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6

I. 서론 8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8

B. 연구의 방법과 본문의 구성 14

II. 1970년대 한국 사회와 미술 20

A. 유신시대 민족주의 전통 이데올로기 20

B. 고도 경제성장과 도시 중간계급의 탄생 29

C. 서구화된 삶의 방식과 문화의 계층 구분 37

III. 단색조 회화의 성립과 전개 43

A. 한일관계의 전환과 단색조 회화의 형성 47

B. 한·미·일의 지정학적 관계 속 단색조 회화의 공식화 57

C. 한국미술의 국제화와 단색조 회화의 번성 67

IV. 당대의 사회적 맥락을 통해 본 '한국적 모더니즘'의 이면 76

A. 백색 미학에 내재된 지정학적 역학관계 76

1. 백색의 전통을 통한 현대적 추상미술의 정립 76

2. 백색 미학의 민족주의적 의미 87

3. 한일관계를 통해 부각된 백색 미학 99

B. 무한 반복적 행위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 111

1. 행위의 반복을 통한 최소한의 미학 추구 111

2. 서구 근대주의의 대안으로서의 '신체'의 의미 125

3. 금전적 가치로 환산된 신체 미학 139

C. 무위자연 사상으로 구현한 도시 엘리트 계층의 예술취향 151

1. 수양의 과정으로서의 예술개념 151

2. 탈속을 표방한 미술의 주류화 167

D. 전위미술 운동 이면의 화단 정치 180

1. 전위미술로서 추상미술 180

2. 전위미술 운동의 제도권화 190

V. 결론 204

참고문헌 212

Abstract 294

도판목차

도판 1) 셋슈 도요(雪舟 等楊 1420~1507) 〈파묵산수도(破墨山水圖)〉부분, 1495 250

도판 2) 카지미르 말레비치 〈절대주의 구성 : 흰색 위의 흰색〉 250

도판 3)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순수한 빨강, 노랑, 파랑 : 모노크롬 삼면화〉 250

도판 4) 이브 클렝 〈모노크롬 블루 181〉 251

도판 5) 제7대 대통령 취임 기념 포스터, 1971 251

도판 6) '10월 유신'과 '방공방첩' 표어, 1974년경 251

도판 7) 1968년 이후 건립된 애국선열 조상의 현재 모습 252

도판 8) 김진명 〈화실〉1967, 제16회 국전 대통령상 252

도판 9) 김형근 〈봉연(鳳輩)〉 1969, 제18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252

