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12

제2장 이론적 고찰 14

제1절 DEA 모형 14

(1) CCR-I 모형 15

(2) BCC-I 모형 16

(3) DEA/Window 모형 18

제2절 델파이(Delphi) 기법 20

(1) 델파이 기법의 개요 20

(2) 델파이 기법의 절차 21

제3절 선행 연구문헌 고찰 22

제3장 변수선정 및 자료 분석 25

제1절 투입 및 산출변수 25

제2절 자료 분석 28

제4장 DEA/Window 모형을 활용한 건축사사무소 경영효율성 평가 30

제1절 정태적 경영효율성 분석 30

제2절 동태적 경영효율성 분석 34

제5장 결론 40

참고문헌 42

부록 44

부록 1. 건축사사무소에서의 경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변수도출 (Delphi 1차) 45

부록 2. 건축사사무소에서의 경영효율성 분석을 위한 중요도조사 (Delphi 2차) 49

Abstract 54

표목차

표 1. DEA/Window 모형 18

표 2. 건축사사무소 효율성 관련 선행 연구 조사 22

표 3. 건설기업 관련 DEA 모형을 활용한 선행 연구 조사 23

표 4. Delphi 기법 연구 과정 25

표 5. 투입·산출변수 선정을 위한 중요도 조사 결과 26

표 6. 투입·산출변수 27

표 7. 2010년 20개 건축사사무소 기술통계량 28

표 8. 대상 건축사사무소의 투입·산출변수 29

표 9. 2010년 건축사사무소 효율성 평가 31

표 10. 2006~2010년 국내 건축사사무소의 DEA/Window(BCC-I)분석 결과(1) 36

표 11. 2006~2010년 국내 건축사사무소의 DEA/Window(BCC-I)분석 결과(2) 37

표 12. 2006~2010년 국내 건축사사무소의 DEA/Window(BCC-I)분석 결과(3) 38

그림목차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13

그림 2. 델파이 기법의 절차 21

그림 3. 20개 건축사사무소의 평균 효율성 변화 추이 34

초록보기

 2008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국내 건축사사무소의 양적 팽창이 기업의 경영효율성에 심각한 원인으로 파악되어 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을 깊이 있게 고찰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속적인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확한 경영효율성 분석이 요구되었다.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내부적인 기획관리 및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도 있지만, 최근 재무비율 지표들을 활용하여 비효율적인 기업의 경영효율성 개선을 위한 벤치마킹 대상을 찾는 방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활용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DEA/Window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건축사사무소의 정태적 및 동태적 경영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사사무소의 경영효율성 추세와 안정성을 파악하고, 기업의 성과측정을 통한 운영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해 신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급변하는 건설시장에서 건축사사무소의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변수추출은 Delphi 분석기법을 통하여 투입변수로는 자본금, 종업원수를 선정하였으며, 산출요소로는 매출액, 당기순이익을 선정하였다.

2010년을 기준으로한 건축사사무소의 정태적 경영효율성 분석결과 BCC(Banker, Charnes, Cooper) 효율성이 1인 건축사사무소들은 모두 7곳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4개 건축소사무소는 CCR(Charnes, Cooper, Rhodes) 효율성도 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효율성(Scale efficiency, SE)이 1인 건축사사무소는 모두 4곳으로 나타났으며, 규모수익성에 있어서는 IRS(Increasing Returns to Scale)가 7개 건축소사무소, DRS(Decreasing Returns to Scale)가 9개 건축소사무소, CRS(Constant Returns to Scale)가 4개의 건축소사무소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양적팽창 상태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윈도우별 경영효율성(Standard deviation, SD), 동일 연도 경영효율성(Largest difference between scores in the same year, LDY), 전체기간 효율성(Largest difference between scores the entire period, LDP) 값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5년간 20개 건축사사무소들의 경영효율성에 대한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비효율적인 건축사사무소의 효율적인 건축사사무소 벤치마킹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진 및 운영환경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었다. 최근 해외건설 진출의 증가에 따른 한 기업 안에서 국내사업과 해외사업 간의 경영효율성 분석비교 등의 추후 발생되는 새로운 이벤트나 시점 전후에 관련된 건축사사무소 분야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새로운 연구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