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ABSTRACT
목차
I. 서론 9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9
1.2. 연구 주제와 방법 11
II. 이론적 배경 13
2.1. 어휘적 접근법과 어휘 항목 13
2.1.1. 어휘적 접근법 13
2.1.2. 어휘 항목과 관용어 인식 15
2.2. 관용어의 개념 18
2.2.1. 관용어에 대한 정의 18
III.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관용어 분석 23
3.1. 관용어의 구분 23
3.2. 고등학교 교과서의 관용어 비교 27
3.3. 관용어 인식 설문 조사 31
3.3.1. 실험 대상 분석 및 절차 31
3.3.2. 설문지 결과 분석 33
VI. 관용어의 특징 45
4.1. 어휘적 특징 45
4.2. 의미적 특징 52
4.3. 실험 설계 60
4.4. 실험지 결과 분석 63
V. 결론 73
5.1. 연구 요약 및 결론 73
5.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7
참고문헌 81
부록 87
〈부록1〉 관용어 인식에 대한 설문지 87
〈부록2〉 관용어휘능력에 대한 실험지 89
〈부록3〉 Three band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Idioms in the Corpora(Liu, D 2003) 91
〈부록4〉 Grant, L & Bauer, L(2004)의 'Semantic Classification of Idioms' table 94
〈부록5〉 언어 기능별 교수·학습 방법 95
국문초록 96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텍스트에서 다루고 있는 관용어를 분석하고 한국 고등학생들의 관용어휘능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는 영어 어휘 학습에 있어 학습자들이 어렵게 인식하지만 의사소통에 유용한 관용어에 대해 효과적인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관용어 분석은 Liu, D(2003)의 연구에서 코퍼스(corpus)를 기반으로 선정한 '가장 빈도 높은 영어 관용어(Most Frequently Used Idioms)'를 기준으로 하였다. 교과서 텍스트 분석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생활 언어 사용 맥락에 근접한 미국 드라마 '모던 패밀리(Modern Family)' 스크립트의 관용어 유형과도 비교하였다. 그런 다음 서울 시내 남, 여 고등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관용어에 대한 인식과 관용어휘능력에 대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관용어에 대해 익숙하지 않고 적은 학습 경험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관용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관용어를 포함한 영어 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이외의 다양한 학습 매체와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해야 한다. 시청각 자료, 실제 영어 화자의 문화와 언어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수업 구성이 생생한 학습 현장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적극 활용한다. 둘째, 학생들의 의미 이해에 바탕을 둔 유의미한 과업을 조직해야 한다. 현재 실시하는 제한적이고 시험을 위한 수행 평가에서 벗어나 실제 학생들의 수행 능력을 측정하는 회화 표현 익히기, 역할 시뮬레이션 실시 등이 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영어 문화 이해를 통해 어휘를 자연스럽게 학습시켜야 한다. 영어 문화권에서 관용적으로 많이 쓰이지만 한국 학습 환경에서 자주 접하기 힘든 표현을 익히고 활용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넷째, 영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함께 학습시킬 필요가 있다. 개념 형성의 과정을 함께 배운 학생들은 새로운 어휘에 대해서도 개념적 추론 능력이 향상되고 언어에 대한 이해력도 높아질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관용어에 대해 실제 영어 화자가 자주 사용하는 표현 위주로 영어 교과서가 편성될 필요성을 보여준다. 나아가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을 위해 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이 반영된 학습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