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제1장 서론 10

1.1. 연구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방법 11

1.3. 논문의 구성 11

제2장 관련 연구 12

2.1. PLC의 정의 12

2.1.1. PLC의 탄생 13

2.1.2. PLC의 적용분야 13

2.2. PLC의 특징 14

2.2.1. 하드와이어드와 소프트와이어드 14

2.2.2. 릴레이 시퀀스와 PLC 시퀀스의 차이점 15

2.2.3. PLC와 PC의 비교 15

2.3. PLC 중앙 처리부 16

2.3.1. 마이크로프로세서 17

2.3.2. 다중 프로세서 18

2.4. PLC의 표준 프로그래밍 언어 19

2.4.1. LD (Ladder Diagram) 22

제3장 PLC의 사양 23

3.1. PLC 구성품의 사양 23

3.1.1. CPU MODULE 23

3.1.2. POWER MODULE 26

3.1.3. ETHERNET MODULE 28

3.1.4. T-LINK MODULE 30

제4장 PLC의 종류에 따른 특성 33

4.1. PLC "A" 33

4.1.1. 내부회로의 블록도의 기능 33

4.1.2. 메모리의 구조 34

4.1.3. 메모리의 역할 35

4.2. PLC "B" 37

4.2.1. 특징과 CPU 동작개요 37

4.2.2. 버스 38

4.3. PLC "C" 41

4.3.1. 메모리의 구성 41

4.4. PLC "D" 43

4.4.1. 메모리 영역과 보수성 43

제5장 구현과 평가 45

5.1. PLC의 선정 45

5.1.1. PLC 선정의 절차도 45

5.1.2.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 절차도 46

5.2. 시스템의 구성 47

5.2.2. 현재 설비의 시스템 구성 48

5.2.3. 신작 설비의 시스템 구성 49

5.3. PLC 계통도의 설계 51

5.4. 실험 53

5.4.1. 프로그램의 설계 54

5.4.2. USER FUNCTION BLOCK 설계기법의 제안 56

5.4.3. 성능의 비교 (SCAN TIME) 59

5.4.4. 실험설비에 대한 설명 63

5.4.5. 실험에 대한 설명 65

5.4.6. 작화에 대한 설명 67

5.4.7. PLC교체에 따른 장점에 대한 정리 68

제6장 결론 69

참고문헌 71

ABSTRACT 73

표목차

〈표2.1〉 PLC 프로그래밍 언어 20

〈표3.1〉 "A" CPU의 사양 23

〈표3.2〉 "B" CPU의 사양 24

〈표3.3〉 "C" CPU의 사양 24

〈표3.4〉 "D" CPU의 사양 25

〈표3.5〉 "B" POWER MODULE의 사양 26

〈표3.6〉 "C" POWER MODULE의 사양 26

〈표3.7〉 "D" POWER MODULE의 사양 27

〈표3.8〉 "B" ETHERNET MODULE의 사양 28

〈표3.9〉 "C" ETHERNET MODULE의 사양 28

〈표3.10〉 "D" ETHERNET MODULE의 사양 29

〈표3.11〉 "B" T-LINK MODULE의 사양 30

〈표3.12〉 "C" T-LINK MODULE의 사양 30

〈표3.13〉 "D" T-LINK MODULE의 사양 32

〈표4.1〉 "A" 내부회로 블록도의 기능 33

〈표4.2〉 "A" 데이터 메모리의 종류 35

〈표5.1〉 원가의 비교표 50

〈표5.2〉 실험 기기의 리스트 53

〈표5.3〉 PLC교체에 따른 장점 68

그림목차

〈그림2.1〉 PLC 중앙 처리부의 구성 17

〈그림4.1〉 "A" 프로세서 메모리 구조 34

〈그림4.2〉 "B" CPU의 동작개요 37

〈그림4.3〉 버스 시스템의 비교 38

〈그림4.4〉 컨피그레이션 39

〈그림4.5〉 버스의 전송주기 40

〈그림4.6〉 "C" 메모리 구성도 41

〈그림4.7〉 "D" 메모리 영역 43

〈그림5.1〉 PLC 선정의 절차도 45

〈그림5.2〉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 절차도 46

〈그림5.3〉 현 설비의 시스템 구성도 48

〈그림5.4〉 신작 설비의 시스템 구성도 49

〈그림5.5〉 신작 설비의 PLC 계통도 52

〈그림5.6〉 SYSTEM DEFINITION의 설계 54

〈그림5.7〉 POU의 구성 55

〈그림5.8〉 프로그램의 설계 55

〈그림5.9〉 이상 프로그램의 USER FUNCTION BLOCK화 57

〈그림5.10〉 주행 프로그램의 USER FUNCTION BLOCK화 57

〈그림5.11〉 동작 프로그램의 USER FUNCTION BLOCK화 58

〈그림5.12〉 PLC 신호 On시에 실제출력 On까지 걸리는 시간 59

〈그림5.13〉 "A"의 스캔타임 60

〈그림5.14〉 "B"의 스캔타임 61

〈그림5.15〉 USER FUNCTION BLOCK 설계기법 적용후의 스캔타임 62

〈그림5.16〉 실험설비의 구조 63

〈그림5.17〉 실험설비의 기본동작 64

〈그림5.18〉 전차 정지시의 모습 65

〈그림5.19〉 작화화면 67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의 자동화 설비에 사용되는 PLC의 선정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체계적인 선정 절차를 통한 선정 방식이 산업현장의 자동화 설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성능은 향상되고 유지보수가 간단한 최적의 PLC를 선정하여 보다 나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종합설치비용을 고려한 최적의 하드웨어 구성을 제안하고 USER FUNCTION BLOCK의 설계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구형 PLC로 제작된 설비를 PLC 선정 절차도의 정확한 절차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설비에 가장 적정한 PLC로 교체함으로 인하여 설비의 가동 및 제품 생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종합설치비용을 고려한 하드웨어의 구성을 제시하여 전체적인 원가를 절감 하였으며 소프트웨어 USER FUNCTION BLOCK의 설계기법을 제안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설비의 제어를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