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2
1. 연구배경 12
2.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5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6
II. 이론적 고찰 17
1. 산림 치유관련 이론 및 개념 17
1)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 ART) 17
2) 진화심리이론(Psycho-Evolutionary Theory ; PET) 17
3) 대체·통합 의학 18
4) 사바나 이론 19
5) 바이오필리아(Biophilia) 가설 19
2. 산림치유의 개념 21
1) '치료' 와 '치유' 의 개념 21
2) 산림치유와 유사한 개념들 21
(1) 산림욕 21
(2) 산림테라피 21
(3) 산림요법 22
(4) 원예치료 22
(5) 산림치유 23
3. 연구사 24
1) 산림치유의 정의 24
2) 산림치유 인자 24
3) 산림치유 효과 28
(1) 질병에 따른 산림치유 효과 연구 28
(2) 치유의 숲 공간에 따른 산림치유 효과 연구 29
(3) 산림치유의 심리적 효과 33
(4) 산림치유의 생리적 효과 35
(5)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따른 산림치유 효과 연구 36
(6) 정신적 질환의 산림치유 효과 연구 36
4) 조현병에 관한 연구 38
III. 연구설계 40
1. 연구가설 40
2. 연구방법 42
1) 실험대상지 42
2) 피험자 42
3) 측정 지표와 도구 및 방법 43
(1) 혈압 43
(2) 타액 코티졸 44
(3) 프로그램 만족도 44
(4) 정신과적 척도 45
(5) 모니터링 관찰 척도 46
4) 연구진행 절차 47
3. 분석방법 50
IV. 연구결과 및 고찰 51
1.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51
2. 물리환경 조사 결과 52
1) 대상지 개요 52
2) 물리적 환경 53
3) 기상 57
3. 혈압 및 타액 코티졸 농도 58
1) 혈압 측정 58
2) 타액 코티졸 농도 59
4. 임상 및 자가 평가 61
1) 임상 평가 61
2) 자가 평가 62
5. 관찰척도 평가 64
6. 프로그램 유형별 적용 66
7. 고찰 69
V. 결론 및 제언 70
1. 산림치유 인자 구분 70
2. 조현병환자의 산림치유 효과검증 72
3. 제언 73
VI. 인용문헌 75
Abstract 83
부록 86
부록1. 2013년 해밀숲 참가동의서 86
부록2. 정신과 척도 87
부록3. 정신과척도 결과 해석 97
부록4. 모니터링 척도 101
부록5. 2013 해밀숲 만족도 설문조사 103
부록6. 대상지에 분포하는 식물 목록 104
그림 1. 대상지 위치도 52
그림 2. 대상지내의 임상별 위치 52
그림 3. 건지산(대상지)의 등산로 분포 53
그림 4. 건지산의 목본식물 54
그림 5. 전주이씨 재실초입 왕버들(Salix chaenomeloides Kimura) 전주시 보호수 55
그림 6. 건지산 거점 장소와 오송제 주변 식생 56
그림 7. 타액 코티졸의 프로파일 도표 59
무병장수에 대한 희망은 시대를 막론하고 변함없이 지속되어 온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다. 현대로 들어오면서 소득이 증가하고 여가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새로이 생겨난 삶의 질에 대한 욕구는 문화에 대한 향수와 자연 친화에 대한 갈구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도시화 현상은 산림을 비롯한 자연환경에서 현대인들을 소외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각성을 촉구하며 자연과 인간문명의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하게 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20세기 지구촌의 화두가 발전과 개발이었다면 21세기의 화두는 자연과 환경의 지속 가능성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산림치유, 치유의 숲 등에 대한 정책적 추진과 사회적 관심, 의학적 필요에 의해 숲의 치유적 효과를 규명한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산림치유 연구들이 산림치유의 효과 입증에 치중하거나, 치유인자 중 한 두 개 특성에 편중되었던 경향이 많았다. 즉, 숲을 경험하게 되면 치유적 효과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효과가 숲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숲이 가지고 있는 어떠한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숲에서 진행되는 활동에 따른 효과에 대한 연구 역시 충분히 다뤄지지 못하였다. 산림치유의 효과 입증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대상선정의 기준은 제시되지 못하였다. 의학의 범주에 있는 질병보다는 의학의 한계에 있는 정신질환 질병에서 산림치유의 효과가 더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시적 시각으로 산림치유의 인자를 구분하고, 산림치유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통해 치유인자(임상,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치유효과를 보여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산림치유 개념과 치유 인자를 제시한다. 둘째, 만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산림치유의 대상에 따라 적합한 물리적 환경이 있음을 검증한다. 셋째, 산림치유의 대상에 맞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유형별 적용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산림치유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만성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매월 1회씩 7개월간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사전/사후의 혈압, 타액 코티졸 농도, 정신과적 척도,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피험자들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시행 전/후로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정신과적 척도 중 토론토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에서 감정표현의 어려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여 비교했을 