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 요지 9
I. 서론 11
1. 연구의 배경 11
2.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14
3. 연구의 방법 15
4. 유사문헌연구 17
II. 이론적 배경 21
1. 순수미술의 상업성 고찰 21
1.1. 예술에 대한 접근과 인식 21
1.2. 순수미술의 상업적 측면 22
2. 상업미술의 예술성 고찰 25
2.1.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차이점 25
2.2. 미적 대상으로서의 상업미술 27
2.3. 팝 아트와 상업미술 33
3. 회화와 광고의 관계 고찰 44
3.1. 광고에서 회화의 이용 44
3.2. 회화와 광고의 상호작용 48
4.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소비 마케팅 분석 50
4.1. 미술의 감상 및 소비형태와 변화 50
4.2. 아트 마케팅과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활성화 53
4.3. 미술과 사회적 경계 57
5.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양상과 현황 60
5.1. 문화의 사회적 융합과 아트 콜라보레이션 60
5.2. 팝 아트와 아트 콜라보레이션 63
5.3.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유형 및 사례 고찰 69
5.4. 국내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 고찰 84
III. 연구설계 및 검증 108
1. 연구가설 및 변수의 조작적 정의 108
1.1. 연구가설1A 110
1.2. 연구가설1B 111
1.3. 연구가설2 112
1.4. 연구가설3 113
2. 조사의 대상 및 방법 114
2.1. 자료수집 방법 114
2.2. 설문지 작성 및 구성 115
2.3. 통계적 분석기법 116
3. 분석의 기초조사 및 특성 116
3.1. 표본의 일반적 특성 116
4. 설문결과 분석 124
4.1. 일반적 특성에 의거한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125
4.2. 일반인 응답자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예술성 인식 분석 129
4.3.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주관적 인식 분석 130
5. 연구가설의 검증 132
5.1. 연구가설1A의 검증 132
5.2. 연구가설1B의 검증 137
5.3. 연구가설2의 검증 143
5.4. 연구가설3의 검증 147
IV. 결론 153
참고문헌 157
부록_설문자료 163
Abstract 168
[그림I-1] 연구의 흐름도 17
[그림II-1] 독일 브라운의 오디오 제품 28
[그림II-2] 독일 브라운의 오디오 제품 28
[그림II-3] 브라운의 스피커와 애플의 아이맥 컴퓨터 29
[그림II-4] 브라운의 TV와 애플의 아이맥 컴퓨터 29
[그림II-5] 브라운의 라디오와 애플의 아이팟 30
[그림II-6] 브라운의 계산기와 애플의 아이폰에 계산기 어플을 실행한 모습 30
[그림II-7] 런던 지하철 광고 포스터 31
[그림II-8] 아사히 맥주 광고 포스터 32
[그림II-9] 오늘날의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멋지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Just what is it that makes today's homes so different, so appealing?), 리처드 해밀턴, 콜라쥬, 26x25㎝, 1956 34
[그림II-10] 발코니에서 (On the balcony), 피터 블레이크, 캔버스에 유화, 121x91㎝, 1957 35
[그림II-11] 비틀즈의 페퍼 상사의 외로운 밴드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앨범 재킷, 피터 블레이크, 1967 36
[그림II-12] 키스 해링의 모티브를 이용한 스마트폰 케이스 38
[그림II-13] 리히텐슈타인의 작품을 패러디한 외환은행의 매체 광고 42
[그림II-14] 그녀는 풍족한 상황에 있다 (Hers Is a Lush Situation), 리처드 해밀턴, 1958, 혼합매체, 81x122㎝ 43
[그림II-15] 200개의 캠벨 수프 깡통 (200 Campbell’s Soup Cans), 앤디 와홀, 182.9x254㎝, 1962 44
[그림II-16] 존 밀레이의 유화를 사용한 Pears 비누 광고(1886) 46
[그림II-17] 예술행사를 후원하는 형태의 아트 마케팅 54
[그림II-18] 데미언 허스트가 디자인한 카멜 담배 56
[그림II-19] 꾸르베의 “안녕하세요 꾸르베씨 (Bonjour, Monsieur Courbet)” (1854)와 당시 대중적으로 유행하던 “방황하는 유태인(Wandering Jews)” 판화 61
[그림II-20] 데미언 허스트가 디자인한 Beck’s 맥주(가운데, 1995) 64
[그림II-21]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예(M-maybe), 캔버스에 유화, 152x152㎝, 1965 66
[그림II-22] 와홀의 실크스크린 작품 예 (Green Monroe), 1962 67
[그림II-23]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BMW 아트 카 (1977) 74
[그림II-24] 제프 쿤스의 BMW 아트 카 (2010) 75
[그림II-25] 달리의 샤토 무통 로쉴트 아트 콜라보레이션 (1958) 76
[그림II-26] 키스 해링의 샤토 무통 로쉴트 아트 콜라보레이션 (1988) 77
[그림II-27] 스티븐 스프라우스의 루이 비통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작품 예 80
[그림II-28] 무라카미 타카시의 루이 비통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작품 예 80
[그림II-29] 리처드 프린스의 루이 비통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작품 예 81
[그림II-30] 쿠사마 야요이의 루이 비통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작품 예 81
[그림II-31] 앤디 와홀의 앱솔루트 보드카 광고 (1986) 83
[그림II-32] 키스 해링의 앱솔루트 보드카 광고 (1986) 84
[그림II-33] 하상림과 LG 전자의 DIOS 냉장고 아트 콜라보레이션 (2006) 86
[그림II-34] 하상림, Untitled, mixed media on canvas, 2005 86
[그림II-35] LG전자와 이상민, 하상림, 김지아나의 휘센 에어컨 아트 콜라보레이션(2008) 87
[그림II-36] 이상민, Blue wave, 판유리에 조각, 60×60㎝, 2006 88
[그림II-37] 김지아나, 점으로부터, 점으로, 2007 88
[그림II-38] 현대자동차의 i40 아트카 (카림 라시드) 89
