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4
1. 연구 배경 및 목적 1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II. 여성 누드의 역사와 배경 18
2-1. 에로티시즘: 남성 시각에서 바라본 누드 고찰 18
2-1-1.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의 이상적인 美 19
2-1-2. 여성 누드화의 전환점 고야와 마네 23
2-1-3. 초현실주의에서 드러나는 억압의 욕망 27
2-1-4. 상업화된 누드 팝아트 31
2-2. 페미니즘: 여성 시각에서 바라본 누드 고찰 35
2-2-1. 누드화를 그리는 여성 작가들의 등장 35
2-2-2. 여성을 위한 페미니스트들의 작품 41
2-2-3. 현재 활동하는 여성 작가들의 누드화 45
III. 본인 작품 분석 51
3-1. 작업 요소 52
3-1-1. 색 52
3-1-2. 나르시시즘 55
3-1-3. 화면구성과 차용 56
3-1-4. 과일과 식물 59
3-2. Never Ending Tragedy 60
3-2-1. 작업 개념 및 배경 61
3-3. Feroticism 68
3-3-1. 작업 개념 및 배경 69
IV. 결론 80
참고문헌 82
Abstract 86
도판 1)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봄, (Primavera)〉, Tempera on canvas, 1478 19
도판 2)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 〈비너스의 탄생, (The Birth of Venus)〉, Tempera on canvas, 1485 19
도판 3) 라파엘로(Raffaello Sanzio da Urbino), 〈삼미신, (The Three Graces)〉, Oil on panel, 1504-1505 20
도판 4) 조르조네(Giorgione), 〈잠자는 비너스, (Sleeping Venus)〉, Oil on canvas, 1510 21
도판 5) 브론치노(Agnolo Bronzino), 〈비너스, 큐피드, 어리석음과 세월, (Venus, Cupid, Folly and Time)〉, Oil on wood, 1545 23
도판 6) 프란시스코 고야(Francisco de Goya y Lucientes), 〈옷을 벗은 마하, (The Nude Maja)〉, Oil on wood, 1800 24
도판 7)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 〈올랭피아, (Olympia)〉, Oil on canvas, 1863 25
도판 8) 막스 에른스트(Max Ernst), 〈다가오는 성숙기 또는 플레이아데스, (Approaching Puberty or The Pleiades)〉, Gaouache and oil on paper, all on cardboard, 1921 28
도판 9)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거대한 날들, (Les Jours Gigantesques)〉, Oil on canvas, 1928 29
도판 10)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영원한 증거, (The Eternally Obvious)〉, Oil on canvas in five gold frames, laid on board, 1930 29
도판 11)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나는 숲 속에 숨어 있는 여인을 보지 못한다, (I Do Not See the [woman] Hidden in the Forest)〉, 1929 30
도판 12)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 〈폭력, (The Rape)〉, Oil on canvas, 1934 30
도판 13) 리처드 해밀턴(Richard Hamilton), 〈오늘날 우리들의 가정을 그토록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이 무엇인가?, (Just what is it that makes today's homes so different, so appealing?)〉, Collage, 1956 32
도판 14) 멜 라모스(Mel Ramos), 〈도기 디너, (Doggie Dinah: Claudia Schiffer)〉, Oil on linen, 1995 33
도판 15) 톰 웨셀만(Tom Wesselmann), 〈거대한 미국 누드 #92, (Great American Nude #92)〉, Liquitex and assemblage on panel, 1967 34
도판 16) 로라 나이트(Laura Knight), 〈엘라 루이즈 네이퍼, (Ella Louise Naper)〉, Oil on canvas, 1913 36
도판 17) 파울라 모더존-베커(Paula Modersohn-Becker), 〈모자상, (Reclining Mother and Child)〉, Oil on canvas, 1906 37
도판 18) 파울라 모더존-베커(Paula Modersohn-Becker), 〈자화상, (Self-Portrait on Her Six Wedding Anniversary)〉, Oil on canvas, 1906 37
도판 19) 로테 라져스테인(Lotte Laserstein), 〈아침 단장, (Morning Toilette)〉, Oil on panel, 1930 38
도판 20) 로테 라져스테인(Lotte Laserstein), 〈내 유일한 현실, (My Only Reality)〉, Oil on canvas, 1930 39
도판 21) 앨리스 닐(Alice Neel), 〈Self Portrait, (자화상)〉, Oil on canvas, 1980 40
