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10

I.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2. 연구의 중요성 15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4. 유사문헌 연구 18

5. 연구의 제한점 20

6. 용어의 정의 21

II. 이론적 배경 22

1. 뉴미디어 고찰 22

1-1. 뉴미디어의 개념 및 정의 22

1-2. 뉴미디어의 특징 24

1-3. 뉴미디어와 모션그래픽의 발달 26

2. 광고와 브랜드 이미지의 특성 27

2-1. 뉴미디어 광고의 특성 27

2-2. 브랜드 이미지의 개념 29

2-3. 브랜드 이미지의 중요성 32

2-4.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인 33

3. 하이퍼파사드 광고 37

3-1.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개념 및 정의 37

3-2.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원리 39

3-3.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기능과 특성 42

3-4.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 44

III.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별 분석 47

1. 대상 선정 및 분석방법 47

1-1. 분석 대상 선정 47

1-2. 분석 방법 49

2.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별 분석 50

2-1. 쉐보레(Chevrolet) 소닉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요소 분석 50

2-2. 푸조(Peugeot) 208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 분석 52

2-3. 티파니(Tiffany) 주얼리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 분석 54

2-4. 삼성 갤럭시(Galaxy)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 분석 56

2-5. LG 옵티머스(Optimus)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 분석 58

2-6. 콘트랙스(Contrex) 생수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 요소 분석 60

2-7. 삭스피프스 에비뉴(Saks Fifth Avenue) 백화점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의 디자인요소 분석 62

IV.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를 통한 소비자 반응과 브랜드 이미지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 설계 64

1. 연구모형 64

2. 연구가설 66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70

4. 연구 대상 및 연구방법 72

4-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72

4-2. 설문지 및 심층인터뷰 가이드라인 작성 구성 73

4-3. 통계분석 방법 75

V. 분석 결과 및 해석 76

1. 설문결과 분석 76

1-1. 연구가설 1 검증 결과 78

1-2. 연구가설 2 검증결과 89

2. 심층인터뷰 결과 분석 109

3. 결과 요약 112

VI. 결론 및 제언 115

참고문헌 119

부록 123

ABSTRACT 137

표목차

[표 01] Matt Woolman의 모션그래픽의 디자인 요소 46

[표 02] 하이퍼파사드 광고 분석대상 48

[표 03]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 분석의 틀 49

[표 04] 쉐보레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51

[표 05] 푸조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53

[표 06] 티파니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55

[표 07] 삼성 갤럭시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57

[표 08] LG 옵티머스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59

[표 09] 콘트랙스 생수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61

[표 10] 삭스피프스에비뉴 백화점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별 분석 63

[표 11] 연구가설 1 67

[표 12] 연구가설 2 69

[표 13]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 변수의 정의 71

[표 14] 브랜드이미지 구성요인 변수의 정의 71

[표 15] 설문지 구성 74

[표 16] 심층인터뷰 가이드 구성 74

[표 17] 연구 대상 인구사회학적 특성 77

[표 18] 쉐보레 소닉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79

[표 19] 푸조 208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0

[표 20] 티파니 주얼리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1

[표 21] 삼성 갤럭시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2

[표 22] LG 옵티머스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4

[표 23] 콘트랙스 생수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5

[표 24] 삭스피프스 에비뉴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소비자의 감정반응 결과 86

[표 25] 쉐보레 소닉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90

[표 26] 푸조 208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93

[표 27] 티파니 주얼리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96

[표 28] 삼성 갤럭시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98

[표 29] LG 옵티머스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101

[표 30] 콘트랙스 생수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103

[표 31] 삭스피프스 에비뉴 백화점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분석 106

[표 32]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별 감정반응과 브랜드 이미지 상관관계 종합 114

