

3.1.2. Global 업체 설비투자 전망 28

3.1.3. 세계 반도체 장비시장 현황 및 전망 30

3.1.4. 공정별 반도체장비시장 현황 및 전망 32

3.1.5. 글로벌 장비산업 현황 34

3.1.6. 반도체 기술동향 36

3.2. 국내 반도체장비시장과 수급구조 39

3.2.1. 반도체장비 시장동향 39

3.2.2. 반도체장비 수출·입 현황 41

3.2.3. 주요 장비군별 국내 주요 공급업체 44

3.2.4. 국내 주요 장비군별 선도기업 현황 46

3.2.5. 국내 소자·장비·부분품기업간 수급 구조 48

제4장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 분석 51

4.1. 반도체장비산업 중요성 51

4.1.1. 반도체장비산업 위치 및 연계성 51

4.1.2. 반도체장비산업 경제성 55

4.2.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 분석 58

4.2.1. 공정장비별 산업경쟁력수준 58

4.2.2. 공정장비별 국산화율 61

4.2.3. 반도체장비 개발 및 국산화 사례 62

4.2.4. 반도체장비별 국산화 가능성 64

4.3. 450㎜ 대구경화 분석 66

4.3.1. 450㎜ 경제성 분석 66

4.3.2. 세계 주요 반도체업체별 대응 동향 71

4.3.3. "450㎜ 대구경화에 대응이 필요한가"에 대한 결론 76

제5장 반도체장비산업발전 방안 77

5.1. 수급기업간 동반성장 협력 77

5.2. 글로벌 경쟁력 강화 81

① 내부 방안 81

② 외부 방안 82

5.3. 연관 산업과의 시너지 창출 82

5.4. 반도체장비산업 부문별 발전방안 제언 85

제6장 결론 89

참고문헌 91

부록 92

Abstract 106

표목차

〈표 1.1〉 국내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 14

〈표 2.1〉 반도체 주요 장비 및 기능 18

〈표 2.2〉 반도체장비의 주요 부분품 19

〈표 2.3〉 반도체 제조장비별 요소기술 20

〈표 2.4〉 시스템산업 발전에 따른 주요 국내 반도체산업 발전사 21

〈표 2.5〉 한국 반도체산업 발전 연대기 23

〈표 3.1〉 세계 반도체시장 전망(제품별) 27

〈표 3.2〉 세계반도체 설비투자 전망 28

〈표 3.3〉 Global 업체 설비투자 전망 29

〈표 3.4〉 2011년 TOP 10 반도체기업 시설투자 전망 29

〈표 3.5〉 세계 반도체장비시장 동향 및 전망(지역별) 30

〈표 3.6〉 공정별 반도체장비시장 현황 32

〈표 3.7〉 반도체 공정장비별 시장 전망 33

〈표 3.8〉 세계 반도체장비 TOP 10 기업 일반 현황 34

〈표 3.9〉 반도체 공정별/장비별 선도기업 현황 35

〈표 3.10〉 국내 반도체장비시장 현황 39

〈표 3.11〉 국내 반도체장비 수급현황 추이 40

〈표 3.12〉 반도체장비 수출·입 현황 41

〈표 3.13〉 반도체장비 주요 수출국 현황 42

〈표 3.14〉 반도체장비 주요 수입국 현황 43

〈표 3.15〉 반도체 주요장비별 국내 주요 공급업체 현황 44

〈표 3.16〉 국내 주요 장비업체 사업부 및 매출 현황 46

〈표 4.1〉 국내 반도체장비시장 비중 55

〈표 4.2〉 반도체 전/후방산업 시장규모 비교 55

〈표 4.3〉 2011년 국가별 반도체 및 장비시장 점유율 56

〈표 4.4〉 반도체장비 국가별 산업경쟁력 비교 58

〈표 4.5〉 국내 주요 반도체장비/부분품 국산화율 61

〈표 4.6〉 반도체장비별 국산화 가능성 분석 64

〈표 4.7〉 200㎜ / 300㎜ 웨이퍼 팹의 항목별 생산비용 66

〈표 4.8〉 현재 450㎜ 채택 기업과 향후 채택 가능 기업 74

〈표 5.1〉 국내 반도체소자업체의 혁신 전략 78

〈표 5.2〉 수요업체의 국산 반도체장비 구매의사결정요인 및 변수 79

