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목적 11
3. 용어의 정의 11
가. 욕창 11
나. 유병률 11
다. 위험요인 12
II. 문헌고찰 13
1. 중환자실에서의 욕창 유병과 발생 13
2. 욕창의 위험 요인 14
III. 연구방법 18
1. 연구설계 18
2. 연구대상 18
3. 연구도구 18
가. 의무기록 조사기록지 18
나. 중환자 분류도구 19
다. Braden scale 19
4. 자료수집 방법 20
5. 자료분석방법 20
IV. 연구 결과 22
1. 중환자실 환자의 입실 시 욕창의 유병률 22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욕창의 특성 23
3. 중환자실 입실 시 욕창 보유의 개인적 위험요인 26
4. 중환자실 입실 시 욕창 보유의 의료기관 위험요인 29
5. 중환자실 입실 시 욕창 보유의 위험요인에 대한 다변량 분석 33
V. 논의 35
1. 중환자실 입실 시 욕창 유병률과 욕창의 특성 35
2. 중환자실 입실 시 욕창보유의 위험요인 36
VI. 결론 및 제언 43
1. 결론 43
2. 제언 45
참고문헌 46
부록 53
Abstract 56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실 당시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입실 시 욕창을 보유한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욕창 보유의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중환자실 욕창 발생률 감소와 욕창 예방간호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1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B광역시 D대학교병원 3곳의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 2107명 중에서 입실 당시 욕창을 보유한 환자 408명과 욕창을 보유하지 않은 환자 61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version을 이용하여 χ²-test, t-test,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료조사 기간 중 중환자실에 입실한 대상자는 총 2107명이었고 이 중 욕창을 보유한 환자가 500명으로 입실 시 욕창 유병률은 23.7%이었다. 중환자실 유형별 욕창 유병률은 종합중환자실 33.8%, 신경계중환자실 20.4%, 심중환자실 18.8%이었다.
2. 욕창 보유에 대한 개인적 위험요인 중 의식상태, 동반질환, 혈청 알부민, CRP,헤모글로빈, 입실 당시 체온에서 욕창 보유군과 비보유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Braden scale의 경우, 활동정도만 제외하고 감각인지, 습한 정도, 기동력, 영양상태, 피부마찰과 쏠림 영역에서 욕창 보유군과 비보유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욕창 보유에 대한 의료기관 위험요인 중 중환자실 입실 경로, 중환자실 입실 전 원내 체류기간, 병원 입원 경로, 인공호흡기 적용, 억제대 적용, 승압제 사용, 진정제 사용에서 욕창 보유군과 비보유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단변량 검정에서 유의하게 나온 변수들로 단계선택 방법을 이용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나이가 40세 미만에 비해 80세 이상인 경우에 욕창 보유의 위험이 3.70배, 체중이 70kg이상에 비해 50kg미만인 경우에 2.82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의식상태가 'Sedation'인 경우에는 'Alert'에 비해 욕창 보유의 위험이 6.10배 높았고,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경우 1.60배, 승압제를 사용한 경우 1.53배, 병원 입원경로 중 요양병원에서 오는 경우 13.65배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환자실 입실 이전 단계 중 특히 요양병원 환자를 위한 욕창발생 실태조사와 욕창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나이가 많고 저체중이고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있으며 인공호흡기와 승압제 치료를 받는 욕창 고위험군 환자를 위한 집중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