[그림II-39] 현대 자동차의 그랜저 아트카 (반 고흐) 90
[그림II-40] 기아자동차의 쏘울 아트카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90
[그림II-41] LG 명화 시리즈에 사용된 원화와 광고 이미지 예 92
[그림II-42] LG 명화시리즈 광고 예 93
[그림II-43] 쌤소나이트와 이용백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2012) 93
[그림II-44] 이용백, 엔젤 솔저, 2005 94
[그림II-45] 이동기와 하이트 맥주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2011) 99
[그림II-46] 이동기의 쌍용자동차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2011) 99
[그림II-47] 이동기, Bubbles, 캔버스에 아크릴, 300x400㎝, 2008 101
[그림II-48] 이동기, Brain scan, 캔버스에 아크릴, 120 x120㎝, 2010 102
[그림II-49] 이동기, Revolution, 캔버스에 아크릴, 145.5x112.1㎝, 2010 102
[그림II-50] 이동기, Brain Scan, 캔버스에 아크릴, 120x180㎝, 2011 103
[그림II-51] 이동기, 휴대폰을 든 여인, 캔버스에 아크릴, 160x100㎝, 2012 103
[그림III-1] 응답자군별 및 성별 응답자 수 117
[그림III-2] 전체 피설문자의 성별 및 군별 분포 118
[그림III-3] 작가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응답자 수 118
[그림III-4] 작가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분포 비율 119
[그림III-5] 일반인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응답자 수 119
[그림III-6] 일반인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분포 비율 120
[그림III-7] 전체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응답자 수 121
[그림III-8] 전체 피설문자의 연령대별 분포 비율 121
[그림III-9] 전체 피설문자의 직군별 및 연령대별 응답자 수 122
[그림III-10] 전체 피설문자의 직군별 및 연령대별 분포 비율 122
[그림III-11] 전체 응답자의 순수회화와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복수응답) 125
[그림III-12] 창작자군의 순수회화와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126
[그림III-13] 작가군의 순수회화와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126
[그림III-14] 미술전공 대학생 응답자의 순수회화와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127
[그림III-15] 일반인의 순수회화와 상업미술의 구분요소 128
[그림III-16] 일반인의 연령별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예술 간주도 129
[그림III-17] 일반인의 연령대별 아트 콜라보레이션 작가 호감도 130
종래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교류는 광고를 통해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1960년대 팝 아트가 출현한 이후 두 분야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기업이 미술을 포함한 예술을 광고에 이용하기도 하고, 또 예술 행사 및 단체의 후원 등 다양한 방법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아트 마케팅이 발전함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활성화되어 순수미술 작가가 기업의 제품 디자인에 직접 참여하여 기업과 함께 제품을 개발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이르게 되었다.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이 결합한 가장 발전된 형태의 작업이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지만, 국내에서도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태동하게 된 배경과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하고, 이를 형태별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특히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수용되는 형태를 작가와 미술전공 학생, 일반인의 세 집단으로 구분해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I-1장에서는 순수미술이 가지고 있는 상업성에 대해서 정리하였고, 상업미술과 순수미술의 결합이 전혀 다른 두 분야의 이질적 결합이 아니라는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II-2장에서는 상업미술에 내재된 예술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상업미술이 지니고 있는 예술성이 부각되고 또 수용되는 현상을 사례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결합이 상호 보완적인 요소를 지닌 두 분야의 결합으로 진전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II-3장에서는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에 관해 각 분야를 대표하는 회화와 매체광고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제II-4장에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등장하고 또 성장하게 된 환경을 사회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제II-5장에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유형화하여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그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의 사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III장에서는 네 가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수용태도를 분석하고 아트 콜라보레이션과 미술창작 영역의 상호 관계에 대한 추론을 제시하였다.
