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개요 10

제1장 서론 15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0

제2장 이론적 고찰 24

2.1. 유휴공간 24

2.1.1. 개념과 정의 24

2.1.2. 발생과 전개 30

2.1.3. 문제점과 가능성 38

2.2. 재활용 44

2.2.1. 정의와 개념 44

2.2.2. 방식과 실제 48

2.2.3. 역사와 동향 51

2.3. 문화공간 65

2.3.1. 의미와 역할 65

2.3.2. 문화공간, 도시문화, 문화도시 72

2.2.3. 현대예술의 변모와 문화공간 82

2.4. 소결 94

제3장 해외사례 조사·연구 98

3.1. 사례 선정의 준거 98

3.2. 사례연구 100

3.2.1. 우파 파브릭 (ufa Fabrik) 100

3.2.2. 커스타드 팩토리(Custard Factory) 112

3.2.3. 따산즈(大山子) 798 예술특구 124

3.2.4. 가나자와(金澤) 시민예술촌 133

3.3. 소결 : 시사점 149

제4장 문화공간 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 155

4.1. 문화공간의 새 패러다임 155

4.1.1. 왜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155

4.1.2. 자생적 지역 문화의 창조 164

4.1.3. 커뮤니티 아트의 진작 167

4.2. 도시재생과 지역 활성화 171

4.2.1. 도시재생과 문화공간 171

4.2.2. 지역 경제 활성화 174

4.2.3. 지역 경쟁력 제고와 장소마케팅 179

4.3. 복합화와 복합문화공간 183

4.3.1. 복합화의 중요성과 필요성 183

4.3.2. 복합문화공간 186

4.3.3. 복합문화공간의 성과와 과제 191

4.4. 선순환 구조와 지속가능성 196

4.4.1. 선순환 구조 확보의 중요성 196

4.4.2. 지역 주민의 예술 향유 198

4.4.3. 재생산 구조 200

제5장 부산 문화공간 구축 방안 203

5.1. 국내 동향 203

5.1.1. 재활용의 역사와 현실 203

5.1.2. 유형과 사례연구 209

5.1.3. 진단과 문제점 218

5.2. 부산의 현황과 실태 220

5.3. 사례조사 226

5.3.1. 아트팩토리 인 다대포 226

5.3.2. 또따또가 229

5.3.3. 안창마을 232

5.3.4. 물만골 234

5.3.5. 진단과 문제점 239

5.4. 문화공간의 활성화 전략 243

5.4.1. 공공성 확보와 시민 참여 244

5.4.2. 시민이 중심이 되는 지역문화 246

5.4.3. 도시재생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그램 249

5.4.4. 자주적 관리와 지원 252

5.4.5. 운영과 유지 관리 인력의 양성 258

5.4.6. 프로그램 개발과 차별화 전략 260

제6장 결론 264

참고문헌 272

Abstract 284

부록 7

〈부록1〉 유휴공간의 발생 원인과 용도와 시설, 구체적 사례 291

〈부록2〉 작업 범위에 따른 법적인 구분 292

〈부록3〉 재활용 방식 및 특성 293

〈부록4〉 유휴공간의 문제점 및 재활용 294

〈부록5〉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국내 사례 목록 295

〈부록6〉 미술분야 국·공립 문화공간 현황 299

〈부록7〉 미술분야 사립 문화공간 현황 300

〈부록8〉 공연분야 문화공간 현황 301

〈부록9〉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유휴공간 관련 정책 및 사업 내용 302

〈부록10〉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유휴공간 관련 정책 및 사업 내용 305

