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목적 10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II. 본론 12
1. 이론적 배경 12
1) 인간소외의 개념적 고찰 12
2) 인간소외 현상의 특징 14
3) 심장의 상징성 17
2. 도자조형에 나타난 인간소외 현상 20
3. 작품연구 26
1) 작품개요 26
2) 제작과정 및 설명 26
III. 결론 45
참고문헌 47
Abstract 48
〈그림 1〉 사자의 서(일부), BC3000년경 17
〈그림 2〉 뭉크, 이별, 1896 19
〈그림 3〉 데이빗 길훌리, 개구리크로 와상, 1980 20
〈그림 4〉 데이빗 길훌리, 빅토리아의 로 얄스낵, 1978 20
〈그림 5〉 한애규, 즐거운 우리집-불화, 1993 21
〈그림 6〉 한애규, 거울 앞, 1989 21
〈그림 7〉 알베르토 자코메티, 걷는 사람, 1960 22
〈그림 8〉 알베르토 자코메티, 거대 한 여인2, 3, 1960 22
〈그림 9〉 임연운, Conversation-1, 2012 23
〈그림 10〉 임연운, Conversation-4, 2012 23
〈그림 11〉 최수앙, Islet of Asperger Type 2, 2009 24
〈그림 12〉 최수앙, Islet of Asperger Type 7, 2009 24
〈그림 13〉 김숙희 my own room2 2006 25
〈작품 1〉 바코드 29
〈작품 2〉 부속화 31
〈작품 3〉 무력 33
〈작품 4〉 고독 35
〈작품 5〉 탈출-I 37
〈작품 6〉 탈출-II 39
〈작품 7〉 상실 41
〈작품 8〉 독(毒) 43
'인간은 사회적동물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은 공동체 속에서 문화를 학습하고 여러 가치들을 개발하며 살아가는 존재이다. 인간은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서로 관계를 맺으며 상부상조하며 성장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현대사회처럼 세분화된 사회에서는 개인과 사회는 동떨어져 생각하기 어려운 관계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의 산업혁명이후 문명의 발달과 변화는 가속도를 더해 가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물질적 풍요로움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높지만 고도의 경제성장이 가져온 정서적, 심리적 불안감, 고독, 인간성 상실로 인한 인간소외 현상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다.
현대에 들어 기계와 컴퓨터가 인간이 할 일을 대신하게 되면서 자신의 행복을 위한 주체가 되지 못하게 되었다. 오히려 사회의 부속품이 되버리고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나아가서는 사회와의 유대를 잃어버리면서 본인 스스로의 자기소외를 자초하고 만 것이다.
소외는 사회적인 문제이면서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다. 개인과 사회로의 연대감 뿐만 아니라 인간본연의 본질이 변질되거나 상실되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속에서 개인이 갖는 무력감, 상실감, 불안, 상처, 고독 등의 소외감을 주제로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도자조형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현대인들의 내면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에 앞서 본론 1절에서는 작품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소외의 개념과 현대사회의 특징에 대해 생각해보고 소외현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어서 작품의 주요 모티브로 삼은 심장에 대해서도 그 의미와 상징성에 대해 예로부터 어떻게 여겨져 왔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본론 2절에서는 작업의 근간을 보다 확고히 다지기 위해 다른 도자조형작품에 나타난 인간소외현상의 표현방식 및 주제에 대해 분석하면서 소외에 대해 재고할 수 있었다. 본론 3절에서는 우리가 처해있는 현실속의 소외 문제들을 심장과 혈관, 육면체를 통하여 표현하였고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개요 및 제작과정과 설명을 간략하게나마 서술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눈을 돌리고 있는 소외라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기주의와 물질만능주의의 만연함 속에서 소외된 자신과 주변의 소외된 사람들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면서 인간소외를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