도판 22) 프리다 칼로(Frida Kahlo), 〈떠있는 침대, (The Flying Bed)〉, Oil on metal, 1932 41
도판 23) 라파엘로(Raffaello Sanzio da Urbino), 〈라 포르나리나, (La Fornarina)〉, Wood, Oil paint, 1518-150 42
도판 24) 신디 셔먼(Cindy Sherman), 〈무제#205, (Untitled#205)〉, Color photograph, 1989 42
도판 25) 게릴라 걸스(Guerrilla Girls), 〈여성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 가려면 발가벗어야만 하나?, (Do women have to be naked to get into the Met. Museum?)〉, Poster, Full-Size Billboard, 1989 43
도판 26)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Artemisia Gentileschi), 〈수잔나와 장로들, (Susanna and the Elders)〉, Oil on canvas, 1610 44
도판 27) 게릴라 걸스(Guerilla Girls), 〈게릴라와 장로들, (Guerilla and the Elders)〉, Poster, 1989 44
도판 28) 루시안 프로이드(Lucien Freud), 〈휴식을 취하고 있는 거구, (Benefits Supervisor Sleeping)〉, Oil on canvas, 1995 46
도판 29) 제니 사빌(Jenny Saville), 〈계획, (Plan)〉, Oil on canvas, 1993 46
도판 30) 빅토리아 케이트 러셀(Victoria Kate Russell), 〈피오나 메리쇼, (Fiona Mary Shaw)〉, Oil on canvas, 2001-2002 47
도판 31)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내가 만든 마지막 회화의 푸닥거리 (Exorcism of My Last Painting I Ever Made)〉, Installation including 14 paintings, 78 drawings, 5 body prints, various painted and personal items, furniture, CDs,... 48
도판 32)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나의 침대, (My Bed)〉, Mattress, lines, pillows, objects, 2001-2002 48
도판 33) 조앤 세멜(Joan Semmel), 〈인디언 에로틱, (Indian Erotic)〉, Oil on canvas, 1974 50
도판 34) 마를렌 뒤마(Marlene Dumas), 〈손가락, (Fingers)〉, Oil on canvas, 1999 50
도판 35) 박현진, 〈끝나지 않은 비극: 플루토, (Never Ending Tragedy: Pluto)〉, Oil on canvas, 2013 53
도판 36) 박현진, 〈끝나지 않은 비극: 포세이든, (Never Ending Tragedy; Poseidon), Oil on canvas, 2013 53
도판 37) 라파엘로(Raffaello), 〈요정 갈라테아의 승리, (The Triumph of Galatea)〉, Fresco, 1512 57
도판 38) 푸생(Nicolas Poussin), 〈아키스와 갈라테이아, (Acis and Galatea)〉, Oil on canvas, 1627 57
도판 39) 푸생(Nicolas Poussin), 〈바커스 앞의 미다스, (Midas and Bacchus)〉, Oil on canvas, 1629 57
도판 40) 박현진, 〈끝나지 않은 비극: 나의 달콤한 메두사, (Ending Tragedy: My Sweet Medusa)〉, Oil on canvas, 2013 58
도판 41) 카라바조, (Caravaggio), 〈메두사, (Medusa)〉, Oil on canvas, mounted on wood, 1597 58
도판 42) 프랑수아 부셰(François Boucher), 〈다이아나의 목욕, (Diana leaving her Bath)〉, Oil on canvas, 1742 62
도판 43) 프랑수아 부셰(François Boucher), 〈비너스의 단장, (The Toilet of Venus)〉, Oil on canvas, 1751 62
도판 44) 히에로니무스 보스, (Hieronymus Bosch), 〈최후의 심판, (The Last Judgment: Bosch triptych fragment)〉, Oil on wood, 1506-1508 63
도판 45) 빈창세기, Vienna Genesis (Vienna, Osterreichische Nationalbibliothek, Cod. Theol. Gr. 31), 6th century, 〈노아의 홍수, (The Deluge (Genesis 6-9)〉 63
도판 46) 박현진, 〈끝나지 않은 비극: 디오니소스 축제, (Never Ending Tragedy: Dionysus Festival)〉, Oil on canvas, 2013 65
도판 47) 카라바조(Caravaggio), 〈병든 바쿠스, (Sick Bacchus)〉, Oil on canvas, 1593 66
도판 48) 신디 셔먼(Cindy Sherman), 〈무제#224, (Untitled#224)〉, Chromogenic color print, 1990 66
도판 49) 박현진, 〈끝나지 않은 비극: 세속의 비너스, (Never Ending Tragedy: Venus Naturalis)〉, Oil on canvas, 2013 67
