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4

국문초록 18

I. 서론 21

II. 이론적 고찰 23

A. 조경식물 파초 23

(1) 파초의 어원(語源) 23

(2) 파초의 특징 23

(3) 파초의 국내 전래 26

(4) 파초의 식재전통 29

(a) 식재 기준 29

(b) 파초 식재 양상 31

(c) 식재 금기와 관리 32

B. 연구동향 35

III. 연구방법 39

A. 연구범위 39

B. 연구재료 및 내용 39

(1) 시문자료 40

(2) 도상자료 41

(3) 전통공간의 파초 41

C. 해석 및 분석방법 42

(1) 시문해석 및 분석 42

(2) 도상자료 해석 및 분석 47

(3) 파초 식재의 현황 47

IV. 결과 및 고찰 56

A. 시문으로 본 파초 56

(1) 파초고사와 문화 상징성 56

(a) 유마힐(維摩詰) 고사 56

(b) 왕유(王維) 고사: 눈 속에 피어난 파초의 덕 57

(c) 회소(懷素) 고사 72

(d) 초록(蕉鹿) 고사 74

(e) 장재(張載) 고사 75

(f) 혜가(慧可) 고사 76

(2) 파초 관련 주제어의 유형화 79

(3) 시문 속 파초가 있는 정원 82

(a) 비해당(匪懈堂) 82

(b) 운림산방(雲林山房) 84

(c) 가성각(嘉聲閣) 86

(d) 우초당(雨焦堂) 88

(e) 옥경산장(玉磬山莊) 89

(f) 하풍죽로당(荷風竹露堂) 90

(g) 홀원(笏園) 91

(h) 일섭정(日涉亭) 92

(i) 현산유거(玄山幽居) 93

B.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 94

(1) 풍류적 의미와 용도 94

(a) 문취(文趣)를 드러내는 대용물 94

(b) 녹천(綠天), 파초 잎을 통해 본 녹색하늘 97

(c) 술잔(酒杯)을 대신하는 풍류 객체 100

(d) 빗소리를 통한 아취(雅趣) 구현, 파초우성(芭蕉雨聲) 101

(e) 운치 있는 문인들의 시전지(詩箋紙), 초엽제시(蕉葉題詩) 108

(2) 유교적 의미와 용도 112

(a) 생육에서 터득한 철리(哲理), 자강불식(自强不息) 112

(b) 파초에게 배우는 수양과 지혜, 군자의 덕 115

(3) 불교적 의미와 용도 117

(a) 무상무아(無常無我)의 허망함 117

(b) 입설구법(立雪求法)의 상징 121

(4) 민간적 의미와 용도 123

(a) 기다림과 별리(別離)의 이중주(二重奏) 123

(b) 선인의 풍취를 담은 봉황과 부귀의 상징 127

(c) 친교(親交)의 증표 129

(d) 팔보(八寶)의 하나 130

(5) 실용적 객체로서의 파초 131

(a) 식용 132

(b) 인축(人畜)의 약용, 양우(養牛)와 양어(養魚)의 치료제 134

(c) 분식(盆植)을 통한 관상의 대상 134

(d) 섬유용 135

(6) 소결 136

C. 그림으로 본 파초 139

(1) 파초그림의 특성 140

(2) 파초 식재장소와 패턴 148

(a) 화원화·문인화 148

(b) 민화 155

(c) 불화 156

(3) 동반 등장물 166

(a) 화원화·문인화 166

(b) 민화 171

(c) 불화 172

(4) 등장인물의 행위 175

(a) 화원화·문인화 176

(b) 민화 177

(c) 불화 178

(5) 정원을 묘사한 그림에 나타난 파초 179

(a) 소쇄원도(瀟灑園圖) 179

(b) 옥호정도(玉壺亭圖) 182

(c) 다산초당도(茶山草堂圖) 184

(d) 단원도(檀園圖) 186

(6) 소결 187

D. 식재 실태로 본 파초 188

(1) 민속마을의 파초 식재로 본 파초 188

(a) 성주 한개마을 188

(b) 아산 외암마을 189

(c) 기타 민속마을 내 가옥 189

(2) 전통사찰의 파초 식재 실태 191

(3) 식재 실태로 본 파초의 식재분포 194

(4) 소결 195

V. 결론 196

인용문헌 200

부록 : 파초가 담긴 옛 그림 목록 213

표목차

표 1. 강희안의「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 30

표 2. 유박의「화암구등(花庵九等)」 30

표 3. 유박의 28우(友) 총목(摠目) 31

표 4. 식재 장소에 따른 의기 33

표 5. 시문 주제의 유형화를 위한 문학작품 개요 42

표 6. 분석대상 그림의 개요 1(화원화·문인화) 48

표 7. 분석대상 그림의 개요 2(민화) 51

표 8. 분석대상 그림의 개요 3(불화) 53

표 9. 문학작품의 상징성 분류 58

표 10. 분석된 시문의 내용 분류 80

표 11. 조사된 시문의 파초 상징성과 시대 구분 81

표 12. '대집경'으로 본 '오온(五蘊)의 비유 119

표 13. 시문을 통해 본 파초와 파초 식재의 의미와 용도 135

표 14. 파초의 꽃말과 상징성의 정리 138

표 15. 화원화·문인화의 파초분석표 149

표 16. 민화 속의 파초분석표 157

표 17. 불화 속의 파초분석표 159

표 18. 그림 속 구도와 형태 및 등장물 분석(화원화·문인화) 161

표 19. 그림 속 구도와 형태 및 등장물 분석(민화) 163

표 20. 그림 속 구도와 형태 및 등장물(불화) 165

표 21. 화원화·문인화, 민화의 행위 구분 175

표 22. 불화에 나타난 행위 구분 175

표 23. 〈옥호정도〉의 공간구성 183

표 24. 민속마을의 파초 식재 현황 190

표 25. 사찰 경내의 파초 식재 현황 191

표 26. 사찰내 파초가 식재된 전각 분석 194

그림목차

그림 1. 파초의 어원 분석 24

그림 2. 파초의 기관(器官)별 형태 25

그림 3. 금강반야바라밀경(1357년) 부분 26

그림 4. 아집도(1371년) 28

그림 5. 물가 정자 옆에 식재하면 좋은 파초와 蓮 33

그림 6. 「龜文園」에 나타난 정원 배치도 34

그림 7. 정원 내 공간 구분 예시도 48

그림 8. 연구수행도(Study Flow) 55

그림 9. 維摩詰居士照片集錦 57

그림 10. 唐 王維畵 雪中芭蕉 71

그림 11. 이재관의 파초제시(芭蕉題詩) 72

그림 12. 청말 화가 황산수의〈회소서초(懷素書蕉)〉 73

그림 13. 張載(1020~1077) 75

그림 14. 정조〈芭蕉圖〉 76

그림 15. 慧可大師(487~593) 77

그림 16. 다솔사 극락전〈혜가단비도〉 78

그림 17. 중국 파초 관련고사의 의미와 사상 분석 79

그림 18. 비해당사십팔영 중 제18영 '窓外芭蕉' 83

그림 19. 운림산방 담장 안 파초 84

그림 20. 소치 허련의 파초 그림 85

그림 21. 파초 잎을 통해 본 하늘, 綠天 99

그림 22. 파초우성을 구현한 정원, 졸정원의 청우헌 103

그림 23. 김홍도와 김양기 그림에 나타난 파초 잎 110

그림 24. 파초 잎에 쓴 관람정 堂號 111

그림 25. 정선 「橫渠坐定」 114

그림 26. 작가미상 중국 芭蕉高士 117

그림 27. 청도 운문사 파초 벽화 122

그림 28. 민화 속에 등장하는 파초 127

그림 29. 〈풍속인물도〉 129

그림 30. 북경고궁박물관 소장, 石竹芭蕉玉壺春甁 131

그림 31. 파초를 재료로 한 반치냉국 133

그림 32. 겸재 정선, 〈惕齎題時〉 141

그림 33. 화원화에서 보이는 파초 142

그림 34. 김홍도, 〈전다한화(煎茶閒話)〉 144

그림 35. 한용간, 〈와룡강(臥龍岡)〉 145