때,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명상의 만족도가 침엽수림보다 활엽수림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현병 환자의 숲체험 프로그램의 치유효과가 활엽수림이 침엽수림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 점은, 테르펜은 침엽수림에서 더 많이 발생하지만 심리적 안정감은 활엽수림에서 더 높은 것만을 확인했던 선행연구결과보다 진전된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피톤치드로 대표되는 산림치유의 대상지가 대부분 침엽수림이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를 통해 산림치유의 다른 인자들 또한 산림치유 효과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산림치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치유 인자를 정확히 구분하고 또한 이를 산림치유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구성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이 치유 인자들을 다양하게 열거하면서도 정확한 분류나 구분의 체계가 미흡하여 연구의 결과 분석이 한 인자에만 치우쳐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연구를 통해 선행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분류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류나 구분 없이 산재한 치유 인자로 인해 정확한 척도가 제시되지 않았던 산림치유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하였다. 특별한 기준 없이 대상에 따른 전문 척도만을 치유효과 검증에 사용하였던 기존의 산림치유효과검증에 대한 새로운 모델제시의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산림치유 인자의 구분과 사례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은 단일 집단의 사전/사후 척도비교로 이루어진 임상실험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임상실험이 가지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전/후 긍정적 효과 정도가 선행연구보다 적게 나타남으로 인해 추후, 프로그램의 반복 간격에 따른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반복 간격과 프로그램의 지속시간에 따른 효과 차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향후, 같은 프로그램과 운동량으로 실내와 실외공간에서의 비교집단을 갖추어 진행한 Coon(2011)의 연구와 같이 추후 조현병 환자에 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 산림치유효과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위와 같은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11. 일본 산림세라피 정책특성 분석을 통한 전라남도 치유의 숲 정책 제언. 23(2): 85-102. | 미소장 |
2 | 2002.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서울:일조각. | 미소장 |
3 |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탐색 | 소장 |
4 | Theoretical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Elementsand Application to Forest Therapy ![]() |
미소장 |
5 | 2009. 치유 숲길 조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12(4): 57-66. | 미소장 |
6 | 2008. 산음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운영 프로그램 구상안. 한국산림휴양학회 춘계학술대회. pp: 41-44. | 미소장 |
7 | The Effects of Negative Ions on Stress Responses and Cognitive Functions | 소장 |
8 | 1997. 만성 정신장애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훈련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산림의 건강기능 구명을 위한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뇌파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장 |
10 | 2000. 정신분열병을 극복하는 법. 서울: 도서출판 하나의학사. | 미소장 |
11 | 협동화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2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5. 신경정신의학 2판. 중앙문화사. 서울. | 미소장 |
13 | 2010. 최신정신의학. 서울:일조각. | 미소장 |
14 | 산림휴양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 경관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 소장 |
15 | Physiological Effects of Viewing Forest Landscapes : Results of field tests in Atsugi city, Japan | 소장 |
16 | 집단미술치료가 정신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17 | 2008. 정신분열병 환자의 스트레스 관리 훈련의 효과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19 | (A)study on the activating solutions of forest welfare-policy for senescence : focused on the plan of forest healing town | 소장 |
20 |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정신보건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미소장 |
21 | 산림청. 2011. 숲을 이용한 건강․치유 프로그램 개발. 산림청 pp.501. | 미소장 |
22 | 산림청.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 미소장 |
23 | 산림청. 2013. 산림복지종합계획. p.78. | 미소장 |
24 | 산림치유포럼. 2009. 산림치유. 전나무 숲. | 미소장 |
25 | 2000. 원예치료학. 단국대학교출판부. 서울. | 미소장 |