도판 10) 수출증진 홍보 포스터, 1967 253

도판 11) 수출행진곡 레코드 판 253

도판 12) 수출 100억 달러 달성 기념 광화문의 대형아치, 1977. 12. 22. 253

도판 13) 반포지구 아파트 단지, 1974년 완공. 254

도판 14) 초대형 단지의 효시인 잠실주공 아파트 1단지 전경, 1977년 완공 254

도판 15) 와우아파트 붕괴현장, 1970. 4. 8. 254

도판 16) 경부고속도로 준공 기념 포스터 1970 254

도판 17) 한국 최초 생산 텔레비전 광고 금성사, 1966 254

도판 18) 주간지 보도내용, 1967. 4. 13. /『주간중앙』1973. 12. 16. 255

도판 19) 1970년대 퇴폐풍조 단속 - 장발 단속. 255

도판 20) 1970년대 퇴폐풍조 단속 - 미니스커트 단속. 255

도판 21) '생음악 살롱' 오비스캐빈과 라스베가스의 잡지광고, 1970 255

도판 22) 한대수의 공연장면, 드라마센터, 1969 256

도판 23) 서유석, 양희은, 김민기 음반 재킷, 1971 256

도판 24) "가요정화" 보도기사, 『한국일보』 1975. 6. 22. 256

도판 25) 가요계의 겨울 - 가요정화정책, 석유파동, 대마초 파동으로, 『일간스포츠』 1975. 12. 26. 256

도판 26) 제4집단 〈기성문화예술의 장례식〉 1970. 8. 15. 손일광, 정찬승이... 257

도판 27) 영화 〈별들의 고향〉포스터, 1974 257

도판 28) 『선데이서울』창간호 표지, 1968. 9. 22. 257

도판 29) 《한국현대회화전》전시도록 표지, 1968. 7. 19 ~ 9. 1. 258

도판 30) 박서보 〈유전질〉No.1-68, 1968 258

도판 31) 박서보 〈유전질〉No.3-68 258

도판 32) 이우환 〈풍경 I, II, III〉 258

도판 33) 세키네 노부오 〈위상-대지〉흙 259

도판 34) 이우환 〈관계항〉(최초 발표 시 제목 〈관계〉) 259

도판 35) 이우환 〈관계항〉(최초 발표 시 제목 〈현상과 인식 B〉) 259

도판 36) 이우환 〈관계항〉(최초 발표 시 제목 〈현상과 인식 B〉) 259

도판 37) 이동엽 〈상황 - 가나다(Situation ABC)〉 260

도판 38) 허황 〈가변의식〉 260

도판 39) 이동엽 〈상황〉 260

도판 40) 이동엽 〈상황〉의 세부 261

도판 41) 박서보와 이우환, 박서보의 작업실, 1972. 8. 『선미술』 1985. 겨울, p.31 261

도판 42) 박서보 〈묘법〉No.8-67 261

도판 43) 박서보 〈묘법〉No.1-69 261

도판 44) 박서보 〈묘법〉No.10-73 262

도판 45) 박서보 〈묘법〉No.11-73 262

도판 46) 이우환 〈점으로부터〉 263

도판 47) 이우환 〈선으로부터〉 263

도판 48) 《한국 5인의 작가 다섯 가지 흰색》전 도록 표지와 내지, 1975. 5. 6. ~ 5. 24. 264

도판 49)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전 도록 표지와 내지, 1977. 8. 16 ~ 8. 28. 265

도판 50) 《한국 현대미술의 단면》전(1977. 8. 16 ~ 8. 28, 일본, 도쿄 센트럴 미술관) 관련 일본『미술수첩』좌담회, 1977년 10월. 265

도판 51)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전 포스터, 1983. 6. 11 ~ 12. 27. 266