그림 36. 〈벽오청서도〉 145

그림 37. 장승업, 〈芭蕉神仙圖〉 146

그림 38. 석경, 〈麻姑採芝〉 147

그림 39. 중국 명나라 杜菫의〈玩古圖〉 154

그림 40. 중국 북송 왕선의〈서원아집도〉등장인물 155

그림 41. 파초와 괴석의 조합 166

그림 42. 신윤복의 後園彈琴圖 169

그림 43. 안중식, 〈餞別圖〉 170

그림 44. 민화, 〈파초도〉 171

그림 45. 국사 응진전, 〈십육나한탱〉 173

그림 46. 김홍도, 〈서원아집도〉 176

그림 47. 이재관, 〈詩書弓棋〉 177

그림 48. 소쇄원 원형 추정도 상의 파초 180

그림 49. 〈소쇄원도〉, 1755 180

그림 50. 소쇄원 48영 중 '滴雨芭蕉' 181

그림 51. 작자미상, 〈옥호정도〉 182

그림 52. 〈옥호정도(부분)〉에 보이는 파초 183

그림 53. 정약용, 〈茶山草堂圖〉 185

그림 54. 김홍도, 〈檀園圖〉 186

그림 55. 한개마을 정원의 파초 식재 189

그림 56. 도래마을 홍기웅가옥의 파초 식재 위치 190

그림 57. 파초가 식재된 전형적인 사찰 경관 193

그림 58. 송광사 대웅전〈단비구도〉 193

그림 59. 파초가 식재된 민가와 사찰의 분포 194

초록보기

 옛 문헌 및 도형사료 그리고 파초 식재실태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하여 함의(含意)된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조선시대 파초 식재의 양상과 유풍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사 및 시문의 해석〉

첫째, 파초 관련 중국 고사에는 유가적·불가적 그리고 도가적 개념 등의 다양한 층위(層位) 개념이 내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의미망(意味網)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교융(交融)하면서 한국적 파초문화를 형성시킨 자양(自養)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자문화권의 오래된 문한(文翰) 인식 속에서 구축되어온 파초의 문화적 상징성 공유 결과의 하나로 판단된다.

둘째, 시문 내용의 분석 결과, 선비의 문취(文趣) 소재, 파초 잎을 통해 본 녹색하늘[綠天]의 비유, 술잔을 대신하는 풍류 객체, 빗소리를 통한 차청(借聽)의 아취(雅趣), 그리고 초엽제시(蕉葉題詩)와 관련한 시전지(詩箋紙) 등의 풍류적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파초의 생육 습성에서 터득한 철리(哲理), 자강불식(自强不息)과 군자의 덕성(德性)을 의미하는 성리학적 의미가 다양하게 담겨 있는 데 그 문화적 토양은 이미 고려시대 이전부터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시문에 담긴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선인(仙人)의 풍취, 봉황과 부귀의 상징, 그리고 친교(親交)의 증표 등의 상징성이 강조된 반면 조선 후기로 갈수록 식용·약용·섬유용·관상용 등 실용적 용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파초의 상징성은 불가적·유가적·도가적·민간적·실용적 측면에서 공감각적 의미를 담아 다층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을 통한 중첩 양상을 보이는 바 이러한 경향은 18세기 후반에 들어 비유가적(非儒家的) 내용을 담는 시의 비중에 높아지는 경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림의 분석 및 해석〉

넷째, 정원풍경도 및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또는 계회도(契會圖) 등 화원화(畵院畵)와 문인화(文人畵)에 등장하는 파초는 정원의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보다 품격화하기 위한 장치로 보이는 바 학(鶴)과 초록고사의 의미체인 사슴(鹿)이 높은 등장빈도를 보이는 것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평생도(平生圖)·성시도(盛市圖)·경직도(耕織圖) 등의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판단되고, 불화(佛畵)에 그려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喚起)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믿음의 구법(求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 보인다. 또한 민화 속의 파초는 부귀와 선인(仙人)의 풍취 그리고 복(福)과 장수(長壽)를 염원하는 의미가 강하게 내재된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파초 식재를 통한 기대 효과는 '파초우성(芭蕉雨聲)' 즉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을 울리는 소리경관'의 체험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이는 넓은 잎을 지닌 (벽)오동나무 또한 가옥 근처에 빈번히 심었던 정황으로도 확인된다. 또한 식재장소는 주로 사랑채 중심의 전정(前庭)이나 측정(側庭)에 주로 심겨졌는데, 우경관(雨景觀)의 청음(聽音)이 용이한 침실의 위치와 관련되며, 주로 서쪽에 심어 음양 상생(相生)과 녹천의 의미 그리고 차광(遮光)의 목적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파초 식재방식은 단식(單植)이 많은 반면 분식(盆植), 산식(散植), 열식(列植)은 미미하였는데, 중국과 같이 군식(群植) 방식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은 생육조건의 차이 및 상징성 표현의 결과라 하겠다. 한편, 파초와 함께 등장하는 점경물은 특히 민화의 경우, 괴석(怪石) 또는 암석(巖石)과 함께 그려지는데 이는 의경(意景) 구축의 일환이자 상징미학적 의미 강화를 위한 조합적(組合的) 산물로 판단된다.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의 식재유풍〉

일곱째, 국가지정문화재 민속마을과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파초 식재 실태를 파악한 결과, 아산 외암마을과 성주 한개마을 등 한정된 정원에서 최소한의 유풍(遺風)이 전해지고 있다. 외암마을의 경우 건재고택(현재 고사), 참판댁, 설인방 등 3곳에서, 한개마을에는 북비고택, 하회댁, 교리댁, 진사댁 등에서 조사되었는데, 사랑채와 안채 정면에 단식 또는 3-5주 모아심기 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특히, 이러한 유풍의 제한적 수용 양상은 남방계 식물 파초의 유지관리 어려움, 의미경관과 실용적 가치의 퇴조 양상 등 확장성 결여 요인으로 추론할 수 있다.