〈표 5.3〉 반도체 연관산업 장비시장 규모(2011년) 83

〈표 5.4〉 연관산업간 원가경쟁력 핵심 요소 차이 83

그림목차

〈그림 2.1〉 반도체 공정/장비/소재 개념도 17

〈그림 2.2〉 디램업체별 5개년 평균 영업이익율 25

〈그림 2.3〉 업체별 디램 CAPEX 변화 25

〈그림 3.1〉 세계 반도체시장 전망(응용처별) 26

〈그림 3.2〉 반도체기술 추구방향 36

〈그림 3.3〉 시스템반도체 기술발전 방향 37

〈그림 3.4〉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기술발전 방향 38

〈그림 3.5〉 국내 반도체산업 Value Chain 45

〈그림 3.6〉 반도체산업 생태계 48

〈그림 3.7〉 국내 반도체산업 장비/부분품 수급구조 48

〈그림 3.8〉 신흥국 기업의 글로벌화 유형과 발전 방향 49

〈그림 4.1〉 반도체 제조원가 비중 변천 추이 52

〈그림 4.2〉 반도체산업 가치 사슬 흐름도 53

〈그림 4.3〉 반도체장비산업 수급기업간 협력관계 53

〈그림 4.4〉 반도체산업과 타 산업의 연관성 57

〈그림 4.5〉 국내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 저하 요인 59

〈그림 4.6〉 정부의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강화 지원정책 만족도 60

〈그림 4.7〉 수요기업의 반도체장비산업 경쟁력강화 지원정책 만족도 60

〈그림 4.8〉 반도체 생산팹별 제품 생산단가 비교 67

〈그림 4.9〉 웨이퍼 전환에 따른 비용 비교 70

〈그림 4.10〉 450㎜ 경제성 분석 검토 방법론 70

〈그림 4.11〉 450㎜ 글로벌 컨소시움 G450C 조직도 71

〈그림 4.12〉 450㎜ 글로벌 컨소시움 G450C 일정 계획 71

〈그림 4.13〉 인텔 450㎜ 전환 Milestone 72

〈그림 4.14〉 국내 반도체장비업체 G450C 접근 방법 76

〈그림 5.1〉 반도체 D램 제조업체 변화 추이 78

〈그림 5.2〉 국내 수요기업의 장비업체 글로벌화 지원 방안 80

〈그림 5.3〉 국내 반도체장비업체 수요산업별 재무자료 분석 84

〈그림 5.4〉 국내 반도체장비업체 글로벌화를 위한 정책과제 85

〈그림 5.5〉 반도체 부분품·소재 평가인증시스템 개념 85

초록보기

 최근 반도체산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즉 공정기술의 한계 봉착과 메모리시장 정체 그리고 컨넥티비티를 중심으로 한 IT환경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메모리시장 정체는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이 갖고 있는 심각한 딜레마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우리나라 반도체장비산업의 발전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우리나라 반도체산업 발전사를 살펴보고, 그리고 우리나라 반도체산업 및 반도체장비산업의 현 주소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 반도체장비산업이 향후 나아갈 방향을 예견하여, 세계 반도체시장 및 기술경쟁력을 유지/확보하고 나아가 글로벌 장비업체로 성장하는데 기여코자 한다. 이를 위해 세계 및 국내 반도체 장비시장 및 기술동향과 450mm 대응전략, 반도체산업 Value Chain 그리고 장비업체간 경쟁 현황을 비교분석해 보고,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토대로 우리나라 반도체장비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