도판 52) 《한국 현대미술전 - 70년대 후반 하나의 양상》전 신문 보도 266

도판 53) 김환기 〈항아리와 매화〉 266

도판 54) 김환기 〈항아리와 시〉 266

도판 55) 김환기의 성북동 아틀리에, 1954 267

도판 56) 김환기의 서교동 자택, 1974 267

도판 57) 박서보의 안성 한서당 아틀리에, 응접실, 1982 267

도판 58) 박서보의 안성 한서당 아틀리에, 화가가 기거하는 방, 1982 267

도판 59) 도상봉 〈여인좌상〉 268

도판 60) 김인승 〈홍선(紅扇)〉 268

도판 61) 박서보 〈묘법〉No.89-79-82-83 268

도판 62) 〈김환기 소장의 문갑, 백자, 추사 각현판〉 269

도판 63) 박서보 〈묘법〉No.16-78-81 269

도판 64) 박서보 〈묘법〉 의 세부, 1981 270

도판 65) 하종현 〈도시계획백서 No.1〉 270

도판 66) 박서보 〈묘법〉No.37-75-76 271

도판 67) 박서보 〈묘법〉의 세부, 1975 271

도판 68) 이우환 〈점으로부터〉 272

도판 69) 이우환 〈선으로부터〉 272

도판 70) 이동엽 〈상황〉 273

도판 71) 이동엽 〈사이〉 273

도판 72) 허황 〈가변의식〉 273

도판 73) 허황 〈가변의식〉 274

도판 74) 박서보 〈묘법〉No.11-78 274

도판 75) 박서보 〈묘법〉No.66-78 275

도판 76) 박서보 〈묘법〉No.41-78 275

도판 77) 이우환 〈새기기로부터〉, 1972 276

도판 78) 서세옥 〈점의 변주〉 276

도판 79) 서세옥 〈선의 변주〉 276

도판 80) 권영우 〈작품 65-9〉 276

도판 81) 김형대 〈환원 B〉 277

도판 82) 권영우 〈작품 65-4〉 277

도판 83) 이응로 〈구성〉 277

도판 84) 권영우 〈작품 74-9〉 278

도판 85) 정창섭 〈귀(歸) 76-V〉 278

도판 86) 정창섭 〈귀 77-N〉 278

도판 87) 정창섭 〈귀 77-M〉 278

도판 88) 정창섭 〈닥(楮)〉 278

도판 89) 박서보 〈묘법〉No.136-83 279

도판 90) 박서보 〈수출선박〉 279

도판 91) 정창섭 〈인천항 제2도크〉 279

도판 92) 박서보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 280

도판 93) 정창섭 〈조헌 선생의 금산전투〉 280

도판 94) 권영우 〈무제〉 280

도판 95) 권영우 〈작품 S 76-8〉 280

도판 96) 《아시아현대미술전》한국관 전시장면, 1980. 11. 1 ~ 11. 30. 281

도판 97) 《아시아현대미술전》 기념 심포지엄 '서양으로부터의 영향에 의해 변용한 아시아미술... 281

도판 98) 박서보 〈묘법〉제작 장면 281

도판 99) 박서보 추상회화 제작 장면, 『The Korean Republic』 1958. 12. 3. 282

도판 100) Hans Namuth, 작업 중인 잭슨 폴록, 1950 282

도판 101) 박서보 〈묘법〉No.16-78-81 283

도판 102) 박서보 〈묘법〉No.228-85 283

도판 103) 이우환 〈관계항〉 284

도판 104) 이우환 〈관계항〉 284

도판 105) 이우환 〈점으로부터〉 284

도판 106) 이우환 〈선으로부터〉 284

도판 107) 이우환 〈점으로부터〉 285

도판 108) 이우환 〈점으로부터〉 285

도판 109) 일본 교토의 료안지(龍安寺, 선종 임제종의 사찰),... 285

도판 110) 점찍기 작업 중인 이우환 285

도판 111) 한지 밀기 작업 중인 권영우 286

도판 112) 권영우 〈무제〉한지 286

도판 113) 권영우 〈무제〉한지, 칼로 긁기 286

도판 114) 윤형근 〈다(茶)-청(靑) Umber Blue〉 287

도판 115) 윤형근 〈다청 Umber Blue〉 287

도판 116) 윤형근 〈다청 Umber Blue〉 287

도판 117) 윤형근 〈다청 Umber Blue〉 288

도판 118) 마크 로스코 〈오렌지색 위에 노란색〉 288

도판 119) 모리스 루이스 〈황금시대 Golden Age〉 288

도판 120) 하종현 〈접합74-98〉 289

도판 121) 하종현 〈접합 74-14〉 289

도판 122) 하종현 〈접합 74-14〉 289

도판 123) 정상화 〈무제 74-6〉 290

도판 124) 정상화 〈무제 74-F6-B〉 290

도판 125) 정상화 〈무제 76-8-10〉 290

도판 126) 1978년 현대화랑에서 열린 이우환 개인전(1978. 4. 10 ~ 17)의 개막식 장면 (가운데 허리 숙여 인사하는 이가 도쿄화랑의 야마모토 다카시(山本孝) 사장, 뒤편 왼쪽에 김문호, 한 사람 건너 박서보, 이우환) 291

도판 127) 박서보 〈유전질〉No.9-69-70 291

도판 128) 박서보 〈유전질〉No.7-69-70 291

도판 129) 박서보 〈묘법〉No.71-74 292

도판 130) 박서보 〈회화 No.1〉 292

도판 131) 〈비닐우산과 촛불이 있는 해프닝〉 1967. 12. 14. 오후4시, 중앙공보관 제2전시실... 292

도판 132) 가두행진, 1967. 12. 11. 오전 10시부터 시청앞→... 292

도판 133) 파리 제2회《국제미술전》(1978. 11. 11 ~ 1979. 1. 29) 그랑팔레, 한국실 전시장면. 293

도판 134) 파리 제2회《국제미술전》(1978. 11. 11~1979. 1. 29, 그랑팔레)『조선일보』보도, 1978. 12. 28.... 293

도판 135) 파리 제2회《국제미술전》(1978. 11. 11~1979. 1. 29, 그랑팔레) 『조선일보』보도, 1979. 2. 16....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