표목차

〈표2-1〉 국내 문헌에서의 유휴공간 개념 정의 요약 26

〈표2-2〉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휴공간의 범위 29

〈표2-3〉 재활용 관련 용어의 일반적 정의 46

〈표2-4〉 재활용의 방법구분 49

〈표3-1〉 우파 파브릭 사업내용 106

〈표3-2〉 우파 파브릭 교육프로그램 107

〈표3-3〉 우파 파브릭 공간운영 프로그램 109

〈표3-4〉 커스타드 팩토리 공간 구성 117

〈표3-5〉 따산즈798 예술특구의 공간 구성 129

〈표3-6〉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공간 구성 139

〈표3-7〉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공방별 사업 내용 145

〈표3-8〉 유휴공간 활용의 유형과 공통 기능과 역할 149

〈표3-9〉 해외사례 공간·프로그램 구성요소 151

〈표3-10〉 해외사례 연구 : 요약 153

〈표3-11〉 해외사례 연구 정리 154

〈표4-1〉 2004-06년도 영국 예술위원회의 커뮤니티 아트 지원 프로그램 170

〈표4-2〉 복합문화공간의 역할과 기능 188

〈표4-3〉 서비스마케팅의 목적과 효과 195

〈표5-1〉 유휴공간 재활용 현황 208

〈표5-2〉 예술창작벨트 시범 사업 선정내역 214

〈표5-3〉 부산시 도시재개발 관련 사업 222

〈표5-4〉 부산 폐교 재활용 사례 224

〈표5-5〉 부산 유휴공간 재활용한 문화 공간 237

〈표5-6〉 부산 공공기관 유휴공간 재활용 사례 238

〈표5-7〉 부산 공가 재활용 사례 239

〈표5-8〉 도시재생을 위한 커뮤니티 프로젝트 251

〈표5-9〉 프리마켓의 변화과정 262

〈표6-1〉 문화공간 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조와 내용 267

그림목차

〈그림 1〉 우파 파브릭 위치 101

〈그림 2〉 우파 파브릭 공간 구성 101

〈그림 3〉 커스타드 팩토리 풍경 112

〈그림 4〉 커스타드 팩토리 위치 112

〈그림 5〉 따산즈798 지리적 위치 124

〈그림 6〉 공장 내부 129

〈그림 7〉 SPACE 798의 공장 외부 129

〈그림 8〉 가나자와시의 지도 134

〈그림 9〉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풍경 134

참고문헌 (2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소장
2 (2009), 『창조지구 문화생산의 전위』,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3 (2007),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미소장
4 (1997), 『문화경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5 (2009), 『문화공간의 사회학』,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6 (1993), 『이성적 사회를 향하여-사회적 공간과 문화공간』, 민음사. 미소장
7 (2002), 『예술경영』, 김영사. 미소장
8 (2014),『도시재생 실천하라』, 미세움. 미소장
9 (2007), 『문화자원과 지역정책』, 대왕사. 미소장
10 도시재생사업단 엮음 (2012),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11 도쿄대 cSUR-SSD (2012), 『살고싶은 도시 100』, 21세기 북스. 미소장
12 (2008), 『서울의 문화자원 분포와 문화생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미소장
13 문화연대 공간환경위원회 (2002), 『문화도시 서울 어떻게 만들 것인가』, 시지락. 미소장
14 (2005),『디지털·미디어·문화』, 한나래. 미소장
15 (2006,), 『미술, 살 만한 세상을 꿈꾸다.』, 학고재. 미소장
16 (2007), 『세계화 시대의 문화와 관광 : 한국관광의 새로운 진로 모색을 위한 제언』, 경덕출판사. 미소장
17 부천문화재단 (2009), 『지역문화정책과 도시마케팅 : 도시마케팅의 관점으로 본 박물관의 사회적 영향』 , 디프넷. 미소장
18 (1990), 『일제강점기 도시계획연구』, 일지사. 미소장
19 (1990), 『한국현대도시의 발자취』, 일지사. 미소장
20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 (2000),『book+ing책과 만나다.』, 그린비. 미소장
21 (1990), 『문화공간운영의 기초』,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소장
22 (2002), 『예술과 경영』, 태학사. 미소장
23 (2004), 『문화공간 개혁과 예술 발전』, 연극과 인간. 미소장
24 (2006), 『도시 마케팅의 이해』, 한솜미디어. 미소장
25 (2008),『문화도시 :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일신사. 미소장
26 (1994), 『예술경제란 무엇인가?』, 신구미디어. 미소장
27 국토연구원엮음 (2001),『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미소장
28 (2010) ,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탑북스. 미소장
29 (2005), 『세계의 미술관을 찾아서-오르세이미술관』, 현대미술관회, 현대미술관회출판부. 미소장
30 (2003), 『예술경영』, 세종출판사. 미소장
31 (1998), 『현대미술의 지형도』, 시각과 언어. 미소장
32 (1999), 『21세기 문화 미리보기』, 시각과 언어. 미소장
33 (2002), 『문화공간 운영,‘관리’할 것인가 ‘경영’할 것인가』, 예술과 경영. 미소장
34 (2009), 『공연예술경제학』, 삼영사. 미소장
35 (1993), 『도시재생과 경관만들기』, 발언. 미소장
36 (2010), 『21세기 도시재생의 패러다임』,보성각, 미소장
37 (2002), 『문화예술과 도시경제』, 문자향. 미소장