26 | 정신분열증 환자를 위한 무용/동작치료의 warm-up방법에 관한 연구 | 소장 |
27 |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 소장 |
28 | Effects of Phytoncides on Psychophysical Responses | 소장 |
29 | Articles :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s 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 소장 |
30 | 2005. 치유의숲. 서울:지성사. pp.222. | 미소장 |
31 | 2007.숲 체험이 인간 심리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3): 37-43. | 미소장 |
32 | (A)study on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of the healing forest | 소장 |
33 | 2009. 치유의 숲 정책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1): 63-75. | 미소장 |
34 | 2002. 침엽수와 활엽수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성분의 분석. 한국냄새환경학회. 2002(5):181-182. | 미소장 |
35 | 2007. 숲 치유프로그램을 통한 알콜의존자의 우울수준 변화. 한국산림휴양학회 11(3):1-6. | 미소장 |
36 | 2008. 보완대체의학. 아카데이카. 서울. | 미소장 |
37 | 2013. 대체의학월론. 지구문화사. 파주. | 미소장 |
38 | 2002. 森と心-森林療法における心理的効果. 森林文化研究 23. | 미소장 |
39 | Analysi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ase Using Therapeutic Function of Forests ![]() |
미소장 |
40 |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the Effect Using Forest on Human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 Focusing on the Forest Therapy Certification in Japan - ![]() |
미소장 |
41 | The Clinical and Immunological Effects of Forest Camp on Childhood Environmental Diseases | 소장 |
42 | 2011. 정신분열병환자의 숲치유 프로그램 모니터링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4):8-15. | 미소장 |
43 | A Study of the Variety of the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ermany | 소장 |
44 | 2012. 산림 피톤치드 효능을 활용한 자연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식물요소를 내포한 세시풍속의 산림치유적 프로그램 응용방안 | 소장 |
46 | 치유의 숲 산림관리 기법에 관한 연구 | 소장 |
47 | The Impact of Landscape Type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and Cognitive Performance-Comparison between Natural and Urban Landscape- | 소장 |
48 | Analysis on Visitors of Recreation Forest in an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 소장 |
49 | 2002. 노인중심으로 엮은 원예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 미소장 |
50 | The Influence of Forest Scenes on Psychophysiolosical Responses | 소장 |
51 |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도시녹지의 건강편익에 관한 연구 | 소장 |
52 | 오감자극 원예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53 | 2012. 산림치유 관련 국외 증거 연구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4;61-65. 한국산림휴양학회. | 미소장 |
54 | 치유의 숲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 소장 |
55 | 산림치유의 생리·심리적 효과 분석 ![]() |
미소장 |
56 | 정영철, 대한정신분열병학회. 2008. 결정적 시기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정신사회적 중재. 서울:학지사. | 미소장 |
57 | 숲산책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여성 환자의 체중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58 |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Length on Sociality and Psychology Stabilit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 소장 |
59 | 2009. 치유의 숲 적정입지 평가모형 개발 및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농학박사 학위논문. pp: 1-112. | 미소장 |
60 | Development and effect of Gestalt group therapy for schizophrenic patients ![]() |
미소장 |
61 |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Healing Program on Alcohol Dependa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소장 |
62 | 2009. 강원도 숲의 의학적 치유효과. 강원발전연구원 PIE, 09-04. | 미소장 |
63 | The Influence of Forest Walking Exercise on Human, Stress and Fatigue | 소장 |
64 | 2010. 원예치료의 치료적 요인 고찰.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5 | Effects of Acute forest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of IGT, NIDDM in the Elderly | 소장 |
66 | The Influence of Excercise in a Forest Environment on Blood Pressure, Heart Rate, MDA and SOD | 소장 |
