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8

1. 서론 9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나.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0

2. 대지예술(Land Art)의 이론적 고찰 11

가. 대지예술이란 11

1) 정의 11

2) 특징 11

나. 대지예술의 종류 12

다. 로버트 스미슨(Smithson, Robert)의 사례 12

라. 대지예술의 적용된 건축 사례 13

3. 건축 사례분석 14

가. 안도 다다오(Ando Tadao) 14

나. 아이엠 페이(I.M. Pei) 14

다. 아라타 이소자키(Arata Isozaki) 15

4. 프로젝트 전개 16

가. 프로젝트의 목적 16

나. 대상지 및 프로그램 선정 16

다. 대지의 환경적 요소 17

라. 대지의 현황 18

5. 대지예술 개념을 적용한 제주 아트 갤러리 19

가. 개념 19

1) 원담 19

2) 원담의 분석 19

나. 디자인 프로세스 20

1) 컨셉 프로세스 20

2) 매스 프로세스 20

3) 컨셉 다이어그램 21

다. 스페이스 프로그램 22

1) 층별 계획 22

2) 대지면적 22

3) 내부 프로그램 23

4) 3D 젤리 다이어그램 24

라. 결과물 25

1) 구조 모델링 25

2) 동선 계획 25

3) 배치도 28

4) 평면계획 29

5) 단면계획 30

6) 입면계획 30

7) 투시도 32

8) 모형사진 35

참고문헌 38

ABSTRACT 39

표목차

표 1. 대지예술의 종류 12

표 2. 로버트 스미슨의 대지예술 작품 12

표 3. 크리스토 부부의 대지예술 작품 13

표 4. Chichu Art Museum, Naoshima, Kagawa 14

표 5. MiHo Museum, Tashiro, Koka 14

표 6. Domus Interactive Museum, A Coruña, Galicia 15

표 7. 대지주변 요소 18

표 8. 원담의 종류 19

표 9. 층별 계획표 22

표 10. 대지면적 표 22

표 11. 스페이스 프로그램 표 23

그림목차

그림 1.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22-19번지 일대 16

그림 2. 올레길 21코스 16

그림 3. 탐라순력도 16

그림 4. 대지 시간대별 해수면 차이 17

그림 5. 구좌읍 대상지 물때표 17

그림 6. 대지주변 현황 18

그림 7. 원의 특성 및 원담의 형성 프로세스 20

그림 8. 매스 프로세스 20

그림 9. 컨셉 다이어그램1 21

그림 10. 컨셉 다이어그램2 21

그림 11. 스페이스 젤리 다이어그램 24

그림 12. 3D 구조 모델링 25

그림 13. 동선 계획 25

그림 14. 1층 동선계획 26

그림 15. 1층 아이소메트릭 26

그림 16. 2층 동선계획 27

그림 17. 2층 아이소메트릭 27

그림 18. 배치 계획 28

그림 19. 1층 평면도 29

그림 20. 2층 평면도 29

그림 21. 단면도 30

그림 22. 서측면도 30

그림 23. 북측면도 30

그림 24. 남측면도 31

그림 25. 동측면도 31

그림 26. 외부전시 원담의 공간 32

그림 27. 내부 전시공간 32

그림 28. 저녁 외부투시도 33

그림 29. 내부 홀 공간 33

그림 30. 썰물 때 34

그림 31. 밀물 때 34

그림 32. 내부 중정 뷰 35

그림 33. 모형사진1 35

그림 34. 모형사진2 36

그림 35. 모형사진3 36

그림 36. 모형사진4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