38 (2005), 『문화예술정책론』, 박영사. 미소장
39 (2007),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송정. 미소장
40 (2004), 『문화정책론』 서울경제경영. 미소장
41 (2001),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나무와 숲. 미소장
42 한국공간환경학회 (1998), 『현대도시이론의 전환 : 지역성장을 위한 문화적 장소 마케팅』, 한울. 미소장
43 한국문화경제학회 (2001),『문화경제학만나기 : 문화경제학의 원류아 탄생』, 파주:김영사. 미소장
44 2006 여가백서 네이버 미소장
4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아트센터』, 문화예술총서 6. 미소장
46 지역 발전 매체로서의 문화공간 소장
47 (2010), 『꿈꾸는 미술 공장 베이징 일기』, 세미콜론. 미소장
48 (1999), 『문화경제학』, 나남출판. 미소장
49 (2005),『예술 엔터테인먼트, 이젠 마케팅으로 승부한다.』, 아진. 미소장
50 (2005),「국내 문화예술기관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1 (2006),「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2 (2003), 「수원 화서경내의 보전과 회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3 유휴공간 재생을 활용한 커뮤니티 아트 활성화 방안 연구 : 한강교량 하부를 대상으로 소장
54 (2010), 「예술창작촌의 장소 형성 연구」, 서울대학교 조경학공학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5 (2005),「한국 문화공간으로서의 동숭아트센터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6 (2010),「근대 건축물 보존 활용을 통한 복합문화 공간계획」,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7 놀이를 통한 소통의 장으로서의 지역 다목적 문화공간 계획 : 서빙고 유휴지 재생을 중심으로 소장
58 문화공간의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공간의 다변화 현황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59 복합문화 예술공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충무아트홀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60 폐공간 활용 예술공간 연구 : 창작-향유-유통-재생산의 선순환 구조를 중심으로 소장
61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소장
62 건축공간의 재생·활용을 위한 컨버전디자인의 전략과 방법에 관한 연구 소장
63 매개공간 개념을 적용한 도심 속 유휴부지 내 공공 공간 계획 : 경춘선 폐선부지를 중심으로 소장
64 (2009), 「유럽의 폐 산업시설 활용 문화예술공간 연구」, 인하대학교 문화경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5 문화도시 부산의 유휴공간 활용 방안 연구 소장
66 도시공간의 유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남대문시장 유휴공간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소장
67 도시 재생과 미술 문화 공간 설립에 관한 연구 : 인천 중구의 (가칭) '예촌'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소장
68 (2006), 「보험삼품 부대서비스의 편익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9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소장
70 문화시설을 활용한 도시마케팅에 관한 연구 소장
71 A Study on Art Creative Space of Revitalizing Industry Idle Space 네이버 미소장
72 (2009), 「서울시 컬쳐노믹스 문화정책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3 (2008), 「우리나라 유휴공간의 재활용 유형과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건축학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4 (2010), 「복합문화공간 일상화를 위한 Cafe 계획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실내설계전공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5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한·중 비교연구 : 서울 문래동예술촌과 북경 798대산자예술구를 중심으로 소장
76 (2009),「복합문화공간의 서비스마케팅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7 무용공연극장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 소장
78 (2004),「도시 유휴공간의 조경잠재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9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통한 도시활성화 방안연구 : 광주 광역시를 중심으로 소장
80 문화도시 구축요인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81 (2007),「공연예술레지던스 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문화예술경영학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2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 산업 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83 (2012), 「도시문화와 공공공간」, 제6회 경성대학교문화발전연구소학술대회. 미소장
