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7

I. 서론 9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9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10

II. 영화 「늑대와 춤을」의 작품 배경 12

A. 1960년대 이후의 아카데미 음악상 작곡가들 12

B. 작곡가 존 배리의 생애와 작품세계 17

1. 생애 17

2. 작품세계 19

III. 영화 「늑대와 춤을」의 음악분석 23

A. 작품 줄거리 23

B. 「늑대와 춤을」 영화음악 분석 26

1. 발단 27

2. 전개 49

3. 절정 67

4. 대단원 (결말) 74

C. 영화 『늑대와 춤을』에 나타난 존 배리의 음악 특성 76

IV. 결론 79

참고문헌 81

부록 84

〈부록 - 1〉 아카데미 음악상(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ore) 수상작과 영화 음악 작곡가들(1960 ~ 2012) 84

〈부록 - 2〉 존 배리의 영화음악 작품 목록 87

〈부록 - 3〉 영화 「늑대와 춤을」 큐시트 89

ABSTRACT 97

〈악보 1〉 던바 기본 모티브 A 29

〈악보 2〉 던바 모티브의 대선율 29

〈악보 3〉 던바 모티브 총보 30

〈악보 4〉 던바 모티브 총보 2 31

〈악보 5〉 불안 모티브 32

〈악보 6〉 불안감 조성과 고통 모티브 34

〈악보 7〉 헤이즈 요새 모티브 35

〈악보 8〉 바이올린에서 나타난 오스티나토 리듬 패턴 36

〈악보 9〉 비장한 배경 모티브, 혼의 상행 사용 37

〈악보 10〉 배경모티브에 나타난 바이올린 대선율과 여성 합창 37

〈악보 11〉 "The Buffalo Hunt"에서 나타난 던바 모티브 B 39

〈악보 12〉 헤이즈 요새 테마 (1-4 마디) 40

〈악보 13〉 헤이즈 요새 테마에 나타난 주제 선율 1 41

〈악보 14〉 헤이즈 요새 테마에 나타난 주제 선율 2 41

〈악보 15〉 헤이즈 요새 테마에 나타난 동형진행을 통한 전조 42

〈악보 16〉 새지윅 요새 테마에 나타난 불안한 느낌 묘사 43

〈악보 17〉 세지윅 요새 테마에 나타난 주선율 멜로디1 44

〈악보 18〉 세지윅 요새 테마에 나타난 주선율 멜로디 2 44

〈악보 19〉 세지윅 요새 테마 총보 45

〈악보 20〉 존 던바 테마에서 사용된 던바 모티브 46

〈악보 21〉 존 던바 테마 총보 1 47

〈악보 22〉 존 던바 테마 총보 2 48

〈악보 23〉 티몬스의 죽음 테마에서 나타난 포니족 모티브 1 50

〈악보 24〉 티몬스의 죽음 테마 51

〈악보 25〉 투삭스 (하얀발) 테마의 주선율 53

〈악보 26〉 발로 차는 새 테마 총보 1 55

〈악보 27〉 발로 차는 새 테마 총보 2 56

〈악보 28〉 인디언 도약 상승 리듬 57

〈악보 29〉 Journey to the Buffalo Killing Ground에서 나타난 인디언... 58

〈악보 30〉 단조로 변주된 던바 모티브 E 총보 1 59

〈악보 31〉 단조로 변주된 던바 모티브 E 총보 2 60

〈악보 32〉 The Buffalo Hunt에서 나타난 버팔로의 배경 테마 62

〈악보 33〉 Love Theme의 주선율 64

〈악보 34〉 Love Theme에서 나타난 장소에 따른 전조 64

〈악보 35〉 Pawnee Attack에서 나타난 셈여림을 통한 악기의 긴장감 고조 65

〈악보 36〉 Pawnee Attack에서 나타난 셈여림을 통한 포니족의 죽음 66

〈악보 37〉 불길한 징조 암시 음악 68

〈악보 38〉 "The Death of Cisco" 총보 1 69

〈악보 39〉 "The Death of Cisco" 총보 2 70

〈악보 40〉 "Rescue of Dances With Wolves" 총보 72

〈악보 41〉 "Rescue of Dances With Wolves" 총보 2 73

초록보기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이른바 IT(information technology)시대라 칭하는 급진적인 문화의 흐름 속에 있다. 손쉬운 자료검색과 정보 홍수의 시대 속에 영화는 자연스럽게 우리 생활 속에 흡수되었고 이러한 영화나 영상매체를 통해 듣게 되는 영화 속의 음악은 화면으로 나타나는 이야기를 표현해 줄 수 있는 대사의 다른 방법이며, 영화의 극적인 흥미를 더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영화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작곡가 존 베리(John Barry, 1933 ~ 2011 )의 『늑대와 춤을 (Dance with Wolves), 1990)』으로 스토리 전개와 등장인물에 따라 표현 되어지는 음악과 영상에 나타나는 상관관계의 연구를 통해 영화음악에 따른 음악과 그의 작곡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먼저 존 배리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통해 그의 음악적 배경과 작품 스타일을 알 수 있었고 그의 할리우드 음악사적 위치를 조명해 보기 위해서 다른 동시대의 영화음악 작곡가 들을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존 배리의 작품 중 마지막 아카데미 음악수상작인 『늑대와 춤을』을 선정하여 전체적인 줄거리를 통해 영화의 주제와 전반적인 분위기를 파악하고 영화를 구성하는 각 장면과 그에 따른 모티브와 테마음악들을 분석하였다.

영화음악에 있어 음악의 삽입(In & Out)지점은 작곡가의 음악적 연출의도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늑대와 춤을』에서 존 배리는 주요 등장인물(던바, 인디언, 늑대친구 등)의 모티브나 테마음악을 설정하여 라이트 모티브적 사용을 하고 있으며, 주요 사건(인디언들과의 전쟁), 그 외의 상황이나 배경을 나타내는 장면을 위해 음악이 삽입되었다. 존 배리의 테마 음악들의 특징은 주선율과 상응하는 대선율이 존재하며 이 두 선율이 이루는 멜로디가 독주 관악기에 할당되어 현악 앙상블과 더불어 서정성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악대를 연상하게 하는 악기선정, 예를 들면 스네어 드럼의 사용과 트럼펫의 독주 선율 사용 등은 군인의 신분을 가진 주인공의 처한 상황을 표현하는데 일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티브와 테마음악 마다 오케스트레이션과 변주방법을 달리 하였는데, 영화의 장면과 스토리에 부합된 리듬, 악기, 조성과 아티큘레이션 등의 변주가 영화의 몰입을 높이는데 일조되고 극적인 구성요소를 잘 이끌어 내는데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작곡가의 스타일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늑대와 춤을』의 음악은 등장인물의 성격, 배경과 상황에 따른 모티브와 테마를 탁월하게 사용하여 영화의 장면과 음악이 합쳐질 때 눈과 귀, 머릿속에 각인되어 지는 멜로디와 음악이 영화의 스토리와 잘 맞물려 통일성 있게 유지되며 영화감상의 몰입을 높이고 서정적이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늑대와 춤을』의 음악분석을 통해 존 배리의 음악스타일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고, 아직 연구되지 않은 존 배리의 영화 음악들에 대한 다양한 분석 및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불어 영화 음악의 무궁한 발전을 위해 존 배리 외에 위대한 영화 음악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따른 지속적인 연구와 분석이 계속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