여덟째, 파초 식재가 확인된 전통사찰은 총 42개소로 나타났는데, 통도사와 부속암자인 극락암에서는 단식, 산식, 군식 등 다양한 식재방식이 독특하게 반영되었다. 특히, 대웅(보)전과 관음전 등 석가모니불과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의 석계 좌우로는 모아심기로 대식(對植)하는 경향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믿음의 구법을 염원하는 매개체로서의 상징성 강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홉째, 민가정원 및 전통사찰의 파초는 전라남도와 경상도 일원에 주로 식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남방계식물인 파초가 한반도의 등온선 분포와 상당히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연평균기온 12℃를 기준으로 파초의 식재분포(植栽分布)가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4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88),『私淑齊集』.한국문집총간 12.민족문화추진회.63면. 미소장
2 (1991),『淸陰集』.한국문집총간 77.민족문화추진회.19면. 미소장
3 (2003),『阮堂全集』.한국문집총간 301.민족문화추진회.167면 등. 미소장
4 (1988),『拭疣集』.한국문집총간 9.민족문화추진회,114면. 미소장
5 (1982),『高麗史節要』.제21권.「개자원화전」.上海上海書店.65면. 미소장
6 『玉磬山莊記』.『금릉집』. 미소장
7 『日涉亭序』,『호곡집』. 미소장
8 (2000),『靑莊館全書』.한국문집총』257.민족문화추진회,27면 등. 미소장
9 (2000),『軟巖集』.한국문집총간 252.민족문화추진회.111면. 미소장
10 『연암집』.「荷風竹露堂記」. 미소장
11 (1988),『四佳集』.한국문집총간 10․11.민족문화추진회:492면. 미소장
12 ,『雨草堂記』.「楓石鼓篋集」. 미소장
13 ,『池北題詩圖記』.「楓石鼓篋集」. 미소장
14 ,『花菴記』.「花菴隨錄」.花木品題. 미소장
15 (1990),『稼亭集』.한국문집』3.민족문화추진회.198면. 미소장
16 (1982),『국역동문선』Ⅱ.민족문화추진회.396면. 미소장
17 (1990),『益齋亂稿』.한국문집총간 2.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18 (1988),『石川詩集』.한국문집총간 27.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19 (1992),『谿谷集』.한국문집총간 92.민족문화추진회.596면. 미소장
20 (2001),『而已广集』.한국문집총』270.민족문화추진회.578면. 미소장
21 『玄山幽居記』.『해좌집 (海左集)』 미소장
22 (1936),『竹欄花木記』.與猶堂全書.1집 14.문집총간:281-290면. 미소장
23 (2002),『與猶堂全集』1.한국문집총간 281.민족문화추진회:135면. 미소장
24 (1998),『임정기역』.『국역홍재전서』1.민족문화추진회:55면. 미소장
25 (1990),『圓齋文稿』.한국문집총간 5.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26 (1992),『浦渚集』.한국문집총간 85.민족문화추진회:22면. 미소장
27 (1988),『太虛亭集』.한국문집총간 9.민족문화추진회:170면. 미소장
28 (2000),『耳溪集』.한국문집총간 242.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29 (2005),『梅泉集』.한국문집총간 348.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30 (1984),寺苑의 造景樹植栽傾向에 對하여:全南地方의 五大寺刹을 中心으로.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1990),조선시대 괴석도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2 三寶寺刹의 造景樹木 植栽現況에 관한 硏究 소장
33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소장
34 (1999),괴석도에 나타난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1998),초등학교 교과서에 취급된 식물의 분류 및 인지도에 관한 연구.경성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2001),조선후기 백자도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2010),옛 그림으로 본 조선시대 파초(Musabasjoo)의 식재패턴과 의미.한국전통조경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129-138. 미소장
38 (2014),전통 공간의 파초(Musabasjoo)의 식재실태:민속마을과 사찰을 중심으로.한국전통조경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67-71. 미소장
39 『小窻淸紀』異本과 17세기 초반 朝鮮에서의 수용 양상 소장
40 (2012),斗室沈象奎의 生涯와 詩硏究.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1 (2006),괴석도 연구.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2 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a Landscaping Plant -Focused on Analysis of Ol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소장
43 「茶山圖」에 표현된 茶山草堂의 原型景觀 探索 소장
44 LA 카운티 미술관 소장 <戊辰進饌圖屛>에 관한 연구 : 기록 자료와 장식적 표현 소장
45 안평대군 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소장
46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선호한 조경식물과 조경문화 소장
47 (2004),18∼19세기의 주거문화와 상상의 정원.진단학보 97호:111-138. 미소장
48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asure Temples 소장
49 우리나라 주요사찰의 조경수종 및 식재특성에 관한 연구 소장
5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평성시도> 병풍 연구 소장
51 朝鮮時代 芭蕉圖 소장
52 朝鮮時代 芭蕉圖 소장
53 (1996),李商佐의 畵員家系四代考整.한국고미술.8․9월호:106. 미소장
54 (2007),文人畵素材의 象徵性과 立意에 關한 硏究:十君子를 中心으로.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5 芭蕉와 漢詩 소장
56 (2010a),김창업의 채소류 연작시와 조선후기 한시사의 한 국면.한국한시연구 18호:29. 미소장
57 파초의 문화적 의미망들 소장
58 (2009),김홍도․이인문의 차그림을 통해 본 조선후기 차문화 연구.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9 (1998),조선시대 臥遊文化硏究.진단학보.98:81-106. 미소장
60 (1990),우리나라 고농서;화훼류의 종류와 품종명(1449~1845).한국육묘학회지 24(4):86-97. 미소장