84 경기도 (2009),「경기 북부형 커뮤니아트 모델 개발과 네트워크화 최종보고서」. 미소장
85 (2005), 한국문화예술 위원회 문화예술지. 미소장
86 A Study on the Planned Building from Renovation Concept of Renaissance Period 소장
87 (2010), 「공연문화공간의 복합기능」,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미소장
88 Study on the Program of Multi Purpose Cultural Facilities as Community Space 네이버 미소장
89 (2001), 「도시재생과 문화공간의 조성」, 서울역사박물관. 미소장
90 따산즈(大山子)예술촌과 베이징의 도시문화 아이콘 소장
91 (2006) 「문화도시 육성방안 연구」, 문화관광정책. 미소장
92 (2011),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 제27권 6호. 미소장
93 대한금속재료학회 (2009), 「문화예술과 음악을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엔지니어가 되자!」, 학술논문, 26권 4호. 미소장
94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 소장
95 재생의 주거환경적 의미;주거환경의 보전 소장
96 문화관광부 홈페이지,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 미소장
97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2~2013.2),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문화예술 정책자료집. 미소장
98 (2007), 「폐공간에서 예술공장으로 -프랑스 에술공간 프로젝트와 새로운 문화행동」,프랑스문화연구 제15집. 미소장
99 (2008), 「창조도시, 창조계급, 문화에술경영」,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미소장
100 (2008),「해외 창작스튜디오 및 레지던스 프로그램의 운영과 유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미소장
101 (2005) 「도시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 문화정책총론」, 제17집. 미소장
102 도시공간의 유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남대문시장 유휴공간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소장
103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mall Gallery Renovation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104 (1999), 「새로운 예술의 해 추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미소장
105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 활성화 방안 네이버 미소장
106 The Study on Proposals to Improve the Art & Cultural Spaces Through Unused and Misused Space -Focusing on the "Incheon Art Platform" Art Residency Program- 소장
107 「도시문화와 도시문화산업전략」, 한국학술정보. 재인용. 미소장
108 (2000), 「remodeling 건설시장의 발전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미소장
109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연혁 네이버 미소장
110 Functionality of Kanazawa Citizen's Art Center in the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111 문화예술과 경제성장 : 문화투자의 경제성장 기여도 분석 네이버 미소장
112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otivation using a fast-food restaurant 소장
113 (2012),「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아우리. 미소장
114 (2006), 「커뮤니티 아트 진흥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동향/연구보고서. 미소장
115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Local Community through the Use of Cultural Art Facilities 네이버 미소장
116 Methods for Research of Art Market 네이버 미소장
117 (2011), “원도심 창작공간 또따또가 이야기”, 「웹진 문화관광」, 4월호. 미소장
118 한국건축가협회 (1994), 「한국의 현대건축, 1876-1990」. 미소장
119 문화를 통한 지역개발 사례 연구 네이버 미소장
1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여가백서」. 미소장
121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 「문화와 사회발전의 관련성 연구」. 미소장
122 http://fr.wikipedia.org/wiki/Friche 미소장
123 http://ice.mircaravan2010.eu/ 미소장
124 http://m.search.naver.com 미소장
125 http://www.custardfactory.co.uk 미소장
