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Summary 6

I. 서언 9

II. 연구사 11

III. 재료 및 방법 14

1. 시험재료 및 재배방법 14

2. 종실 단백질 함량 분석 16

3. 종실 isoflavone 함량 분석 17

4. 통계처리분석 19

IV. 결과 및 고찰 20

1. 종실 단백질 함량의 변이 20

가. 수집국가에 따른 단백질 함량 변이 22

나. 종실크기에 따른 단백질 함량 변이 23

다. 종피색에 따른 단백질 함량 변이 24

2. 종설 isoflavone 함량의 변이 25

가. 수집국가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이 29

나. 종실크기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이 31

다. 종피색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의 변이 33

3. 단백질과 Isoflavone 함량의 상호관계 35

V. 적요 36

인용문헌 38

Appendices 45

Appendix 1. Collected informations and seed characteristics in soybean germplasm. 45

Appendix 2. Protein contents of seed in 300 soybean germplasms. 67

Appendix 3. Isoflavone contents of seeds in 300 soybean germplasms. 79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북한 및 러시아의 6개국으로부터 수집되어 보존되고 있는 콩 유전자원 300점에 대한 단백질함량과 기능성 물질인 isoflavone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여 향후 국내의 새로운 고품질 콩 품종개발을 위한 유용유전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단백질의 평균 함량은 39.0% 이었고, 28.7~44.5%의 범위 이었다. 단백질 함량의 분포는 38~40%의 범위에서 99점으로 가장 많았고, 40~42%범위에서 78점으로 두 번째로 많이 분포 하였고, 36~38%의 범위에서 64점, 34~36%, 42~44%사이의 범위가 각각 26점이었으며, 34%이하 4점, 44%이상은 2점 이였다.

2. 단백질 함량이 43% 이상인 유용유전자원은 IT263050(44.5%), IT101111(44%), IT24921(43.8%), IT167907(43.8%), IT102595(43.6%), IT161574(43.5%)이었고 모두 중국, 한국 수집종 이었다.

3. 한국이 39.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북한(39.2%), 중국(39.0%), 일본(38.8%)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미국(38.0%)이 높았고, 러시아(37.2%)가 가장 낮았다

4. 종실 크기에 따른 단백질함량은 소립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립종이 높았으며, 중립종이 가장 낮았다

5. 종피색에 따른 단백질 함량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6. 총 isoflavone의 함량은 평균 888.8㎍/g이었고, 207.02~3561.8㎍/g의 범위였고, 총 isoflavone 함량의 분포는 500~1000㎍/g 범위에서 165점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2500㎍/g이상이 1점으로 가장 적게 분포하였다.

7. 총 isoflavone 함량이 2000 ㎍/g이상인 상위 6개 자원은 IT262889(3561.8㎍/g), IT171009(2271.0 ㎍/g), IT100869(2250.5 ㎍/g), IT208248(2179.3 ㎍/g), IT142911(2028.7 ㎍/g) 및 IT142854(2017.1 ㎍/g)이었다.

8. 수집국가에 따른 총 isoflavone 평균함량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9. 종실크기에 따른 종실의 총 isoflavone 평균함량은 소립종이 평균 1156.0㎍/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립종이 평균898.4㎍/g이 높았고, 중립종이 평균 812.3㎍/g으로 가장 낮았다.

10. 종피색에 따른 종실의 총 isoflavone 평균함량은 갈색콩과 검정콩이 각각 1074.2 ㎍/g, 1070.1 ㎍/g으로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녹색콩이 평균 1006.2㎍/g으로 높았으며, 황색콩은 평균 803.0 ㎍/g로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