이상에서 분석한 바를 정리하면, 집단에 따라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인식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한다고 볼 수 없음이 밝혀졌다. 작가와 미술전공 학생, 일반인 수용자 모두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예술 표현의 한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작자들은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진전된 흐름이 자신들의 작업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상업적 측면과 같은 비 예술적 측면 및 그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지니고 있으며 교육과정에서 이에 대비한 내용이 제공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술의 소비자인 일반인들은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대해서 미술 창작자와 다름없는 정도로 인지하고 있으며,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순수미술창작 활동에 버금가는 형태의 작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기업 활동뿐 아니라 창작자들에게 하나의 작업 형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과 미술 창작 영역에서의 효과적인 대응에 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3),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 | (2008), 콜라보경제학, 흐름출판 | 미소장 |
3 | (2003), 팝 아트 (Pop Art), 조은영 역, 열화당 | 미소장 |
4 | (2011), 팝 아트 (Pop Art), 정상희 역, 시공아트 | 미소장 |
5 | (2011), 현대미술과 문화 (The American Century: Art and Culture 1950-2000), 지안 | 미소장 |
6 | (2001), 이것은 미술이 아니다 (Believing is Seeing: Creating the Culture of an Art), 박이소 역, 현실문화 | 미소장 |
7 | (2009), 광고와 예술 (The Fine Art of Advertising), 윤태일역, 커뮤니케이션북 | 미소장 |
8 | (2010), 예술사회학 (Sociology of the Arts), 최샛별 외 역, 살림 | 미소장 |
9 | (2001), 위대한 음악가, 그 위대성 (Greatness in Music), 강혜근 역, 음악세계 | 미소장 |
10 | (1998), 매스 미디어와 미술 (Art in the Age of Mass Media), 장선영 역, 시각과 언어 | 미소장 |
11 | (2004), 비주얼 컬처 (Visual Culture), 임산 역, 루비박스 | 미소장 |
12 | (1995), 감각의 논리 (Logique de La Sensation), 하태환 역,민음사 | 미소장 |
13 | (1988),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 (The Meaning of Modern Art: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오병남 역, 서광사 | 미소장 |
14 | (1997), 예술 활동의 근원 (Der Ursprung der künstlerischen Thätigkeit), 이병용 편역, 현대미학사 | 미소장 |
15 | (2006), 팝 아트 (Pop Art), 지향은 역, 마로니에북스 | 미소장 |
16 | (2006), 예술의 의미 (The Meaning of Art), 임산 역, 에코리브르 | 미소장 |
17 | (A)study on the cultural value of parodies in advertisement design and the protection awareness of desing copyrights ![]() |
미소장 |
18 | 생활을 예술로 만들다 : LG 명화시리즈 광고사례 분석 | 소장 |
19 | 아트 광고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이성적/감성적 소비 성향과 문화예술 접근성을 중심으로 | 소장 |
20 | Use of Fine Arts Works in Domestic Advertising | 소장 |
21 | A study on the Correlation Contemporary Illustration and Fine Arts ![]() |
미소장 |
22 | 현대미술과 대중문화 : 양자의 관계가 제기하는 몇 가지 미학적 질문 | 소장 |
23 | 아트와 광고의 컬레버레이션, 양태와 효과 ![]() |
미소장 |
24 | 광고와 예술의 접목을 위한 시론(試論) ![]() |
미소장 |
25 | 패러디 광고의 암묵기억 효과에 관한연구 | 소장 |
26 | 김규철 (1998), 시각언어, 세계를 하나의 의미로 통합할 수 있는 유일한 것, 제일기획, 1998년8월호 | 미소장 |
27 | 김홍탁 (2009), “광고는 예술작품의 영향을 키치로 양식화한다”, 미술세계, 2009년12월호 | 미소장 |
28 | 오세민 (2007), “광고 속 명화, 명화 속 광고”, 광고정보, 2007, 11월호 | 미소장 |
29 | 윤태일 (2009) , “광고, 모나리자를 만나다”, 미술세계 2009년 12월호 | 미소장 |
30 | 윤태일 (2009), “갤러리를 나온 예술, 광고를 품다”, 미술세계 2009년 12월호 | 미소장 |
31 | 정희정 (2009), “미술관으로 들어온 광고”, 미술세계, 2009년12월호 | 미소장 |
32 | 주혜진 (2009), “광고 속의 미술”, 미술세계, 2009년12월호 | 미소장 |
33 | 문화체육부 예술경영지원센터 (2012), 공연예술실태조사(2011년 기준) | 미소장 |
34 | 일민미술관 (2012), 고백: 광고와 미술 | 미소장 |
35 | 아티젠(Arty Generation), 주간한국, 2195호, 2007.10.30 | 미소장 |
36 | (2008), “Jeff Koons,” Artinfo, April 25. | 미소장 |
37 | (1966), “Special Report: The Story of Pop,” Newsweek, April 25 | 미소장 |
38 | (1981), “Modern Myths: An Interview with Andy Warhol”, Arts Magazine, Vol. 56, No.2, pp.144-47 | 미소장 |