126 http://www.eaue.de/winuwd/199.htm 미소장
127 http://www.kookje.co.kr 미소장
128 http://www.ufafabrik.de/en/nav.php?pid=n95 미소장
129 www.inartplatform.kr 미소장
130 www.kanazawa-tourism.com 미소장
131 www.kanazawa-tourism.com 미소장
132 http://news.never.com 미소장
133 www.798art.org 미소장
134 http : www.eaue.de/winuwd/199.htm 미소장
135 http://www.798art.org 미소장
136 http://outdoorcafe/91 미소장
137 광주일보, 2013. 3. 14 미소장
138 권영상 (2013. 3. 14),“일본 가나자와의 역사적 수변공간 재생”,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광주일보, 미소장
139 김지원 (2010.12.8.), “세계의 소프트시티를 가다<27> 가나자와 - 예술은 일상, 시민은 예술가”, 한국일보. 미소장
140 뉴스위크 한국판 (2009.9.30.). 미소장
141 뉴에이스 국어사전 (2009), 금성출판사. 미소장
142 박지영 (2013.10.15), “기무사 터에 테이트를 허하라”, 중앙일보. 미소장
143 조선경제 (2013.9.5.), 경영, B10. 미소장
144 A 3,3′-dichlorobenzidine-imprinted polymer gel surface plasmon resonance sensor based on template-responsive shrinkage 네이버 미소장
145 (1964), 『The Culture Consumers : A Study of Art and Affluence in America』, St. Martin's Press. 미소장
146 (1983), 『“Artwork in the age of technical reproduction,” a literary art theory by Walter Benjamin :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발터 베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역, 민음사. 미소장
147 (2007), ‘Friche la Belle de Mai’,「From Wasteland to Art Factories - New approach of a Cultural Activity through a Re-Creating a Location」,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포럼 자료집. 미소장
148 (2004). 『Marketing cultural Organisations : 문화예술기관의 마케팅』, 이보아·안성아역, 김영사. 미소장
149 (2004), Terra lncognita : Vacant land and Urban 미소장
150 [C3], N. 286., “Cultural Shift out of Industrial”, C3, 2008. 06. 미소장
151 (2005). 『The Creative City : 창조도시』, 임상오 역, 해남. 미소장
152 (2006).『Creative City : 창조도시』, 최지영 역, 역사넷. 미소장
153 (2005). 『Third Space : 제3의 공간』, 최기철 박성신 공역, 미래의 창. 미소장
154 (1990). Urban Renewal Theory and Practice. 미소장
155 (2004). 『Economics and culture : 문화경제학』, 한올아카데미. 미소장
156 (2002).『Art Management,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미소장
157 (2011).「Walking along the Culture, Museum, Art Center: C3」, No.322, C3, 미소장
158 (2011),『Triumph of the city : 도시의 승리』, 이진원 역, 해냄. 미소장
159 Epidemic”,Urban Affiars Quarterly, V.25 (3). 미소장
160 (1998), 『Marxism and Modernism : 마르크시즘과 모더니즘』, 김병익 역, 문학과지성사. 미소장
161 (1990), 『Postmodernism and consumer society –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m : 포스터모더니즘과 소비사회-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김욱동편,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162 (2001), 'Culture, Ecologie et Projet de Vie', Ufa Fabrik, Berlin, Les Fabriques - lieux imprevus, Ed. TransEuropeHalles. 미소장
163 (2001). Fabriques - lieux imprevus, Ed. TransEuropeHalles. 미소장
164 (1990), “The TOADS : A New American Urban. 미소장
165 Brownfields, TOADS, and the Struggle for Neighborhood Redevelopment: A Case Study of the State of New Jersey 네이버 미소장
166 GA (1999), 『건축 20세기, 2』, GA편집부. 미소장
167 (2008)i, ed., [Beijing 798], Beijing, 四川美術出版社. 미소장
168 (1999), 『Docklands, Cultures in Conflict, Worlds in Collision』, UCL Press. 미소장
169 (1996), 『New Museums :현대박물관』, 이경훈역, 태림문화사. 미소장
170 (1993), 『France Architecture 1965-1988 : 현대 프랑스건축』, 박민철, 박선화역, 미건사. 미소장
171 (2000), 『Art & ecnomics』, 이흥재 역, 살림. 미소장
