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0

제2절 연구목적 11

제2장 이론적 배경 13

제1절 청소년범죄의 의의 13

1. 청소년의 개념 13

2. 청소년 범죄의 개념 13

3. 청소년시기의 특성 14

4. 청소년범죄의 특성 15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5

제3장 연구방법 19

제1절 연구대상 19

제2절 측정도구 19

1. 한국판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도구 MMPI-A(MMPI for Adolescents) 19

2. MMPI-A의 이론적 근거 22

3. MMPI-A 특징 24

(1) MMPI-A의 결정문항 26

(2) MMPI-A의 강점과 장점 26

(3) 한국판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감사도구(MMPI-A)의 임상적 유용성 27

4. 한국판 청소년용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도구(MMPI-A)의 해석 28

(1) 타당도척도 29

(2) 임상척도 32

(3) 내용척도 37

(4) 성격병리 5요인 척도(PSY-5: Personality Psychopathology 5) 42

제3절 연구문제 및 가설 43

제4절 분석방법 44

제4장 연구 결과 45

제1절 사회 인구학적 특성 45

제2절 일반청소년 집단과 범죄소년 집단의 MMPI-A 비교 46

1. 임상척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비교분석 46

2. 성격병리 5요인 척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비교분석 48

3. 임상 소척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비교분석 49

4. 내용 척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의 비교분석 52

제5장 요약 및 논의 54

참고문헌 60

Abstract 63

〈표 1〉 다면적 인성검사-청소년용(MMPI-A)척도 요약 (478문항) 20

〈표 2〉 집단별 빈도분석 45

〈표 3〉 일반 인문계 중학생의 연령에 대한 빈도분석 45

〈표 4〉 범죄소년 집단의 연령에 대한 빈도분석 46

〈표 5〉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잡단의 MMPI-A임상척도의 독립변인 T-검정 46

〈표 6〉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잡단의 MMPI-A성격병리 5요인 척도의 독립변인 T-검정 48

〈표 7〉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잡단의 MMPI-A임상소척도의 독립변인 T-검정 49

〈표 8〉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잡단의 MMPI-A내용척도의 독립변인 T-검정 52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일반청소년집단과 범죄소년집단의 MMPI-A검사를 실시하여 그 프로파일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심리적 특성 중 어느 프로파일의 척도가 상승하는지, 집단 평균의 차이는 얼마나 보이는지, 그 이유와 원인을 유추해 보고자, 인문계 중·고등학생의 일반청소년집단과 소년교도소에 수감된 범죄소년집단을 대상으로 MMPI-A 프로파일에 대한 독립변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척도 Mf와 0척도 Si를 제외하고, 1척도 Hs, 2척도 D, 3척도 Hy, 4척도 Pd, 6척도 Pa, 7척도 Pt, 8척도 Sc, 9척도 Ma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이는 범죄의 원인으로 남성성-여성성요인이나 내향성요인과는 상관이 없음이 시사된다. 범죄소년집단MMPI-A 임상척도의 평균 점수를 보면, 4척도 Pd(59.55점)가 가장 높았다. 이는 임상적으로 범죄의 요인으로 반사회성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범죄소년MMPI-A 성격병리 5요인 척도의 평균 점수를 보면, DISC척도가 67.66점으로 다른 척도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청소년집단과 범죄소년집단 간 평균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면, DISC(20.87점), NEGE(9.73점), AGGR(8.31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행의 성격적요인으로 통제결여적 요소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음이 시사된다. 범죄소년MMPI-A 임상소척도의 평균 점수를 보면, Pd2척도(58.71점), Pa1척도(56.22), Pd5척도(56.23점) Hy척도(55.58점), D1척도(55.00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죄소년들이 권위적인 대상과 상당한 불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피해의식에 사로잡혀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청소년집단과 범죄소년집단의 MMPI-A 내용척도분석결과, A-las척도와 A-sod척도를 제외하고, A-anx, A-obs, A-dep, A-hea, A-aln, A-biz, A-ang, A-cyn, A-con, A-lse, A-fam, A-sch, A-trt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는 범죄의 내용적인 요소로 낮은포부(낮은 성취성, 주도성결여)와 사회적 불편감(내향성, 수줍음)은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시사된다. 이는 범죄를 저지르는 데 있어, 청소년들의 미래에 대한 포부의 높고 낮음이나, 성격적인 수줍음 등의 내향성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 다는 것을 시사한다.

범죄소년MMPI-A 내용척도 척도의 평균 점수를 보면, A-sch척도(61.09점), A-fam척도(57.14), A-con척도(56.68점), A-anx척도(55.46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범행의 내용적인 주원인이 학교와 가정에 있음이 시사된다. 이것이 품행문제와 불안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