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1

II. 연구 대상 및 방법 13

2.1. 연구대상 13

2.2. 연구재료 14

2.3. 연구방법 15

2.3.1. 칫솔관리 방법에 관한 조사 15

2.3.2. 구강건강상태 검사 15

2.3.3. 세균측정 및 관찰 16

2.3.4. 통계분석 18

III. 결과 19

3.1. 구강건강상태와 칫솔 세균량의 상관관계 19

3.2. 칫솔 관리 방법 간의 상관관계 20

3.3. 칫솔의 세균량과 칫솔 관리 방법 간의 상관관계 21

3.4. 칫솔세척방법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 22

3.5. 칫솔보관장소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 22

3.6. 칫솔의 세균량과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한 칫솔 세균의 양과 운동성의 상관관계 23

IV. 고안 24

V. 결론 26

참고문헌 27

부록 29

〈부록 1〉 설문지 29

〈부록 2〉 구강검사 및 세균량 기록부 30

Abstract 31

Table 1. 연구대상 13

Table 2. 구강미생물 관찰기준 18

Table 3. 구강건강상태와 칫솔 세균량의 상관관계 19

Table 4. 칫솔 관리 방법 간의 상관관계 20

Table 5. 칫솔의 세균량과 칫솔 관리 방법 간의 상관관계 21

Table 6. 칫솔세척방법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 22

Table 7. 칫솔보관장소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 22

Table 8. 칫솔 세균량과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한 칫솔 세균의 양·운동성의 상관관계 23

Figure 1. 고압증기멸균기로 멸균된 봉투에 수거한 칫솔 14

Figure 2. ATP측정기기 및 Ultra-snap™ kit 16

Figure 3. 세균측정 방법 17

Figure 4. 위상차현미경(DCS6002) 및 세균관찰 방법 18

초록보기

 칫솔질은 매일 하루에도 수차례 행하는 습관적인 행동 중의 하나로 칫솔을 사용하는 습관, 관리 방법에 따라 여러 환경으로부터 발생되는 세균이 다량 존재 할 것이며, 칫솔질을 반복할 때마다 오염된 칫솔을 통하여 많은 세균이 입속으로 옮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저자는 칫솔을 사용하는 행동 및 관리방법에 따른 칫솔 세균량을 알아본 후 향후 올바른 칫솔 관리방법의 기준을 삼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은 20대 일반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들이 사용 중인 칫솔을 수거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 하였다. 칫솔을 사용하는 행동 및 관리방법은 일일칫솔질횟수, 칫솔 세척시간, 사용하는 칫솔의 개수, 칫솔 교체시기, 실험에 사용한 칫솔의 사용기간, 칫솔의 세척방법, 보관 장소에 대한 문항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구강건강상태와 칫솔 세균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식검사와 치주낭깊이를 측정하였다.

칫솔의 세균측정은 ATP측정기(model: SystemSURE Plus™ ATP Luminometer, 제조원:미국, 판매원:(주)메덱스)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세균의 종류와 운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닥터프리벤트사의 위상차현미경(DCS6002)을 이용하여 40배 대물렌즈로 세균관찰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칫솔 세균량과 구강건강상태의 관계, 칫솔 세균량과 칫솔 관리방법 간의 관계, 칫솔의 세균량과 현미경으로 관찰한 세균의 양‧운동성의 관계는 Pearson′s의 correlation coefficient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칫솔의 세척방법, 보관 장소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은 one way ANOVA test 및 Scheffe 검정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론은 얻었다.

1. 칫솔 세균량과 우식경험영구치(r=-.095, p=.346), 치주낭깊이 (r=-.060, p=.553)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칫솔의 세균량과 칫솔질의 횟수 (r=.201, p=.045), 칫솔의 개수(r=.248, p=.013), 칫솔의 교체시기(r=-.247, p=.025)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칫솔의 세척방법, 보관 장소에 따른 칫솔의 세균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칫솔 세균량과 위상차현미경으로 관찰한 세균의 양(r=.254, p=.011) 및 운동성(r=.310, p=.002)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칫솔의 세균을 줄이기 위해서는 칫솔을 여러 개 갖고 번갈아 가며 사용하고, 사용기간을 줄여 칫솔을 자주 교체해야 하며, 칫솔질을 한 후에는 반드시 여러 번 물로 헹구어 충분히 세척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