61 (2010),중국 拙政園의 공간특성과 風格에 관한 연구.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2 (2009),꽃그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한시를 중심으로.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3 Articles :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Rocks in the Garden and Landscape Paintings in Choson-Dynasty 소장
64 Yoo Bak(柳樸), the author of "Wha-am Gugok(花庵九曲)" and the book Wha-am Surok(花庵隨錄) 소장
65 (2003b),18세기 지식인의 玩物취미와 지적 경향.고전문학연구 23집:327-354. 미소장
66 18, 19세기 문인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소장
67 (2009),朝鮮後期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林圖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8 조선시대의 승려도(僧侶圖) 연구 소장
69 (1998),산수화처럼 펼쳐지는 탈속의 시정.문화와 나.1998.7·8.Vol.4.삼성문화재단:22-24. 미소장
70 (2013),18·19世紀朝鮮知識人의 茶文化硏究.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1 고전 시문을 통해 본 파초(Musa basjoo)의 식재 의미와 설계용도(Design Use) 소장
72 Species, Planting Position and Scenic Utilization of ‘Paulownia Tree(梧桐)’ in the Traditional Garden 소장
73 (2012),매천 황현의 <園植十五咏>형상화 방식.고시가연구 제30집:329-360. 미소장
74 (1932),芭蕉夜雨圖考.美術硏究.8:9-20. 미소장
75 (2008),다산 정약용:p216 미소장
76 (2003),조선의 뒷골목 풍경.서울 :도서출판 푸른역사:pp349-350. 미소장
77 (2006),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3:문학 上.서울 휴머니스트.pp232-233. 미소장
78 (2011),미술관에 사는 나무들.효형출판:pp90-246. 미소장
79 (2013),파초의 노래.한국학 그림을 그리다.태학사:pp157-173. 미소장
80 (1973),양화소록:pp155-156,173. 미소장
81 (2007),조선시대 산수화,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파주 도서출판 돌베개. 미소장
82 (2011),그림,문학에 취하다.파주.㈜아트북스:pp188-228. 미소장
83 (2013),한국학,그림을 그리다.파주.태학사:pp144-173. 미소장
84 (2002),우리 고전 다시 읽기.춘향전.서울 ㈜신원문화사:pp42-43. 미소장
8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독일 쾰른 동아시아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주)삼우아트. 미소장
86 국립민속박물관 (2005),민속유물이해 2.민화와 장식병풍. 미소장
87 국립중앙박물관 (2006),청록산수,낙원을 그리다.삼성문화인쇄:p25. 미소장
88 국민일보 (2011),2011년 4월 6일자:22면 2단. 미소장
89 국학자료원 (2007),한시어사전. 미소장
90 (2007),소쇄원을 통해서 본 16∼17세기 호남의 역사.소쇄원 사람들.서울 다할미디어.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단:pp62-67. 미소장
91 (2011),한국불교미술사.미진사 서울:p387. 미소장
92 (2002),허부인 난설헌,시 새로읽기.서울 이회문화사:p46-191. 미소장
93 (2005),경기도의 옛 지도와 기록화.옛 그림속의 경기도.수원.경기문화재단:pp159-221. 미소장
94 (2006),잡아함경 4.동국역경원:pp397-398 미소장
95 (2006),주역.서울:고려대학교출판부. 미소장
96 (2009),찬란한 불교 미술의 세계 불화.파주:돌베개. 미소장
97 (2001),한국인의 상징세계.서울:다른세상. 미소장
98 (2012),한국학,그림과 만나다.파초의 노래:pp160-173 미소장
99 (2012),풍류인:도서출판 어드북스:pp250-251. 미소장
100 (1996).한국의 자원식물Ⅴ.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01 (2003),「민속유물이해」.국립민속박물관 미소장
102 (2004),한시와 일화로 보는 꽃의 중국문화사.도서출판 뿌리와 이파리:pp272-273. 미소장
103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008).한국의 전통음식 10,제주도.서울:교문사. 미소장
104 농촌진흥청 (2001),西溪朴世堂著,穡經.p255. 미소장
105 농촌진흥청 (2002),農政書.p289. 미소장
106 농촌진흥청 (2003),古農書國譯叢書4;增補山林經濟:p63. 미소장
107 농촌진흥청 (2010),전통향토음식 용어사전. 미소장
108 동산방 (1982),續·朝鮮時代逸名繪畫.서울:東山房. 미소장
109 (1999),기적의 민간요법:p.278. 미소장
110 (2006),동물과수로 본 우리문화의 상징세계.p294. 미소장
111 마로니에북스 (2010),운림산방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미소장
11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1),韓國의 古建築.韓國建築史研究資料.第13號:p14. 미소장
113 문화재관리국역 (1989),중국 고대정원림의 분석.팽일강.(주)계문사.p180. 미소장
114 (사)한국전통조경학회(2009),동양조경문화사.도서출판 대가:pp248-253. 미소장
115 문화재청,순천시 (2001),정혜사대웅전,수리보고서:p14·20. 미소장
116 문화재청 (2011),한국의 전통가옥기록화보고서(37).나주 홍기응․홍기현,화순 양동호․양승수가옥:p51. 미소장
117 민족문화추진회 편 (2004),한정록.許筠.『閑情錄』.서울:솔출판사. 미소장
118 (2011),경전 속 불교식물.이담북스:p281. 미소장
119 (1998),韓國禪詩硏究:무의자 혜심의 시세계.국학자료원:pp63-147. 미소장
120 (2001),풍경을 담는 그릇,정원:p.57. 미소장
121 (2011),조선시대 궁중회화 1.왕과 국가의 회화.파주 돌베개:p148. 미소장
122 (2012),조선시대 궁중회화 3.왕의 화가들.한국학중앙연구원:p353. 미소장
123 (2005),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 지도.서울:민속원. 미소장
124 (2012),조선시대 궁중회화 2.조선 궁궐의 그림.파주 :주식회사 돌베개. 미소장
125 (2011),조선시대 궁중회화 1.왕과 국가의 회화.파주 돌베개:p148. 미소장
126 (2007),연암집(중).돌베개:pp196-212. 미소장
127 (2008a),경화세족과 심상규의 가성각.국회도서관보:p109. 미소장
128 (2008b),京華世族과 沈象奎의 嘉聲閣.조선시대 문인들의 서재 엿보기.국회도서관보:pp106-111. 미소장
129 불전간행회편,박용길 옮김 (1993),불교경전 2유마경.서울 민족사:p39. 미소장
130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23권 (1994),서울 ㈜웅진출판 :p163. 미소장
131 서울출판사 (1946),육사시집:pp49-50. 미소장
132 (2005),파주 돌베개:p161. 미소장
133 성보문화재 연구원 (2007),박지원 지음.신호열ㆍ김병호 옮김.연암집(중).파주 돌베개:p210-211. 미소장
134 소치허련탄생200주년기념행사운영위원회 (2008),진도가 낳은 소치 허련.크리:p247. 미소장
135 (2008),조선 후기 아회도.서울 다할미디어:pp34-203. 미소장