그림목차

[그림 01] Keller의 브랜드 자산의 모형도 31

[그림 02] 프로젝터 디바이스 40

[그림 03] 다양한 주사방식 샘플 40

[그림 04] 인터랙티브 하이퍼파사드의 시스템 구조 41

[그림 05] 푸조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52

[그림 06] 티파니 주얼리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54

[그림 07] 삼성 갤럭시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56

[그림 08] LG 옵티머스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58

[그림 09] 콘트랙스 생수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60

[그림 10] 삭스피프스 에비뉴 백화점 하이퍼파사드 광고 연출 모습 62

[그림 11] 연구모형 65

[그림 12] 연구가설 1의 모형 67

[그림 13] 연구가설 2의 모형 69

초록보기

 현재,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기술이 발달하며 가상현실의 구현이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 되었다. 이러한 미디어 기술은 기존의 공간 개념을 확장시켰고, 3D 프로젝션 매핑 기술이 생겨났다. 3D 프로젝션 매핑 기술은 건축물(facade)이나 공연, 미디어 아트 전시(object)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3D 프로젝션 매핑 기술을 건축물과 조합시킨 형태를 하이퍼파사드라고 하며 인터랙션 미디어, 디자인, 건축, 조명, 영상, IT 등의 융합된 새 트렌드의 조화라 할 수 있다. 기업과 관계되거나 혹은 기업 마케팅과 관련된 건물, 회사의 제품 등을 선정하고 투영하여 입체공간을 활용하는 하이퍼파사드는 포화상태인 현재의 광고시장에서 활용가치가 크다. 비록 건축물이라는 한정된 공간과 일시적인 광고로서 적은 마케팅 활동이라고 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소비자 관계형성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한 경제적 이익 창출에 기여하였다면 브랜드의 가치와 자산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브랜드의 이미지가 곧 기업의 수익으로 이어지며 브랜드 태도와 충성도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를 분류 하고, 광고를 제작하기 위해 각각의 요소가 나아가야할 디자인 방향을 이끌어 내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시작과 그 배경인 뉴미디어와 프로젝션 매핑에 대해 고찰하고 하이퍼파사드 광고와 브랜드의 이미지, 기업 간의 관계를 제시, 기술하였다.

