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목적 12

2. 연구의 방법과 내용 13

II. 이론적 배경 14

1. 재활용의 필요성 14

2. 재활용과 관련된 미술용어 14

1) 오브제(objet(프)) 15

2) 콜라주(collage) 20

3. 중등미술교과의 재활용 현황 22

III. 중등미술교과의 재활용을 이용한 collagraphy 연구 28

1. collagraphy 개념 28

2. collagraphy 특징 28

3. 중등미술교과를 위한 collagraphy 제작사례 30

1) 재료 별 나타나는 질감 효과 31

2) 재료별 주의사항 39

3) 재활용을 이용한 작품 예시(본인 작품) 41

IV. 재활용을 이용한 collagraphy 교수학습지도안 47

1. 자료 및 준비 47

2. 제작방법 47

3. 학습지도안 52

1) 교수학습지도안 52

2) 판서계획 59

3) 평가계획 60

4) 학생 활동지 60

4. 기대되는 결과 61

V. 문제점과 개선방안 63

1. 문제점 63

2. 개선방안 63

VI. 결론 64

참고문헌 67

Abstract 69

표목차

〈표 II-1〉 2009개정교육과정 중등미술교과의 출판사별 재활용 현황 24

〈표 II-2〉 교과서의 재활용 작품에 사용된 주재료 27

〈표 IV-1〉 교수학습지도안-1차시 52

〈표 IV-2〉 교수학습지도안-2차시 55

〈표 IV-3〉 교수학습지도안-3차시 57

〈표 IV-4〉 1/3차시 판서계획 59

〈표 IV-5〉 2/3차시 판서계획 59

〈표 IV-6〉 3/3차시 판서계획 59

〈표 IV-7〉 평가계획 60

〈표 IV-8〉 학생 활동지 60

그림목차

〈그림II-1〉 가우디- 구엘 공원 천정 조형물 및 의자 25

〈그림II-2〉 그렉- 벡터 라운지 바이크 퍼니처 디자인 25

〈그림II-3〉 아키위르카- Cow Sculpture 25

〈그림II-4〉 프리먼- 스티브 25

〈그림II-5〉 송동- 버릴 것 없는 25

〈그림II-6〉 팅겔리- 프롤레타리아미술 25

〈그림II-7〉 지용호- 두 개의 사슴머리 3 26

〈그림II-8〉 세자르- 압축 26

〈그림II-9〉 이수경- 번역된도자기 26

〈그림II-10〉 아르망- 장기 주차 26

〈그림III-1〉 학생 공동 작품- 다양한 질감의 판 30

〈그림III-2〉 학생작품- 꽃 30

〈그림III-3〉 학생작품- 오징어 30

〈그림III-4〉 종이 31

〈그림III-5〉 한지 31

〈그림III-6〉 벽지 31

〈그림III-7〉 골판지(커피 홀더) 32

〈그림III-8〉 우표 32

〈그림III-9〉 타올 32

〈그림III-10〉 청바지 32

〈그림III-11〉 캔버스 천 33

〈그림III-12〉 망 33

〈그림III-13〉 에어캡 33

〈그림III-14〉 노끈 33

〈그림III-15〉 리본 끈 34

〈그림III-16〉 과자 포장지 34

〈그림III-17〉 비즈 장식 34

〈그림III-18〉 고무줄 34

〈그림III-19〉 실끈 35

〈그림III-20〉 묶는 철끈 35

〈그림III-21〉 스테이플러 철침 35

〈그림III-22〉 클립 35

〈그림III-23〉 캔 뚜껑 손잡이 36

〈그림III-24〉 옷핀 36

〈그림III-25〉 머리핀 36

〈그림III-26〉 이쑤시개 36

〈그림III-27〉 면봉 37

〈그림III-28〉 알루미늄 뚜껑 37

〈그림III-29〉 캡슐 포장재 37

〈그림III-30〉 스티커 37

〈그림III-31〉 종이 테이프 38

〈그림III-32〉 판매가격표(종이) 38

〈그림III-33〉 단추 비즈 38

〈그림III-34〉 동전 38

〈그림III-35〉 잎 39

〈그림III-36〉 낙엽 39

〈그림III-37〉 작품1 42

〈그림III-38〉 작품2 43

〈그림III-39〉 작품3 44

〈그림III-40〉 작품4 45

〈그림III-41〉 작품5 46

〈그림IV-1〉 판 작업 49

〈그림IV-2〉 준비물 49

〈그림IV-3〉 잉킹 50

〈그림IV-4〉 꼼꼼하게 바르기 50

〈그림IV-5〉 잉크 닦아내기 50

〈그림IV-6〉 마무리 51

〈그림IV-7〉 종이를 떼어내는 모습 51

〈그림IV-8〉 완성 51

초록보기

 미술교육은 미술교과의 특성을 살려 바람직한 인간으로의 성장을 돕는 것이 목적이며, 주변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환경을 새롭게 인식해 미적 감각을 신장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산업화로 인한 각종 폐기물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이 시점에서 재활용을 이용한 미술수업방안에 대해 연구하여 환경문제개선에 도움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신의 작품에 사용할 재료를 탐색하고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재활용을 이용한 미술수업의 방법으로는 collagraphy(콜라그래피)라는 판화기법을 선택하였다.

현대미술에서 판화는 다른 영역에 비해 일상생활에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대중적이다. 그럼에도 학생들에게 판화는 어렵고 과정이 복잡하며 딱딱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판화가 재미있고 친근하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도록 변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학교의 미술수업에서 재활용을 주로 이용한 작품을 제작하도록 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국가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었으면 한다.

이러한 재활용을 이용한 미술수업 경험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발견했을 때 자연스럽게 미술표현 욕구로 이어질 수 있다. 자신의 미술표현 욕구가 결국 주변 환경과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삶을 풍요롭게 만들 것이다.

본론에서는 재활용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관련 용어를 조사하였다. 현재 시행하고 있는 2009개정 교육과정 중등미술교과의 재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collagraphy라는 판화기법을 통한 미술교육 시 중학생이 다루기에 비교적 안전한 재료를 소개하고 주의사항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재활용을 이용한 중등미술 교수학습지도안을 collagraphy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판화잉크를 묻혔다가 닦아내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색채감각과 섬세함, 결과를 예측하여 행동하는 계획성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끝으로 결과물을 감상하고 서로 토론하여 부족한 부분은 드로잉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