136 (2006),소동파 선을 말하다.김영사:p184. 미소장
137 (2002),몽계필담(상).범우사:p29. 미소장
138 (2007),조선의 프로페셔널.서울:(주)휴머니스트 퍼블리싱 컴퍼니:pp181-210. 미소장
139 (2008),고전산문산책:조선의 문장을 만나다.서울 :휴머니스트,pp324-346·538-541. 미소장
140 (1988),한국의 문인계회와 계회도.한국회화의 전통.서울:문예출판사. 미소장
141 (2006),현대시와 불교.파주:㈜살림출판사:pp44-45. 미소장
142 (2006),현대시와 불교:p.44 미소장
143 (2004),한국미의 재발견.7.불교회화.서울 솔출판사:p.294. 미소장
144 (2004),다섯 사람의 집현전 학사가 安平大君에게 바친시.원제:『匪懈堂48詠』.서울 도서출판 다운샘.pp.123-128. 미소장
145 (2000),만남과 헤어짐의 미학:조선시대 계회도와 전별시.서울:학고재. 미소장
146 (2003),유희삼매:선비의 예술과 선비취미.서울 학고재. 미소장
147 (1980),조경수목학.서울 일조각:p82. 미소장
148 (1995),민화이야기.서울 디자인하우스. 미소장
149 (2002),산수인물명품전.간송문화 62호:p48. 미소장
150 (1998),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꽃말의 내용.서울:넥서스. 미소장
151 (2007),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서울:수류산방.중심. 미소장
152 (1996),李商佐의 畵員家系四代考整.한국고미술.8․9월호:106. 미소장
153 (2011),한국의 전통사찰:전통사찰의 공익적 가치평가 및 관리서울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p19·396. 미소장
154 (1995),민화이야기.서울 디자인하우스. 미소장
155 芭蕉와 漢詩 소장
156 (2006a),조선의 문화공간 1책.서울 휴머니스트:pp224-241. 미소장
157 (2006b),조선의 문화공간 3책.서울 휴머니스트:pp441-447. 미소장
158 (2006c),조선의 문화공간 4책.서울 휴머니스트:pp248-380. 미소장
159 (2012)한시마중.태학사:p327. 미소장
160 (2013),무서록,4판 3쇄 발행,범우사:pp26-29. 미소장
161 (1985),朱子大全箚疑輯補,아름출판사,1985. 미소장
162 (2004),소나무와 나비:동아시아 미학의 두 흐름.심산문화(심산):pp121-122. 미소장
163 (2007),중국문명대시야 2.위안싱페이.서울 김영사. 미소장
164 (2006),다산선생 지식경영법.파주:김영사:pp508-515. 미소장
165 (2007),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서울.휴머니스트. 미소장
166 (2010),한시 미학 산책.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pp50-53. 미소장
167 (2011),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휴머니스트 출판그룹. 미소장
168 (2000),한국의 풍속화.파주:한길아트. 미소장
169 (2011),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다할미디어. 미소장
170 (2012),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돌베개. 미소장
171 (2009),朝鮮後期漢陽의 園林에 관한 연구:京華士族의 園林記와 園林圖를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2 (2013),정조 문인화의 유가미학적 구조분석.동아시아예술과 유가미학.세창출판사:62-86. 미소장
173 (2001)뜬세상의 아름다움.태학사:pp60-61. 미소장
174 조계종총무원 (2011),한국의 전통사찰. 미소장
175 (2004),한시와 일화로 보는 꽃의 중국문화사.中村公一.中國の愛の花ことぼ.서울:뿌리와 이파리. 미소장
176 진도문화원 (1997),옥주의 얼:p114.진도문화원(1998),운림잡저: pp42-198. 미소장
177 진도문화원 (1998),운림잡저:p.39․42․198. 미소장
178 단원 김홍도 연구 소장
179 철학사전편찬위원회외 30인 (2009),철학사전. 미소장
180 철학사전편찬위원회외 (2009),철학사전. 미소장
181 (1998),산수화처럼 펼쳐지는 탈속의 시정.문화와 나.1998.7,8.Vol.4.삼성문화재단:pp22-24. 미소장
182 (2009),겸재 정선 3.서울:현암사. 미소장
183 (2011),보한집.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p276-277. 미소장
184 (2006),붓 한 자루에 담긴 풍정.서울:도서출판 바움. 미소장
185 한국사연구회 (2007),개경의 생활사.서울:휴머니스트. 미소장
186 한국사전연구회 (1998),미술대사전(용어편). 미소장
18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2권.서울 ㈜웅진출판:p282. 미소장
18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a),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권.서울 ㈜웅진출판:pp154-155. 미소장
18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a),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권.서울 ㈜웅진출판:p817. 미소장
1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b),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권.서울 ㈜웅진출판:p193. 미소장
19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c),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3권.서울 ㈜웅진출판:p340. 미소장
192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세계문화유산 중국 소주 10대 명원:pp48-54. 미소장
193 (2006),불교의 무아론:pp39-40. 미소장
194 (2004a),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서울 북로드:pp91-115. 미소장
195 (2004b),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2.서울 북로드:p176. 미소장
196 (2008),조선의 르네상스인 중인.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pp68-79. 미소장
197 (2010),솔출판사.서울:p144. 미소장
198 (2002),한국의 정원,선비가 거닐던 세계:p72-73. 미소장
199 (2004),선인들이 남겨놓은 삶의 흔적들.서울 다른세상. 미소장
200 (2001),한국의 전통조경.동국대학교출판부:p188. 미소장
201 (2002),與猶堂全書,한국문집총간 285.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202 (2008)圖版長物志:pp95-96. 미소장
203 경기대학박물관 (2000).한국민화도록.1-3권. 미소장
204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2006),청록산수,낙원을 그리다.서울 삼성문화인쇄:p25. 미소장
205 국립중앙박물관 (2009),겸재 정선.통천문화사.P98. 미소장
206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6b),한국의 불화.2통도사 본사편(中). 미소장
