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7
1. 서론 8
1.1. 연구배경 8
1.2. 연구목적 9
2. 자료 및 방법 10
2.1. 광양항 주변해역 특성 10
2.1.1. 해양기상자료 10
2.1.2. 해양물리자료 10
2.2. 광양항의 항만 현황 10
2.2.1. 항만시설 현황 및 능력 12
2.2.2. 광양항 주변해역의 주요 기본시설 13
2.3. 광양항 안전성 분석 방법 19
2.3.1. 여수항 및 광양항 항법 규정 19
2.3.2. 광양항 선박운항 안전성 분석 방법 20
2.3.3. 광양항 항로 혼잡도 분석 방법 20
3. 결과 및 고찰 24
3.1. 광양항 주변해역 특성 24
3.1.1. 해양기상 특성 24
3.1.2. 해양물리 특성 27
3.2. 광양항의 입항 실적분석 31
3.2.1. 톤수별 척수변화 분석 31
3.2.2. 년도별 척수변화 분석 32
3.3. 조위에 따른 선박입항 분석 결과 33
3.4. 광양항 운항 안전성 분석결과 44
가. 여유수심 검토 결과 45
3.5. 광양항 항로 혼잡도 분석 결과 51
3.5.1. 광양항 연간 수송량 51
3.5.2. 선박 크기별 총톤수 비율 53
3.5.3. 선박 평균 총톤수 57
3.5.4. 장래(2015년, 2020년) 예상 선박 척수 60
3.5.5. 광양항 항로혼잡도 분석 결과 65
3.5.6. 혼잡도 완화 대책 방안 및 해상 교통 관제 방안 65
4. 결론 및 전망 67
참고문헌 68
Abstract 69
Fig. 2.1. Main facility in Gwangyang port 11
Fig. 3.1. Tide diagram of Gwangyang and Yeosu tidal station 29
Fig. 3.2. Vessel changes by tonnage 31
Fig. 3.3. Vessel changes by years 32
Fig. 3.4.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3 34
Fig. 3.5.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4 35
Fig. 3.6.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5 36
Fig. 3.7.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6 37
Fig. 3.8.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7 38
Fig. 3.9.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8 39
Fig. 3.10. Vessel changes by tide in 2009 40
Fig. 3.11. Vessel changes by tide in 2010 41
Fig. 3.12. Vessel changes by tide in 2011 42
Fig. 3.13. Vessel changes by tide in 2012 43
Fig. 3.14. Transport volume of coastal vessel 52
Fig. 3.15. Transport volume of oceangoing vessel 53
Fig. 3.16. Annual gross tonnage ratio of coastal vessel 55
Fig. 3.17. Annual gross tonnage ratio of oceangoing vessel 57
본 연구는 광양항 활성화를 위한 도선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부두 및 항로의 대형선박 입항현황을 파악하고, 조석과 조류의 연관성을 도출하여 선박운항 안정성 및 항로 혼잡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광양항에 입항하는 선박은 10년전에 비해 약 28%가 증가하였고, 흘수 19m이상의 선박을 제외한 컨테이너선, 일반화물선, 위험물선 등 흘수가 낮은 선박은 조위의 제약 없이 입항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항로 이용선박 및 광탄선의 경우 모든 조석 조건(대조기, 중조기, 소조기)에서 항로 전구간에 걸쳐 조위를 이용한 수심확보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만재흘수 상태로 입항하기 위해서는 일부 항로 구간의 준설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교통 혼잡도 평가 결과 2015년 까지는 해상교통 혼잡도가 허용한계값 이내에 속해 있었지만 2020년이 되면 3항로 및 4항로를 현재 형태로 사용한다면 약 10%이상 허용한계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항로폭 확장 등의 방법으로 해상교통 혼잡도를 해소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광양항의 해상교통 안전성 및 혼잡상황의 해결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준비가 필요함을 감안하여 빠른 시일 내에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등에 광양항의 개선방안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