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6
제1장 서론 8
제2장 현존재 실존성 분석 13
1. 현존재의 실존성 14
1-1. 본질, 현존, 실존 14
1-2. 휴머니즘, 실존 및 탈-존 17
2. 세계-내-존재 19
2-1. 세계성 : 세계성, 용재자, 전재자 20
2-2. 현존재 : 자아와 자기, 타자와 공동 현존재, 세인 23
2-3. 내-존재 : 마음씀 27
제3장 기분 및 근본 기분 실존론적 분석 30
1. 심정성 및 기분 30
1-1. 기분의 실존론적 의미 31
1-2. 기분의 실존론적 성격 : 내던져 있음과 떠맡겨져 있음 33
1-3. 기분의 존재 방식 : 회피와 퇴락 35
2. 현존재의 시간성을 개시하는 근본 기분 38
2-1. 개시성으로서의 근본 기분 38
2-2. 불안과 죽음이 개시하는 현존재의 시간성 39
2-2-1. 불안 39
2-2-2. 죽음의 역사적 고찰 41
2-2-3. 죽음의 실존론적 성격 43
2-2-4. 불안과 죽음의 실존론적 의미 : 본래성의 가능조건, 시간성 45
2-3. 권태가 개시하는 현존재의 시간성 47
2-3-1. 현대시대의 근본 기분 : 권태 47
2-3-2. 첫 번째 형태의 권태 : '어떤 것에 의해서 지루하게 됨' 49
2-3-3. 두 번째 형태의 권태 :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 52
2-3-4. '어떤 것에 의해서 지루하게 됨'과 '어떤 것 곁에서 지루해함'의 차이 54
2-3-5. 세 번째 형태의 깊은 권태 : '아무튼 그냥 지루함', 본래성의 가능조건, 시간성 56
제4장 중독의 실존론적 해석 59
1. 존재 방식으로서의 중독 60
1-1. 정신질환으로서의 중독 60
1-2. 존재 방식으로서의 중독 62
2. 중독의 시간성 64
2-1. 현존재의 시간성을 잃음 : '지금'에 붙잡혀 있음 64
2-2. 실존론적 '죽음' 67
3. 중독의 회복 가능성 : 시간성의 회복 68
제5장 결론 71
참고문헌 74
ABSTRACT 78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기초 존재론의 출발인 인간이라는 현존재와 현존재의 기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간의 존재방식과 존재의미를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중독을 하나의 존재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를 실체로 규정하는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하며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부터 자신의 기초 존재론을 시작한다. 존재란 실체로서의 본질이 아니라, '있음'의 방식에서 드러나는 존재의미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존재를 겨냥하여 존재물음을 물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자인 인간을 '현존재'로 명명하고 현존재의 존재방식과 존재의미를 밝혀내는 작업을 진행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이라는 현존재의 존재방식 일반은 '세계-내-존재'이며 그 존재방식에서 드러나는 존재의미는 현존재의 고유한 시간성이다. '세계-내-존재'방식에서 존재의미를 드러내 주는 것이 바로 기분이며 그 중에서도 인간이 현존재임을 더욱 두드러지게 개시해주는 것이 불안과 권태이다. 불안은 인간이 '죽음을 향한 존재'라는 것을 개시한다. 죽음을 자신의 가능성으로 직면한다는 것은 불안에 빠진다는 것이다. 불안에 빠진 인간은 세계와의 모든 관련성이 끊긴 단독화된 자신을 직면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순간이 현존재가 본래성을 획득하여 자신의 결단을 내릴 수 있는 기회이다. 권태를 통해 드러나는 것은 현존재가 길어지는 시간느낌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느낌은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을 통해 행동하고 작업에 몰입할 때 사라진다. 따라서 현존재의 시간성이란, 자신의 결단을 통해 드러나는 현존재의 본래성이다. 결국, 불안과 권태를 통해 드러나는 것은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을 내리는 것이 현존재의 고유한 본래성이자 시간성이며, 이러한 시간성은 과거, 현재, 미래가 결단이라는 한 순간에 중첩되어 있으며, 미래로의 정향이 과거와 현재를 현재로서 시간화시키는 동기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일상적 시간은 과학적 시간으로, 시계 등으로 재어지고, 과거 현재 미래가 직선적으로 무한히 계속되는 시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이러한 과학적 시간은 현존재의 고유한 시간성의 파생태이며, 결단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시간성이 더욱 근원적임을 불안과 권태의 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오늘날 중독은 원인을 가진 질병으로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독은 무기력감, 우울, 불안, 권태 등의 기분에서 벗어나고자 약물이나 행동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문제적 현상들 자체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기분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을 개시한다. 따라서 중독은 다양한 저조한 기분으로 드러나는 현존재의 하나의 존재방식일 수 있다. 저조한 기분에서 벗어나려는 중독자의 충동성은 중독자가 앞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지금이라는 순간에 붙잡혀 있음을 보여준다. 즉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으로 본래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중독에 대한 치료 방법도, 질병적 접근보다는 현존재 시간성 회복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욱 근원적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