207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6b),한국의 불화.3통도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08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6c),한국의 불화.5해인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09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6d),한국의 불화.9직지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10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7),한국의 불화.4해인사 본말사편(上). 미소장
211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8),한국의 불화.11화엄사 본말사편 미소장
212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8b),한국의 불화.7송광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13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9a),한국의 불화.12선암사 편. 미소장
214 성보문화재 연구원 (1999b),한국의 불화.13금산사 본말사편. 미소장
215 성보문화재 연구원 (2001a),한국의 불화.22동화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16 성보문화재 연구원 (2001b),한국의 불화.24고운사 본말사편(下). 미소장
217 소치허련탄생200주년 기념행사운영위원회 (2008),진도가 낳은 소치 허련.크리:p247. 미소장
218 (2000),민화 1․2(KOREAN ART BOOK 7).도서출펀 예경. 미소장
219 (2000a),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1.한일출판사. 미소장
220 (2000b),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2.한일출판사. 미소장
221 (2000c),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3.한일출판사. 미소장
222 (2000d),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4.한일출판사. 미소장
223 (2000e),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5.한일출판사. 미소장
224 (2000f),새천년 한국의 민화대전집.6.한일출판사. 미소장
225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7),澗松文華72.謙齋畵派.서울 결출판사:pp179-181. 미소장
226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9a),澗松文華76.謙齋畵派.서울 결출판사. 미소장
227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9b),澗松文華77.道釋.서울 결출판사. 미소장
228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2),澗松文華83.淸明時代繪畫.서울 결출판사:pp105-106. 미소장
22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3a),澗松文華84.豹菴과 朝鮮南宗畫派展.서울:결,pp58-59. 미소장
230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13b),澗松文華85.豹菴과 眞景時代畫員.서울 결출판사. 미소장
231 http://100.daum.net/encyclopedia 미소장
232 http://baike.baidu.com 미소장
233 http://blog.chf.or.kr/110132277922 미소장
234 http://blog.hani.co.kr/seongho0805/87067 미소장
235 http://blog.naver.com/dongmu61 미소장
236 http://blog.naver.com/infobat/140042500716 미소장
237 http://blog.ohmynews.com. 미소장
238 http://cafe.naver.com. 미소장
239 http://d.hiphotos.baidu.com/baike 미소장
240 http://db.itkc.or.kr 미소장
241 http://db.itkc.or.kr 미소장
242 http://en.wikipedia.org 미소장
243 http://mdmoca.com 미소장
244 http://navercast.naver.com 미소장
245 http://navercast.naver.com 미소장
246 http://people.aks.ac.kr 미소장
247 http://terms.naver.com 미소장
248 http://tour.muan.go.kr/information/lotus 미소장
249 http://tupian.baike.com. 미소장
250 http://www.discoverlife.org 미소장
251 http://www.itkc.or.kr/itkc 미소장
252 http://www.koreantk.com 미소장
253 http://www.soswaewon.co.kr 미소장
254 http://www.subkorea.com 미소장
255 http://www.subkorea.com 미소장
256 http://www.zamworl.com 미소장
257 http://www.zwbk.org. 미소장
258 http;//bookkart.culturalcontent.com. 미소장
259 http;//bookkart.culturalcontent.com/ 미소장
260 녹(鹿)이라고 표시해 놓은 움집을 보고서.가정집(稼亭集)제18권. 미소장
261 차운하여 순암(順菴)에게 답하다.가정집(稼亭集).제16권. 미소장
262 김영부 (金領府)저택의 연회(宴會)에서.간이집(簡易集)제8권.還朝錄. 미소장
263 ,승려의 시권에 제하다.간이집 (簡易集)제6권.焦尾錄. 미소장
264 대전(大田)의 재사(齋舍)에서 봄을 보내며 감회를 읊다.갈암집(葛庵集)별집 제1권. 미소장
265 ,가을날 기암자 생각이 나서.계곡선생집 제25권. 미소장
266 ,혼자 쓸쓸히 지내면서 아무렇게나 읊어 본 시 십 수.계곡선생집 제25권. 미소장
267 ,산행의 소감을 적다.계곡선생집 제25권. 미소장
268 왕마힐의 앵도시에 나오는 ‘춘천’두 자의 근거.계곡만필 (谿谷謾筆)제2권. 미소장
269 김 원외가 참산의 청 상인에게 준 시에 화운하다.계원필경집 (桂苑筆耕集)제20권. 미소장
270 신유년(1561,명종16)에 서울에 올라가니 용문이 중에게 준 운자를 써서 나에게 보냈으므로 즉시 화답해서 원기에게 바치다.고봉집(高峯集)제1권. 미소장
271 ,중 성감에게 주다.고봉속집 (高峯續集)제1권. 미소장
272 ,농암집 제34권 外篇. 미소장
273 종을 축출하는 글.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22권. 미소장
274 두 아들에게 부침.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21권. 미소장
275 ,두 아들에게 보여주는 가계,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18권. 미소장
276 ,죽란화목기.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14권. 미소장
277 두보의 시 십이 수를 화답하다:권좌형으로 하여금 노필 시험한 운을 따라 짓게 하고 미소장
278 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7권. 미소장
279 두보의 시 십이 수를 화답하다:다섯 번째 차운하다.다산시문집 (茶山詩文集)제7권. 미소장
