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문제 17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국악음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7

2)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7

3. 용어 정의 18

1) 창작국악동요 18

2)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 18

3) 국악음악성 18

4) 또래유능성 18

II. 이론적 배경 19

1. 유아국악교육 19

1) 유아국악교육의 필요성 및 가치 19

2) 유아국악교육의 방법 및 내용 20

2. 창작국악동요 25

1) 창작국악동요의 개념 25

2) 창작국악동요의 특징 26

3) 창작국악동요의 교육적 가치 27

3. 국악음악성 28

1) 음악성의 정의 28

2) 국악음악성 31

3) 창작국악동요와 국악음악성의 관계 32

4. 또래유능성 33

1) 또래유능성의 개념 33

2) 또래유능성의 하위요소 36

3)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37

III. 연구 방법 41

1. 연구 대상 41

2. 검사 도구 41

1) 국악음악성 검사 42

2) 또래유능성 검사 44

3. 연구 절차 46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국악 활동을 위한 활동선정 46

2) 예비연구 47

3) 본 연구 48

4. 자료 처리 52

IV. 결과 및 해석 53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국악음악성에 미치는 영향 53

1) 국악음악성 중 '이해 및 탐색' 점수 비교 54

2) 국악음악성 중 '표현 및 창작' 점수 비교 56

3) 국악음악성 중 '감상 및 친밀도' 점수 비교 57

2.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59

1)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 점수 비교 60

2) 또래유능성 중 '친사회성' 점수 비교 62

3) 또래유능성 중 '주도성' 점수 비교 64

V. 논의 및 결론 66

1. 논의 및 결론 66

2. 제언 69

참고문헌 71

부록 82

〈부록 1〉 [국악음악성 검사 항목] 83

〈부록 2〉 [국악음악성 검사 채점 기준표] 85

〈부록 3〉 [또래유능성 검사 척도] 87

〈부록 4〉 활동의 실제 88

ABSTRACT 129

표목차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성별과 평균 연령 41

〈표 2〉 국악음악성 검사 영역에 따른 검사 내용 42

〈표 3〉 또래유능성 검사 하위요인에 따른 문항 내용 44

〈표 4〉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을 위해 선정된 활동 46

〈표 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활동 내용 49

〈표 6〉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 계획안 50

〈표 7〉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국악음악성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53

〈표 8〉 '이해 및 탐색'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55

〈표 9〉 '표현 및 창작'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56

〈표 10〉 '감상 및 친밀도'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58

〈표 1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또래유능성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 59

〈표 12〉 '사교성'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61

〈표 13〉 '친사회성'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62

〈표 14〉 '주도성'에 대한 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64

그림목차

[그림 1] '국악음악성' 전체 사전·사후 검사 비교 54

[그림 2] '이해 및 탐색'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56

[그림 3] '표현 및 창작'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57

[그림 4] '감상 및 친밀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59

[그림 5] '또래유능성' 전체 사전·사후 검사 비교 60

[그림 6] '사교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62

[그림 7] '친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63

[그림 8] '주도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비교 65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국악음악성 및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피는 데 있다.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국악음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국악음악성 중 이해 및 탐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국악음악성 중 표현 및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국악음악성 중 감상 및 친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또래유능성 중 친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들의 또래유능성 중 주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지역적 특성, 부모의 소득 등 경제적 수준이 유사한 서울시 소재 S부속유치원 만 5세 원아 56명이다. 두 학급 중 한 학급은 실험집단, 나머지 한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씩 4주, 주 3회씩 2주 총 6주 동안 14회에 걸쳐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을 경험하도록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기존의 교육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국악음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한국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제시한「음악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평가도구의 개발」을 기초로 황인주(2000), 이순례(2003), 하재은(2003)이 사용한 「국악음악성」검사 도구를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취학 전 유아용으로 제작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검사방법과 검사도구는 예비검사를 통하여 수정·보완한 후 사전검사,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 적용, 사후 검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국악음악성과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국악음악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음악성의 하위 구성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이해 및 탐색, 표현 및 창작, 감상 및 친밀도에서 모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래유능성의 하위 구성요소별로 살펴본 결과,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은 국악음악성 및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현장에서 창작국악동요를 활용한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국악 활동에 많은 비중을 두어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계획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