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1. 연구의 배경 14

2. 연구의 목적 18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0

1. 연구의 범위 20

2. 연구의 방법 22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24

제1절 싱크탱크의 개념 24

제2절 미국 및 한국 싱크탱크의 특성 30

1. 미국 싱크탱크의 특성 30

2. 한국 싱크탱크의 특성 34

제3절 싱크탱크의 역할에 관한 연구 동향 45

1. 정책생태계에서 싱크탱크의 역할 45

2. 싱크탱크의 지식확산에 관한 연구 48

3. 국내 싱크탱크 연구 동향 53

제3장 연구 설계 55

제1절 분석개요 55

제2절 분석방법 56

1. 연구활동 56

2. 지식확산활동 57

제4장 싱크탱크의 지식확산 사례 분석 60

제1절 연구활동 분석 60

1. 한국개발연구원 60

2.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64

3. 삼성경제연구소 65

4. LG경제연구원 68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0

6. 한국교육개발원 72

7.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74

8.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75

9.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78

10. 통일연구원 80

11. 세종연구소 82

12. 동아시아연구원 84

13. 소결론 86

제2절 직접적 지식확산 활동 분석 87

1. 웹링크 및 언론인용 87

제3절 간접적 지식확산 활동 분석 91

1. 언론을 통한 지식확산 활동 91

2.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식확산 활동 118

제5장 결론 122

제1절 연구결과 122

제2절 연구의 함의 126

제2절 연구의 한계 126

참고문헌 128

ABSTRACT 135

〈표 1-1〉 분석대상 싱크탱크 목록 21

〈표 2-1〉 각 국가별 싱크탱크 수 26

〈표 2-2〉 미국 싱크탱크의 시대적 유형 구분 30

〈표 2-3〉 미국 싱크탱크의 유형별 분류 33

〈표 2-4〉 국내 대학설립형태별 대학부설연구소 현황(2011년 기준) 43

〈표 2-5〉 싱크탱크의 영향력 평가에 관한 연구 50

〈표 4-1〉 한국개발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61

〈표 4-2〉 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64

〈표 4-3〉 삼성경제연구소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65

〈표 4-4〉 LG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68

〈표 4-5〉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70

〈표 4-6〉 한국교육개발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72

〈표 4-7〉 참여사회연구소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74

〈표 4-8〉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76

〈표 4-9〉 외교안보연구소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78

〈표 4-10〉 통일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80

〈표 4-11〉 세종연구소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82

〈표 4-12〉 동아시아연구원의 2012년도 발간물 단어 빈도 84

〈표 4-13〉 12개 싱크탱크의 검색어 "보고서"의 검색 결과 90

〈표 4-14〉 12개 싱크탱크의 언론사 인용빈도 92

〈표 4-15〉 한국개발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93

〈표 4-16〉 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96

〈표 4-17〉 삼성경제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97

〈표 4-18〉 LG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00

〈표 4-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03

〈표 4-20〉 한국교육개발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06

〈표 4-21〉 참여사회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08

〈표 4-22〉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09

〈표 4-23〉 외교안보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11

〈표 4-24〉 통일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12

〈표 4-25〉 세종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14

〈표 4-26〉 동아시아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단어 빈도 116

〈그림 2-1〉 사회적 공간에서의 싱크탱크 29

〈그림 2-2〉 전문가 및 지식인의 의견 반영 경로 48

〈그림 3-1〉 싱크탱크의 지식확산 흐름도 56

〈그림 4-1〉 한국개발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63

〈그림 4-2〉 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64

〈그림 4-3〉 삼성경제연구소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67

〈그림 4-4〉 LG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69

〈그림 4-5〉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71

〈그림 4-6〉 한국교육개발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73

〈그림 4-7〉 참여사회연구소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75

〈그림 4-8〉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77

〈그림 4-9〉 외교안보연구소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79

〈그림 4-10〉 통일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81

〈그림 4-11〉 세종연구소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83

〈그림 4-12〉 동아시아연구원의 2012년도 연구활동 분석 85

〈그림 4-13〉 7개 싱크탱크 조직의 직접적 지식확산 네트워크 89

〈그림 4-14〉 한국개발연구원의 2012년도 TV인용 제목 분석 94

〈그림 4-15〉 한국개발연구원의 2012년도 신문인용 제목 분석 95

〈그림 4-16〉 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96

〈그림 4-17〉 삼성경제연구소의 2012년도 TV인용 제목 분석 98

〈그림 4-18〉 삼성경제연구소의 2012년도 신문인용 제목 분석 99

〈그림 4-19〉 LG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TV인용 제목 분석 101

〈그림 4-20〉 LG경제연구원의 2012년도 신문인용 제목 분석 102

〈그림 4-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도 TV인용 제목 분석 104

〈그림 4-22〉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2년도 신문인용 제목 분석 105

〈그림 4-23〉 한국교육개발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07

〈그림 4-24〉 참여사회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08

〈그림 4-25〉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10

〈그림 4-26〉 외교안보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11

〈그림 4-27〉 통일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13

〈그림 4-28〉 세종연구소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15

〈그림 4-29〉 동아시아연구원의 2012년도 언론인용 제목 분석 117

〈그림 4-30〉 12개 싱크탱크의 세미나 네트워크 121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 싱크탱크들의 활동 분석을 통해 국내 정책생태계에서 전문가 집단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정부 및 민간부문 싱크탱크 12개 기관을 선정한 후, 이들의 지식확산 활동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크게 세 부분으로, 첫째 각 싱크탱크가 2012년 한 해 동안 만들어낸 발간물, 둘째 직접적 지식확산 활동으로서의 발간물에 대한 인용 분석, 셋째 간접적 지식확산 활동으로서의 언론인용과 세미나 네트워크 형성으로 규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회네트워크 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대체로 싱크탱크들은 사회의 광범위한 정책문제에 대한 중장기적 또는 거시적 관점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물의 확산은 많은 한계를 드러냈다.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요인은 언론인용이었다. 언론은 싱크탱크의 연구 확산 증대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언론기관들은 일반적으로 싱크탱크들의 연구 활동 중에서 시의성 있는 일부 현안에만 관심을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외에 연구물의 인용 및 세미나 네트워크는 지식확산 수단으로서의 유의미한 함의를 발견하기 힘들었다.

위의 분석들을 종합해보면 정책 입안자로서가 아닌 대중과 전문가들에 대한 자문가로서의 활동은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구체적인 사회문제와 관련된 연구물들이 언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국내에는 싱크탱크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특히 연구물 및 언론 기사의 네트워크 비교분석을 통해 정책연구소의 역할을 밝히고자 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는데, 연구방법의 다양성을 모색하고자 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러나 분석기관이 12 곳으로 한정되어 있고, 1년 동안의 연구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그리고 발간물 인용 분석을 위한 분석모형이 정교화 되지 못했다는 한계점은 한계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