172 Cities and the wealth of nations: by Jane Jacobs Random House, New York, 1985, 257 pp, $17.95 네이버 미소장
173 (1992[1981]), 『Simulacre et Simulation]([시뮬라시옹』, 하태환역, 민음사. 미소장
174 (2000), 『Consumer Society 』, 이상율 역, 문예출판사. 미소장
175 (2001), The age of access, 이희재역, 믿음사, 2010. 미소장
176 (2001), 『(The) Urban order』, 이현욱외 역, 한울. 미소장
177 (2009), 『Preservation and history of cultural heritage in architecture - the past and the future 』, 최병하역, 5, 6, 7 장, 기문당. 미소장
178 (2003), Redesigning Cities : Principles, Practice, lmplementation, American Planning Assocition. 미소장
179 (2005),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한종훈, 이혜진 역, 박영사. 미소장
180 (1961), 『City in history』, Harcourt, Brace & World, INC,. New York. 미소장
181 (2003), 『Urbanisme』([도시계획]), 정성현역, 동녘. 미소장
182 (2001), 『(The) Informational city』, 최병두역, 한울. 미소장
183 (1995),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윤호병 역, 현대미학사. 미소장
184 “Towards an urban cultural mode of production: A case study of Kanazawa Japan, 1”, [Urban Crisis, Culture and Urban Sustainability of Cities], ed. by M. Nadarajah & A.T. Yamamoto, New York, UNU Press, 2007. 미소장
185 (2006), 『Eight conditions to read the future 』, 백종유 역, 청림. 미소장
186 (1996[1993]), 『Urban sociology, capitalism and modernity』, 김왕배 옮김, 한울. 미소장
187 (2010),Quel devenir pour les friches culturelles en France? - D'une conception culturelle des pratiques a' des centres artistiques territorialises : volume 1, Recherche menee dans le cadre du projet CPER 2008-2009 Haute - Normandie "La friche cadre d'une aventure culturelle et espace urbain polyvalent et durable", Mai. 미소장
188 (2005), 『(La) distinction』, 최종철 역, 새물결. 미소장
189 (1987), 『Sculpture in the Expanded Field』, 현대미술비평 30선, 계간 미술편, 중앙일보사. 미소장
190 (1961), 『The Long Revolution』, Chatto and Wounds. 미소장
191 (2003), 『(The)Rise of the creative class』, 이길태 옮김, 전자신문사. 미소장
192 (2008),『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이원호, 이종호, 서민철 옮김, 푸른길. 미소장
193 (2011),『Creative Class』, 이길태 옮김, 북콘서트. 미소장
194 (2002[2006]), 『Creative class』, 이길태 역, 전자신문사. 미소장
195 (1998[1997]), 『Economies of Signs and Space』, 박형준, 권기돈 역, 현대미학사. 미소장
196 (1991), [The Global City, New York, London, Tokyo]. 미소장
197 (2007), “Sustainability in a traditional castle city: A case study of Kanazawa, Japan, 2”, [Urban Crisis, Culture and Urban Sustainability of Cities], ed. by M. Nadarajah & A.T. Yamamoto, New York, UNU Press. 미소장
198 SPACE (2007.8),「Shanghai, Hongkong」,N. 477. 미소장
199 Strategi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미소장
200 SWR (2003), 『UNESCO World Heritage Site 』, 베텔스만. 미소장
201 (2004), 『Die Revolution der Bilder』, 김현진역, 커뮤니케이션북. 미소장
202 (2003), 『Globalization : the human consequences』, 김동택 역, 한길사. 미소장
203 (2009), 「北京798藝術區發展硏究」 新視野. 미소장
204 (2012), 「鋪就“798”藝術發展之路」, 北京支部生活 第10期. 미소장
205 (2009),『영국의 거버넌스형 마을 만들기 - 사회적 기업에 의한 도시 재생』, 김영훈, 김기수, 최광복역, 기문당. 미소장
206 (2009),『영국의 지속가능한 지역만들기』,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07 (2004), 『창조하는 도시』 정원창 역, 소화. 미소장
208 (2009),『도시경제와 산업 살리기』, 나주몽, 류영국, 이영석, 조동범 옮김,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209 (1999), 『20세기의 디자인』, 강현주 역, 조형교육, 미소장
210 (2009), 『창조하는 도시』, 정원창옮김, 소화, pp.122-13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