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3
3. 연구방법 및 범위 13
I. 옥외간판과 관광지역 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고찰 15
1. 옥외간판의 개념 15
1.1. 옥외간판의 이론적 고찰 15
1.2. 옥외간판의 분류 16
1.3. 옥외간판의 기능 17
1.4. 옥외광고의 현 정책 20
1.5. 옥외간판의 디자인 요소 26
2. 관광지역 브랜드의 개념 34
2.1. 관광지역 브랜드의 개념 34
2.2. 브랜드 지각요소의 디자인 46
2.3. 제주특별자치도 관광 브랜드 요소 53
3. 관광지역에서의 옥외간판과의 관계 60
3.1. 관광지역 환경에서 옥외간판 60
II. 제주 옥외간판의 디자인 시각적 요소 분석 68
1. 제주특별자치도 옥외간판의 문제점 68
1.1. 제주시 구좌읍 68
1.2. 제주시 조천읍 69
1.3. 제주시 애월읍 70
1.4. 제주시 한림읍 71
1.5. 제주시 한경면 72
1.6. 서귀포시 성산읍 73
1.7. 서귀포시 남원읍 74
1.8. 서귀포시 대정읍 75
1.9. 서귀포시 안덕면 76
2.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지역 옥외간판 사례 분석 77
2.1. 제주신화거리 77
2.2. 이중섭 거리 82
2.3. 성산일출봉 87
2.4. 우도항 92
3. 국내·외 관광지역 옥외간판 디자인 사례 분석 97
3.1. 전주의 한옥마을 97
3.2. 인천 중구 역사문화거리 102
3.3. 뉴욕 타임스퀘어(미국) 107
3.4. 오사카 도톤보리(일본) 112
4. 관광지역 옥외간판 디자인 시각적 요소 종합분석 117
4.1. 관광지역 옥외간판의 시각적 요소의 종합분석 117
4.2. 옥외간판의 기능과 관광지역 브랜드 반영정도의 관계에 대한 종합 분석 121
III. 결론 123
참고문헌 125
ABSTRACT 128
[그림1] 가로형 간판 예시 16
[그림2] 세로형 간판 예시 16
[그림3] 돌출 간판 예시 17
[그림4] 지주 이용 간판 예시 17
[그림5] KeyWord Image Scale 31
[그림6] Color Combination Image Scale 33
[그림7] Anholt의 도시지역 브랜드 속성 44
[그림8] 브랜드의 지각요소 46
[그림9] 맥도날드의 브랜드 요소 46
[그림10] 브랜드 요소의 개발과정 47
[그림11] 브랜드 요소의 선택 기준 48
[그림12] 다양한 로고 심볼 50
[그림13] 강력한 캐릭터의 예 52
[그림14] 제주도와 한라산 53
[그림15] 제주의 오름/해안/하천 54
[그림16] 생물권 보전 지역 55
[그림17] 세계 자연유산 지역 56
[그림18] 세계 지질 공원 지역 56
[그림19] 제주의 대표적 람사르 습지 57
[그림20] 제주의 대표적 문화·역사지 58
[그림21] 제주의 촌락경관 59
[그림21] 제주의 올렛길 경관 59
[그림22] 제주의 돌담, 밭담 경관 60
[그림23] 제주의 토속 경관 60
[그림24] 신화의 거리 전경 77
[그림25] 제주 신화거리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78
[그림26] 제주 신화거리 옥외간판의 배색 80
[그림27] 제주 신화거리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80
[그림28] 제주 신화거리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81
[그림29] 이중섭 거리 전경 82
[그림30] 이중섭 거리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83
[그림31] 이중섭 거리 옥외간판의 배색 85
[그림32] 이중섭 거리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85
[그림33] 이중섭 거리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86
[그림34] 성산일출봉 전경 87
[그림35] 성산일출봉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88
[그림36] 성산일출봉 옥외간판의 배색 90
[그림37] 성산일출봉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90
[그림38] 성산일출봉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91
[그림39] 우도항 전경 92
[그림40] 우도항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93
[그림41] 우도항 옥외간판의 배색 95
[그림42] 우도항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95
[그림43] 우도항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96
[그림44] 전주 한옥마을의 거리 전경 97
[그림45] 전주한옥마을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98
[그림46] 전주 한옥 마을 옥외간판의 배색 100
[그림47] 제주 신화거리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100
[그림48] 전주 한옥마을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101
[그림49] 인천 중구 역사문화 거리전경 102
[그림50] 인천 중구 역사문화 거리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103
[그림51] 인천 중구 역사문화 거리 옥외간판의 배색 105
[그림52] 인천 중구 역사문화 거리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105
[그림53] 인천중구 역사문화거리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106