도판 49) 박현진, 〈페로티시즘: 어떤가요? I, (Feroticism: How do you like them apples? I)〉, Oil on canvas, 2013 70
도판 50) 박현진, 〈페로티시즘: 어떤가요? II, (Feroticism: How do you like them apples? II), Oil on canvas, 2013 70
도판 51) 루카스 크라나흐, (Lucas Cranach the Elder), 〈아담과 이브, (Adam and Eve)〉, Oil linden wood, 1539 71
도판 52) 박현진, 〈페로티시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Feroticism: A Street Car Named Desire)〉, Oil on canvas, 2013 72
도판 53) 박현진, 〈페로티시즘: 질투의 이름으로, (Feroticism: In the Name of Envy)〉, Oil on canvas, 2013 74
도판 54) 박현진, 〈페로티시즘: 블루밍시즌 I, (Feroticism: Blooming Season I)〉, Oil on canvas, 2013 76
도판 55) 외젠 들라크루아,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Liberty Leading the People)〉, Oil on canvas, 1830 76
도판 56) 박현진, 〈페로티시즘: 블루밍시즌 II, (Feroticism: Blooming Season II)〉, Oil on canvas, 2013 77
도판 57) 뉴욕 잡지 여름 호에 실린 사진, A Photo from THE SUMMER ISSUE of New York MAGAZINE, July 10, 2006 77
본 논문은 본인을 주제로 한 여성 누드라는 작업 그리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성과 욕망이라는 대상으로 표현된 여성 누드가 남성과 여성의 시각적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여성 누드를 중심으로 작업한 작가들의 작품과 본인의 누드화 작업을 탐구하고 비교 분석하여 향후 본인의 작업에 긍정적 기능을 상승시키고 여성 누드를 바라보는 시선에 긍정적 변화와 시각을 부여하는 것 또한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여성 누드가 과거 그리스 예술에서부터 신화를 중심으로 완벽한 인간의 형상을 아름답게 나타내기 위해 전개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그 숭고함은 에로틱한 여신의 모습으로 바뀌어 나간다. 여성 누드는 현재까지 수많은 작가들을 통해 에로틱한 형태를 갖추어왔고 누드란 보는 이에게 에로틱한 감정을 촉발한다는 것에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과거 '미(美)'를 상징하던 여성 누드는 남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성적 대상으로 회화의 중심에 자리 잡는다 그리고 대부분의 여성 누드는 남성들의 시각으로 바라본 성적 대상으로써 표출되어왔다. 근대 20세기에 등장한 페미니스트 여성 작가들은 남성의 시각에서 나타난 예술적 표현과 그 의도를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가고자 했다. 여성의 신체가 남성들의 욕망을 채워주기 위한 것이 아닌 것임을 증명하기 위한 다양한 페미니스트들의 담론과 사상을 바탕으로 여성 누드화를 바라보는 고정된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본인의 작업은 앞서 언급한 여성 누드화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고찰을 시작으로 여성 누드화 시리즈, 〈Never Ending Tragedy〉와 〈Feroticism〉이라는 작업을 시도한다. 〈Never Ending Tragedy〉는 그리스 신화를 토대로 제작된 기존의 고전 작품들에서 묘사된 남성 신들의 모습을 본인의 누드화, 즉 여성으로 바꾸어 작업하였다. 낯익고 익숙한 이미지를 바꿈으로써 무의식적으로 바라보고 형성되어왔던 여성 누드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다. 〈Feroticism〉에 드러나는 의도 또한 바라보는 시각과 여성 누드화를 대하는 태도에 전환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여성의 벌거벗은 몸이라는 주제가 예술이라는 제도와 사회 체제의 권력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해나감으로써 여성 누드가 과거의 형식적인 관례와 남성의 시선이라는 틀 안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가부장적 사회 제도 아래 지배되어 왔던 여성의 이미지를 본인 작품의 해석과 이해를 통해 여성 누드의 객체와 주체가 모두 동일한 여성의 것임을 관객들에게 전해주고자 한다. 여성의 신체는 그 누구에게도 착취당하거나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며 이제까지 고정관념 속에 반영되었던 여성 누드를 바라보는 시선을 전복시키고자한다. 본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앞으로 여성 누드에 대한 보편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여성누드가 회화라는 영역 안에서 과거의 고착된 특정 이데올로기를 떠나 더욱 발전해 나아가는 것에 기여하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