39 | (1995), Artists, Advertising and the Borders of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40 | (1997), The Love of Art: European Art Museums and Their Public, Oxford | 미소장 |
41 | (1964), “Pop art sells on and on – why?,” The New York Times Magazine, May 31 | 미소장 |
42 | (1998), In Praise of Commercial Cul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3 | Social class and arts consumption ![]() |
미소장 |
44 | (1999), Popular Culture & High Culture, Basic Books | 미소장 |
45 | (2005), Art & Advertising, I. B. Tauris | 미소장 |
46 | (1988), Hiding in the Light, Routledge | 미소장 |
47 | A. R. A. News ![]() |
미소장 |
48 | Art Infusion: The Influence of Visual Art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umer Products ![]() |
미소장 |
49 | (1984), “The Rise of Andy Warhol,” Art after Modernism: Rethinking Representation, Ed. Brian Willis, pp.45-57, New York: Museum of Contemporary Art | 미소장 |
50 | (2010), “Far too easily pleased,” http://matt1matt.tumblr.com/tagged/Art-Advertisement | 미소장 |
51 | (1962), “Pop culture, metaphysical disgust, and the new vulgarians,” Art International, pp.35-36, March | 미소장 |
52 | (Ed.) (2012), Pop Art: A Critical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53 | (2012), “Damien Hirst: 'I still believe art is more powerful than money',” The Guardian, March 11 | 미소장 |
54 | (2010), “Art in Advertising,” Encyclopedia of Creativity, 2nd Edition, 2010 | 미소장 |
55 | (2006), “THE AI INTERVIEW: Takashi Murakami,” Artinfo, June 9 | 미소장 |
56 | A.R.A. News ![]() |
미소장 |
57 | (1973), “What is Pop Art?: Interview with Roy Lichtenstein,” Art News, Nov. | 미소장 |
58 | (1915),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Macmillan Company | 미소장 |
59 | (1990), “Keith Haring, Artist, Dies at 31; Career Began in Subway Graffiti”, New York Times. Feb. 17 | 미소장 |
60 | (2013), “Pop Art: Legitimizing Prints as an Art Medium - A Generator of Future Processes and Art Movements,” http://www.pnp.org.au/Article.aspx | 미소장 |
61 | (2004), “Pop, Junk Culture, Assemblage, and the New Vulgarians,” http://text.noart. info/en/milman_pop.html | 미소장 |
62 | http://blog.naver.com/gatesceo/150092159579 | 미소장 |
63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niqlog&logNo=159399383 | 미소장 |
64 | http://danmee.chosun.com/site/data/img_dir/2008/05/29/2008052900781_2.jpg | 미소장 |
65 | http://en.bmw-art-cars.de | 미소장 |
66 | http://en.wikipedia.org | 미소장 |
67 | http://global.britannica.com | 미소장 |
68 | http://jianak.com | 미소장 |
69 | http://lge.co.kr | 미소장 |
70 | http://smarthistory.khanacademy.org | 미소장 |
71 | http://www.absolutad.com | 미소장 |
72 | http://www.artmuseums.kr | 미소장 |
73 | http://www.friendsofart.net | 미소장 |
74 | http://www.gallery2.co.kr | 미소장 |
75 | http://www.kobis.or.kr | 미소장 |
76 | http://www.kunsthalle-tuebingen.de | 미소장 |
77 | http://www.liverpoolmuseums.org.uk | 미소장 |
78 | http://www.manogallery.com | 미소장 |
79 | http://www.moma.org | 미소장 |
80 | http://www.nationstate.com.au | 미소장 |
81 | http://www.neolook.com | 미소장 |
82 | http://www.otafinearts.com | 미소장 |
83 | http://www.richardprince.com | 미소장 |
84 | http://www.sales-and-marketing-for-you.com | 미소장 |
85 | http://www.shutterstock.com | 미소장 |
86 | http://www.talashimurakami.com152 | 미소장 |
87 | http://www.tate.org.uk | 미소장 |
88 | http://www.theartistlabels.com | 미소장 |
89 | http://www.theartro.kr | 미소장 |
90 | http://www.thebeatles.com | 미소장 |
91 | http://www.thestephensprousebook.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