[그림54] 뉴욕 타임스퀘어의 거리 전경 107
[그림55] 뉴욕 타임스퀘어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108
[그림56] 뉴욕 타임스퀘어 옥외간판의 배색 110
[그림57] 뉴욕 타임스퀘어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110
[그림58] 뉴욕 타임스퀘어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111
[그림59] 오사카 도톤보리의 거리 전경 112
[그림60] 오사카 도톤보리 옥외간판의 형태 이미지 맵 113
[그림61] 오사카 도톤보리 옥외간판의 배색 115
[그림62] 오사카 도톤보리 옥외간판의 색상 이미지 맵 115
[그림63] 오사카 도톤보리 옥외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맵 116
[그림64] 관광지역 옥외간판 형태의 감성(이미지) 스케일 분석 117
[그림65] 관광지역 옥외간판 색상의 감성(이미지) 스케일 분석 118
[그림66] 관광지역 옥외간판 색상의 감성(이미지) 스케일 분석 119
관광산업의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의 목적으로 관광지역 가로경관 정비사업의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비 사업은 관광객 편의가 증진되고 지역 브랜드 이미지 향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로경관 정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부재 속에서 무분별한 정비 사업은 오히려 가로경관 정비사업의 근본적인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 채 시각공해만 일으킬 것이다. 특히, 가로경관 정비 계획에서 관광지역의 정체성부여와 미관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옥외간판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느냐는 것이다. 이는 가로환경 이미지 결정에 중요한 포인트이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광지역 가로경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옥외간판의 디자인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해야하고 관광지역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할 수 있도록 지역의 문화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옥외간판의 개념 정립을 위해 옥외간판의 분류 및 특징, 관광지역의 옥외간판에 대한 현 정책과 여타 다른 나라의 정책을 알아보았다. 또한 관광지역 브랜드의 개념 확립과 디자인 요소 및 관광지역과 옥외간판의 관계를 통해 옥외간판이 관광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에 있어 관광객 방문이 많은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지역 4개 지역(관문지역, 문화지역, 자연 관광지역, 상업지역)과 옥외간판 정비가 잘된 국·내외 유사지역 4곳을 선정하여 지역의 전반적인 특성분석. 옥외간판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형태, 색상, 타이포그래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잘된 사례의 디자인 요소들의 특성과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역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종합분석에서는 사례분석의 내용을 정리하고 옥외간판으로서의 기능(정보성, 경관성, 공공성)과 공공디자인의 기능(인지성, 가시성, 판독성, 가독성, 일관성), 관광지역 브랜드 요소 반영과의 관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옥외간판의 개념 및 분류, 관광지역 브랜드의 개념 및 요소에 대해 이론적 내용은 관련 학위논문과 서적 등의 문헌 조사 통해 연구하였다. 옥외간판의 디자인 요소의 분석은 형태, 색상, 타이포그래피로 분류하여 감성이미지 스케일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디자인 요소 형태, 색상, 타이포그래피의 이미지 스케일 분포도가 일치할수록 옥외간판의 기능성과 공공디자인의 기능성이 높아진다. 사례분석을 통해 옥외간판의 기능성과 공공디자인의 기능성이 높을수록 이미지 스케일의 분포도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옥외간판의 기능성과 공공디자인의 기능성이 높을수록 관광지역 브랜드 요소의 반영도가 크다는 것이다. 즉, 좋은 관광지 사례일수록 쾌적한 환경과 관광지역의 브랜드 요소의 반영도가 좋으며 이는 관광지역의 브랜드 이미지가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이 관광지역 브랜드 향상을 위한 옥외간판의 디자인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옥외간판을 지속적으로 연구한다면 향후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지역의 차별화와 관광객과 지역주민들을 위한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광지역별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본 연구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