280 우세화시집 (又細和詩集)부용꽃 그림 병풍에 시당형의 운을 차하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7권. 미소장
281 ,송파수작 (松坡酬酢):칠월 사일에 몇 사람과 더불어 속히 삼정에 놀러 가려고 하다가 아이가 준비를 지연시킴으로 인하여 가지 못했는데,그 다음날에는 다시 비가 내리므로 마침내 그 놀이를 그만두고,장난삼아 장구를 지어 여성에게 보이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2 ,송파수작 (松坡酬酢),칠월 이일에 매우 더워서.방옹의 초추취량시를 보고 인하여 함께 차운해서 속히 서늘해지기를 기원하다[七月二日甚熱見放翁初秋驟涼之詩因共次韻以祈驟涼].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3 송파수작 (松坡酬酢):병중에 비를 만나 양성재의 추우시 십절구에 차운하여 장난삼아 그체를 모방해 보았으나,둔박하고 졸렬하여 우습기만 하다.또 송옹에게 부치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4 송파수작 (松坡酬酢)열수가 회포를 쓴 시 십 수에 차운하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5 송파수작 (松坡酬酢)범석호가 병중에 지은 시 십이 수를 차운하여 송옹에게 보이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6 송파수작 (松坡酬酢)단오일에 육방옹의 초하한거시 팔 수를 차운하여 송옹에게 부치다.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6권. 미소장
287 장기농가 (長鬐農歌)10장(章).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4권. 미소장
288 고시 (古詩)27수.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제4권. 미소장
289 ,천룡사 (天龍寺)에 우거하면서 짓다.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文集)제9권. 미소장
290 문 장로의 화답이 아홉 수에 이르렀는데 편마다 모두 지둔한 나를 일깨우고 책려하였기에 힘써 수대로 갖추어 받들어 올리다. 미소장
291 ,백낙천의 병중십오수 (病中十五首)에 화답하여 차운하다.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文集)제2권. 미소장
292 ,박 학사의 재차 화답에 차운하다.동국이상국전집 (東國李相國文集)제9권. 미소장
293 ,백운소설.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文集)부록. 미소장
294 ,즉사.속동문선 (續東文選)제9권. 미소장
295 ,무제.속동문선 (續東文選)제8권. 미소장
296 ,사덕방혜승통송선 (謝德方惠僧統送扇).속동문선 제9권. 미소장
297 치원암 주인이 내게 시를 보이고,이내 내게 산중의 고사를 적기를 청하기에.그 운을 따라 화답하여.동문선 (東文選)제6권. 미소장
298 ,독락원의 조상국. 동문선 (東文選)제9권. 미소장
299 보현원.동문선 (東文選)제13권. 미소장
300 ,차운 답 순암.동문선 (東文選)제15권. 미소장
301 도원도,동문선 (東文選)제18권. 미소장
302 부안차이상국규보운 (扶安次李相國奎報韻),속동문선 제7권. 미소장
303 술지부.속동문선 (續東文選)제2권. 미소장
304 ,양초부.속동문선 (續東文選)제1권. 미소장
305 ,책을 판 데 대한 탄식.왕봉주 선생 사각에게 부쳐 위로하다.매천집 #@ (梅泉集)제1권. 미소장
306 방옹의 운에 차하다.매천집 (梅泉集)제2권. 미소장
307 ,선오의 과운에 화답하다.매천집 (梅泉集)제2권. 미소장
308 ,석현에서 묵으며.매천집 (梅泉集)제3권. 미소장
309 ,정원에 심어 놓은 열다섯 종류의 초목에 대해 읊다.매천집 (梅泉集)제3권. 미소장
310 위아가 과일에 오언율시를 지었으므로,장난삼아 그 시에 화운하다.매천집 (梅泉集)제4권. 미소장
311 시골집에서 저문 봄에.매천집 (梅泉集)제4권. 미소장
312 파초.매천집 (梅泉集)제4권. 미소장
313 ,상아의 여름 과제 시에 차운하다.매천집 (梅泉集)제4권. 미소장
314 ,또 미공의 칠언절구에 차운하다.매천집 (梅泉集)제5권. 미소장
315 ,왕봉주 선생에게 제사 지낼 때의 제문.매천집 (梅泉集)제7권. 미소장
316 ,단오일에 재추 (宰樞)들이 격구를 구경하였다.큰길가에 채붕(綵棚)을 걸고 격구를 하는데,무릇 격구하는 이들은 모두 상(上)께서 낙점(落點)한 사람들이고 낙점받은 이가 아니면감히 참여할 수 없으므로,이 때문에 재상(宰相)도 나가서 격구를 하는 이가 있었다.나는 상당군(上黨君)과 함께 저자 옆으로 가서 신평군(新平君)을 만나 시루(市樓)에 올라가서 구경을 하였다.그다음 날에 비가 오므로 기뻐서 노래하다.목은시고(牧隱詩藁)제23권. 미소장
317 이흥효(李興孝)의 미인도(美人圖)에 제하다.백사집(白使執)제1권. 미소장
318 김 접반(金接伴)의 운에 차하다.백사집(白使執)제1권. 미소장
319 ,조천록 (朝天錄)상(上):월사의 풍윤 관등(豊潤觀燈)의 운에 차하다.백사별집 제5권. 미소장
320 우중 (雨中).백사집 제1권. 미소장
321 ,7월 20일 (임인).부상일록. 미소장
322 파초.사가시집 (四佳詩集)제45권. 미소장
323 ,만흥 (漫興).사가시집(四佳詩集)제42권. 미소장
324 앞의 운을 사용하다.사가시집 (四佳詩集)제30권. 미소장
325 즉사 (卽事).사가시집(四佳詩集)제29권. 미소장
326 (金同年)이 부친 시에 차운하다 3수.사가시집(四佳詩集)제29권. 미소장
327 사가집 (四佳集).사가시집보유 제1권. 미소장
328 즉사 (卽事),사가시집 제29권. 미소장
329 자고 일어나다.사가시집 (四佳詩集) 제29권. 미소장
330 ,홀로 앉아서 느낌이 있어 짓다.사가시집 (四佳詩集) 제29권. 미소장
331 한가로이 제 (題)하다.사가시집(四佳詩集) 제29권. 미소장
332 ,밤비가 오다.,사가시집 (四佳詩集) 제28권. 미소장
333 원중 잡흥 (園中雜興)4수.사가시집(四佳詩集)제10권. 미소장
334 한중 잡흥 (閑中雜興)3수.사가시집(四佳詩集)제10권. 미소장
335 추일 (秋日).사가시집(四佳詩集) 보유 제1권. 미소장
336 부안 (扶安).사가시집(四佳詩集) 보유 제1권. 미소장
337 즉사 (卽事).사가시집(四佳詩集) 보유 제1권. 미소장
338 ,가을날에 회포를 쓰다.사가시집 제52권. 미소장
339 한중 (閑中)의 즉사(卽事)3수.사가시집(四佳詩集) 제52권. 미소장
340 ,세 번째 앞의 운을 사용하다.사가시집 (四佳詩集)제51권. 미소장
341 즉사 (卽事)2수.사가시집(四佳詩集)제51권. 미소장
342 ,영물 (詠物)43수.사가시집(四佳詩集) 제10권. 미소장
343 권응록 중 (倦應錄中)큰비가 오는데 승려가 와서 시를 지어 달라고 하기에 그의 시권에 적힌 시에 차운하다.2수,월사집 제17권. 미소장
344 앞의 운을 사용하다.5수.사가시집 제3권. 미소장
345 ,화초비금도 (花草飛禽圖)10수.사가시집 제46권. 미소장
346 ,또 앞의 운을 사용하다.사가시집 제46권. 미소장
347 ,가을날이 쾌청하다.사가시집 제50권. 미소장
348 ,회포를 서술하다.사가시집 제51권. 미소장
349 ,하일 (夏日)의 즉사(卽事)4수.사가시집 제51권. 미소장
350 ,앓고 나서 회포를 서술하다.사가시집 제51권. 미소장
351 이차공 #@ (李次公)이 부친 시에 차운하다.5수,사가시집 제13권. 미소장
352 ,영천 (永川)이 파초(芭蕉)를 보내준 데 대하여 사례하다.사가시집 제14권. 미소장
353 ,꿈을 깨고 나서 짓다.사가시집 제20권. 미소장
354 ,만흥 (漫興).사가시집 제28권. 미소장
355 구급 # (救急):갓 난 소아(小兒)의 급병,산림경제(山林經濟)제3권. 미소장
356 ,구급 (救急):단독(丹毒).산림경제(山林經濟)제3권. 미소장
357 ,목양 (牧養):물고기 기르기.산림경제(山林經濟)제2권. 미소장
358 ,목양 (牧養):소기르기.산림경제(山林經濟)제2권. 미소장