67 |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KHTA). 2000. 홈페이지 http://www.khta.or.kr | 미소장 |
68 | 1983. 森の不思議. 일본 東京 : 岩波書店. p 242. | 미소장 |
69 | 2000.日本の代表的森林タイプにおけるアメニティの比較考察. 日本造園学会研究発表論文集 63(5):583-586. | 미소장 |
70 | AHTA homepage. 2010. http://www.ahta.org/information/faq.html | 미소장 |
71 | Integrative Medicine and Systemic Outcomes Research ![]() |
미소장 |
72 | 1985.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Psychotherap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NY, USA. | 미소장 |
73 | Health psychology: what is an unhealthy environment and how does it get under the skin? ![]() |
미소장 |
74 | 2011. Does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in Outdoor Natural Environments Have a Greater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an Physical Activity Indoors?. Environmental Science & Thchnology. 45(5);1761-1772. | 미소장 |
75 | Restoration and stress relief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n forests and parks ![]() |
미소장 |
76 | Reflection and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 |
미소장 |
77 | THE NURSES' OBSERVATION SCALE FOR INPATIENT EVALUATION: A NEW SCALE FOR MEASURING IMPROVEMENT IN CHRONIC SCHIZOPHRENIA. ![]() |
미소장 |
78 | NOSIE--30: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its use in pharmacopsychiatric research. ![]() |
미소장 |
79 |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p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80 | [Effect of forest therapy on the human psycho-neuro-endocrino-immune network]. ![]() |
미소장 |
81 |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 |
미소장 |
82 |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s on healthy adults: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walking) as a possible method of stress reduction ![]() |
미소장 |
83 | 1999. Effect of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and walking):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Japan). Bull Tokai Women's Coll 9:217-232. | 미소장 |
84 |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and walking) effectively decreases blood glucose levels in diabetic patients. ![]() |
미소장 |
85 | 1986. An ecological and evolutionary approach to landscape aesthetics. InPenning-Roswell, E. C., & D. Lowenthal(Eds), Landscape Meanings and Values, London; Allen & Uwin. 3-25. | 미소장 |
86 |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forest settings ![]() |
미소장 |
87 | The influence of forest view through a window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 |
미소장 |
88 |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based "forest therapy" program on blood pressure, salivary cortisol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 ![]() |
미소장 |
89 | 2008. The thrapeutic effectof taking in the atmosphere of a forest. Management for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MMV 4-Proceedings:516-520. | 미소장 |
90 | 1981. Nature Vs. Urban scens: some phychophysiological effects. Environment and Behavior 13:523-556. | 미소장 |
91 | 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Altman, I., Wohlwill, J.F. (Eds.), Behavior and Natural Environments. Plenum Press, New York. | 미소장 |
92 | 1993. Biophilia, biophobia, and natural landscapes. In: Kellert, S.R., Wilsons, E.O. (Eds.), The Biophilia Hypothesis. Island/Shearwater Press, Washington, DC. | 미소장 |
93 | 1984. Biophilia: The Human bond with other species. Cand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94 | 1993. Biophilia and the conservation ethic. In S.R. Kellert & E.O. Wilson (Eds.). The biophilia hypothesis. Washington, DC: Island Press pp. 31-41. | 미소장 |
95 | 2006.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 forest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34:152-15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