하이퍼파사드의 디자인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브랜드를 구성하는 요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를 공간, 형태, 시간, 인터랙션, 기타로 구분하여 세분화 하였으며,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은 브랜드 연상의 강도, 호의성, 추상성, 독특성으로 분류하여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첫 번째, '소비자는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에 따라 유의한 감정반응을 나타낼 것이다' 와 두 번째,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정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두 개의 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 가설의 핵심인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이미지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사례를 통해 디자인 측면에서의 선호도 및 인지도, 몰입도를 분석하기 위해 항목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분석을 위해 준비된 하이퍼파사드 광고 사례 7가지는 유투브 조회수 상위 7개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40대의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내·외국인으로 대학생, 회사원, 다문화인 등을 모두 포함하여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조사 표본을 추출하고, 직접 기입법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통계, 분석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결과 통계는 IBM SPSS 21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요소들의 변수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 요소 사이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밖에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하여 핵심적인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의견을 수합하여 가설의 검증과 결론의 도출에 활용하였다. 심층 인터뷰 대상자는 설문대상자 중 4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내용의 녹취, 코딩, 평가 및 결론도출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검증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인과의 상관 관계를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압축하면, 소비자는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디자인 요소에 따라 유의한 감정반응을 나타내며,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정반응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퍼파사드 광고의 공간요소 중 면적의 크기는 광고가 시연되는 건축물의 2개 면적 사용시 선호도와 몰입도가 가장 크며 이는 강도와 호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깊이감은 2개 면적을 사용 시 몰입도가 크며 브랜드 이미지 강도와 호의성 차별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구성의 경우에는 싱글구성을 더 선호하며 싱글 구성시 몰입도가 크고 브랜드 이미지 강도와 호의성, 차별성,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 요소 중 색채사용은 4~5개의 색 사용을 가장 선호하며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호의성에 영향을 미치며 모양은 추상적 이미지보다는 구체적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제품의 이미지가 광고에 제시 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제품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제시 될 때 소비자에게 강하게 인지되어 브랜드 이미지의 강도와 신뢰성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의 다양한 변화는 감정반응에는 크게 관련성은 없었으나 강도와 호의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 표면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 그 위에 스크린을 덧 댄 경우 선호도와 몰입도가 높게 나타나고 브랜드 이미지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운드 빈도는 2개 이하를 사용할 경우 호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성과 우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문자 사용은 보통보다 적게 사용될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호의성과 우수성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요소 중 재생시간이 2~3분 사이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몰입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 강도와 호의성, 추상성, 차별성에 영향을 미치며 동적인 움직임은 몰입도가 강하며 강도와 호의성, 추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의 전환은 3~4회가 적당하며 강도와 호의성 우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랙션 요소의 경우 관객이 참여시 선호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브랜드 이미지 강도와 호의성, 우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요소의 퍼포먼스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강도와 호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소가 각각 다르고, 그 효과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자인 요소 각각도 빈도와 사용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몰입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목표하고자 하는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잘 파악하여, 그에 걸 맞는 기술적, 내용적, 물리적으로 적합한 디자인 요소들을 절충하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국내와 해외에서 브랜드 홍보를 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브랜드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적 자산과 가치를 상승시키는 좋은 하이퍼파사드 광고를 제작하는데 바탕으로 작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향후, 다양한 플랫폼과의 연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연동으로 소통으로의 광고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참고문헌 (5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9).「뉴미디어 환경에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변화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A Study on the Process Change of Spatial Design in a New-Media Environment 소장
3 그린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4 (2008).「초등미술 교육에서 광고를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 지도방안」.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2010).「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애호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LED Lighting Effect in Brand Shop Commercial Display Design 소장
7 New media, A study on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media facade 소장
8 Analysis of Preference Survey for the Media Facade Cases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Keywords 소장
9 (2013).「광고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Research on design with the characteristic of interaction media fa?ade 소장
11 미디어 파사드에서의 모션그래픽 표현 요소 연구 : 국내·외 대형 미디어 파사드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12 (2005).「브랜드 개성 형성에 있어서의 파사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2013).「광고의 장르적 특성과 모델 연기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빛을 이용한 공간 표현에 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5 수단-목적 사슬이론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의 소비자 가치단계도(HVM) : APT 래더링을 중심으로 소장
16 (2005).「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애호도의 구조적 관계」.『광고연구』. Vol.69. 미소장
17 GUI 구성요소의 확장과 융합에 따른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네이버 미소장
18 뉴미디어 영향에 의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표면 표현 방식의 변화 연구 소장
19 브랜드 프로모션을 위한 프로젝션 매핑 연구 소장
20 Understanding about Advertising and Developing of Advertising Education Contents in Art Education 소장
21 3D 프로젝션 매핑에 나타나는 확장된 가상성에 관한 연구 소장
22 (2007).「브랜드 이미지 연상의 구조적 특성과 효과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A Study on Trend and Prospect of New Media Advertisement 소장
24 (A)correlativity study on the effects of packaging design on the brand image : focusing on the tea packaging design of Korea and China 소장
25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 요소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소장
26 A Design of Audience Interactive 3D Projection Mapping in Public Place 소장
27 Possibility for extending an interaction by multi-user on MediaFacade environments 소장
28 뉴미디어시대 디지털저작권과 이용자권리의 조화를 위한 소고 소장
29 (2009).「디지털 건축조명에 있어서 미디어 파사드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2011).「외식기업 브랜드 자산을 활용한 확장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브랜드의 충성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A Study for Culture Contents of New Media use the Brand Advertising 네이버 미소장
32 (2005). 「영화사이트에서의 인터랙티브 모션그래픽 표현방식연구」.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A)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ountry image and product image on brand image : a comparative analysis with emphasis o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소장
34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지욕구와 감성강도의 조절적 역할 소장
35 A study on internal trend according to media facade types of Urban Lightscape 소장
36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View of Visual Media Design - Focusing on Motion Graphics on New Media - 소장
37 뉴미디어 광고산업의 미래전망과 인력수요 분석 연구 네이버 미소장
38 뉴미디어 기반에서의 키네틱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전당 키네틱 심볼을 중심으로 소장
39 상업공간에 있어 뉴미디어 아트의 주름 공간 표현 특성 연구 소장
40 디지털매체를 통한 건축 환경의 미디어파사드 표현 특성 소장
41 A Study on Narrative Embodiment of Projection Mapping Advertisement using 3D Holography 소장
42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 유형에 관한 연구 : 저관여 감성 광고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43 효과적인 리터러시(Literacy)로서의 뉴미디어 디자인 연구 소장
44 A Study on Types of Graphic Elements Shown in 3D Projection Mapping Artworks 소장
45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네이버 미소장
46 Country of origin, brand image perception, and brand image structure 네이버 미소장
47 「Staging Urban Interactions with Media Façades」. 미소장
48 (1999).「광고의 장르적 특성과 모델 연기에 관한 연구」.『광고학』. 한나래. p.356 미소장
49 (1993). 『소비자를 사로잡는 광고전략』.이십일세기북스새날. pp46-50 미소장
50 (2004).『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p.47 미소장
51 (1997).『광고론』. 박영사. p.6 미소장
52 한국언론연구원 (1993).『매스컴대사전』. 한국언론연구원. p.191 미소장
53 (1991). 『Managing Brand Equity』. The Free Press, USA. 미소장
54 (2008). New Media Art. Tascherr. Koln. 미소장
55 http://blog.daum.net/av-top/12 미소장
56 Kevin Keller 교수의 브랜드 자산 (2011). http://blog.naver.com/jake69?Redirect=Log&logNo=50129356508 미소장
57 www.term.naver.com /IT용어사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