359 ,양화 (養花):파초(芭蕉).산림경제(山林經濟)제2권. 미소장
360 복거 (卜居):방앗간[安碓],산림경제(山林經濟)제1권. 미소장
361 학질을 앓고 누워서 읊다[患痁臥吟].상촌선생집 (象村先生集)제20권. 미소장
362 ,청창연담 중 (晴窓軟談中).상촌선생집(象村先生集)제59권. 미소장
363 ,창문곡 (閶門曲).상촌선생집(象村先生集)제7권. 미소장
364 ,구일 (九日)에 또 짓다 성소부부고 제2권 부록 교산억기시. 미소장
365 ,아치 (雅致).한정록 제6권. 미소장
366 치농 # (治農).한정록 제16권. 미소장
367 ,한서문답 #@ (寒棲問答)소서(小序).수당집 제1권. 미소장
368 강원도 (江原道)평해군(平海郡).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강원도(江原道)평해군(平海郡).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45권. 미소장
369 전라도(全羅道)전주부(全州府).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제33권. 미소장
370 .경기 (京畿)고양군(高陽郡).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제11권. 미소장
371 연계기정 (燕薊紀程).심전고 제1권. 미소장
372 시전록 (柹田錄):의고(擬古).아계유고 제4권. 미소장
373 기성록 (箕城錄):궁사(宮詞).아계유고 제4권. 미소장
374 다섯 학생에게 주다.약천집 제2권. 미소장
375 ,종북소선 (鍾北小選):능양시집서(菱洋詩集序).연암집(燕巖集)제7권 별집. 미소장
376 공작관문고 (孔雀館文稿):이감사(李監司)서구(書九)가 귀양 중에 보낸 편지.에 답함,연암집(燕巖集)제3권. 미소장
377 ,공작관문고 (孔雀館文稿):김우상(金右相)에게 올림.연암집(燕巖集)제3권. 미소장
378 ,연상각선본 (煙湘閣選本).하풍죽로당기(荷風竹露堂記).연암집(燕巖集)제1권. 미소장
379 ,성경잡지 (盛京雜識).열하일기(熱河日記). 미소장
380 ,일신수필 (馹汛隨筆).21일 정유(丁酉),열하일기(熱河日記). 미소장
381 ,동란섭필.열하일기 (熱河日記). 미소장
382 ,피서록보 (避暑錄補).열하일기(熱河日記). 미소장
383 ,차천로 (車天輅)찬.오산설림초고. 미소장
384 ,손이 와서 부질없이 짓다[客至漫賦].완당전집(阮堂全集)제9권. 미소장
385 ,패엽 (貝葉)에 불경을 쓴 것에 대한 변증설(고전간행회본 권 45).오주연문장전산고 경 미소장
386 ,북린의 고우탄에 차하다.완당전집 (阮堂全集) 제9권. 미소장
387 ,이웃 친구가 많이 연연해 하는 뜻을 지녔기에 또 시로써 풀이하다,완당전집 (阮堂全集) 미소장
388 ,취우 (驟雨).완당전집(阮堂全集)제10권. 미소장
389 만촉 (蠻觸).용재집(容齋集)容齋集용재외집. 미소장
390 ,해도록 (海島錄):밤,용재집(容齋集)제7권. 미소장
391 ,파초를 심으며.용재집 (容齋集)제6권. 미소장
392 ,군미가 정자를 지을 대나무와 파초를 보낸 데 사례로 주다.2수.용재집 (容齋集)제6권. 미소장
393 ,군미 (君美)에게 주어,재차 파초 포기를 달라고 청하다.용재집(容齋集)제6권. 미소장
394 ,재차 파초 포기를 달라고 청하고자.군미 (君美)에게 주다.용재집(容齋集)제6권. 미소장
395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미소장
396 부질없이 짓다 부질없이 짓다.익재난고 제3권. 미소장
397 ,화동옥삼편 (華東玉糝編):의란조(猗蘭操)서첩과 이석감로(異石甘露)서첩의 차이에 대한 고찰.임하필기(林下筆記)제33권. 미소장
398 ,화동옥삼편 (華東玉糝編):두실(斗室)의 시(詩).임하필기(林下筆記)제33권. 미소장
399 ,춘명일사 (春明逸史):표류해 온 배의 파초(芭蕉).임하필기(林下筆記)제29권. 미소장
400 춘명일사 (春明逸史):영남(嶺南)의 종려(棕櫚)나무.임하필기(林下筆記)제28권. 미소장
401 문헌지장편 (文獻指掌編)유구국(琉球國)의 풍토기(風土記).임하필기(林下筆記)제11권. 미소장
402 달밤에 기성\ (騎省)에 입직하다.잠곡유고 제2권. 미소장
403 엄천사에서 낮잠을 자다[嚴川寺午睡].점필재집 시집 제7권. 미소장
404 (張旅軒)에게 답하다.지산집 제2권. 미소장
405 ,설교후집 (雪窖後集)102수(一百二首):다시금 차운하다 2수.청음집 제12권 미소장
406 ,아정유고 4 (雅亭遺稿四):양두섬섬(兩頭纖纖).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12권 미소장
407 아정유고 3 (雅亭遺稿三):철각화(鐵脚畫)노래로 강산(薑山)의 운에 차하다.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11권. 미소장
408 아정유고 2 (雅亭遺稿二):유혜보(柳惠甫)가 그 전에 병치(病齒)의 시를 지었는데 나는 이제 낙치(落齒)가 되었다.인하여 그 운자를 따름.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10권. 미소장
409 아정유고 1 (雅亭遺稿一):앓은 다음 느낌을 씀.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9권. 미소장
410 ,아정유고 1 (雅亭遺稿一):눈이 불편해 누워서 읊음.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9권. 미소장
411 영처잡고 2 (嬰處雜稿二):관독일기(觀讀日記).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6권. 미소장
412 ,영처문고 2 (嬰處文稿二):관자허전(管子虛傳).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4권. 미소장
413 청비록 1 #@ (淸脾錄一):중주집(中州集)에서 고려(高麗)에 대하여 읊은 시.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32권. 미소장
414 우인 (友人)에게 드리는 제문.간본 아정유고 제5권 미소장
415 ,청비록 1 (淸脾錄一):이사천(李槎川).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32권. 미소장
416 ,청비록 2 (淸脾錄二):이춘경(李春卿).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33권. 미소장
417 청비록 4 (淸脾錄四):소천시(筱川詩).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35권. 미소장
418 ,영처시고 2 (嬰處詩稿二):무은(蕪隱)에게 붓과 종이를 청함.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2권. 미소장
419 ,이목구심서 1 (耳目口心書一).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48권. 미소장
420 ,선귤당농소 (蟬橘堂濃笑).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제63권. 미소장
421 ,잡저 (雜著):송경록(松京錄).추강집 제6권. 미소장
422 영사 (詠事)26수 :파초(芭蕉)를 노래하다.포저집 제1권. 미소장
423 차오산이 지은 ‘느낌이 있어서[有感]’의 운을 차운하다.오산이 자신의 생일날 아침에 읊은 시이다.학봉집 제2권. 미소장
424 ,신유년 춘첩.한수재선생문집 제1권. 미소장
425 예문지 (藝文志):중국 시(詩).해동역사 제50권. 미소장
426 강희안 (姜希顔).해동잡록 2本朝. 미소장
427 ,수창록 (酬唱錄):청견사(淸見寺)에 거듭 들러.인상인(忍上人)의 두 번째 보인 시에 화답함,해사일기. 미소장
428 ,일산사 (一山寺)를 구경하고 2수.海上錄제2권. 미소장
429 ,8월 15일 (기묘),海游錄상. 미소장
430 춘저록 (春邸錄)2:섬돌의 파초.홍재전서 제2권. 미소장
431 갑진조천록 하 (甲辰朝天錄下).월사집 제5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