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본론 13
제1절 콜 알버트 포터(Cole Albert Porter, 1891-1964) 13
가. 생애와 작품 13
나. 뮤지컬《키스 미, 케이트: Kiss me, Kate, 1948》 16
1) 작품탄생배경 16
2) 작품 줄거리 및 구성 17
다. 〈당신은 왜 그럴까요?: Why can't you behave?〉 23
1) 가사 23
2) 음악적 특징 25
제2절 존 헤롤드 칸더(John Harold Kander, 1927-) 34
가. 생애와 작품 34
나. 뮤지컬 《시카고: Chicago, 1975》 36
1) 작품탄생배경 36
2) 작품 줄거리 및 구성 37
다. 〈요즘에는: Nowadays〉 43
1) 가사 43
2) 음악적 특징 45
제3절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52
가. 생애와 작품 52
나. 뮤지컬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93》 56
1) 작품탄생배경 56
2) 작품 줄거리 및 구성 57
다. 〈단 한 번의 시선으로: With one look〉 63
1) 가사 63
2) 음악적 특징 66
제4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74
가. 생애와 작품 74
나. 오페라《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1786》 79
1) 작품탄생배경 79
2) 작품 줄거리 및 구성 80
다. 〈난 이제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Non so più cosa son〉 86
1) 가사 86
2) 음악적 특징 89
제5절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 96
가. 생애와 작품 96
나. 연가곡집《미르테의 꽃: Myrthen, op.25, 1840》 100
다. 〈헌정: Widmung Op.25 no.1〉 103
1) 가사 103
2) 음악적 특징 104
제3장 결론 111
참고문헌 113
ABSTRACT 117
본 작품집에서는 포터(Cole Alber Porter, 1891-1964)와 칸더(John Harold Kander, 1927-),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의 뮤지컬과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성악곡을 다루었다. 작곡가의 생애, 작품의 원작 및 등장인물과 곡을 부르고 있는 상황 그리고 노래와 가사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다 깊이 있는 연주를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첫 번째 작곡가인 포터의 《키스 미, 케이트: Kiss me, Kate, 1948》는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 1564-1616)의 희곡《말괄량이 길들이기: The taming of the shrew, 1590-1594》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빌과 로이스의 이중창 〈당신은 왜 그럴까요?: Why can't you behave?〉에서는 단순한 노래 선율과 비슷한 가사를 반복하여 곡의 가사와 인물의 감정을 깊이 있게 드러내주고 있었다.
두 번째 작곡가인 칸더의 《시카고: Chicago, 1975》 는 트리뷴지의 기자였던 왓킨스(Maurine Dallas Watkins, 1896-1969)의 희곡 《작고 용감한 여인: A brave little woman, 1926》 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1920년대 암흑기에 있던 미국을 조명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통해 〈요즘에는: Nowadays〉이라는 곡의 가사를 이중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곡은 선율의 반음계적 상행진행과 가사의 운율을 통해 단어에 감정을 실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세 번째 작곡가 웨버의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93》 는 흑백영화 《선셋 대로: Sunset Boulevard, 1950》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여배우 노마가 자신의 화려했던 과거를 들려주는 내용의 〈단 한 번의 시선으로: With one look〉은 8마디의 선율이 계속 반복되는 노래이며, 반주부가 노래 선율을 함께 연주하기도 하고 다양한 변화를 주기도 하며 곡을 풍성하게 만들어주었다.
네 번째 작곡가 모차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1786》 은 보마르셰(Pierre-Augustin Beaumarchais, 1732-1799)의 연극 3부작 연극 중 제2부작 《피가로의 결혼: Le Mariage de Figaro, 1784》 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오페라로 등장인물들이 등퇴장을 반복하면서 빠르게 이야기를 진행한다. 케루비노가 부르는 〈난 이제 아무것도 모르겠어요: Non so più cosa son〉 곡은 십대 소년이 여자에 대해 설레어 어쩔 줄 몰라 하는 마음을 동기의 반복과 변형, 선율의 도약을 통해서 드러내주고 있었다.
다섯 번째 작곡가 슈만의 《미르테의 꽃: Myrthen, op.25, 1840》 은 시인들의 시를 가사로 담아 총 2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슈만이 결혼식 전야에 사랑하는 부인 클라라(Clara Schumann, 1819-1896)에게 헌정한 작품이다. 그 중 첫 번째 곡인 〈헌정: Widmung, Op.25 no.1〉은 A- B-A'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율의 진행과 도약을 통해 가사를 부각시켜주어 신앙에 가까운 숭고한 사랑을 표현하는 곡이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