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11
제2절 선행 연구의 검토 14
제3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16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9
제2장 미디어 아트와 다중 상호작용 21
제1절 미디어 아트의 상호작용 고찰 21
1. 미디어아트와 상호작용 21
2.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 유형 24
2.1. 정적(static) 참여 25
2.2. 동적 수동(dynamic passive) 참여 27
2.3. 반응적 상호작용(reactive interactive) 참여 28
2.4. 동적 상호작용(dynamic interactive) 참여 29
제2절 관객과 작품의 상호작용 단계 34
1. 미디어 아트 1.0. : 작가 중심 상호작용 34
2. 미디어 아트 2.0. : 관객과 작품의 일대일 상호작용 37
3. 미디어 아트 3.0. : 관객의 다중 상호작용 42
3.1. 개념과 정의 42
3.2. 관객의 행동주의적 참여 48
제3절 미디어아트 3.0의 특징 52
1. 관객 역할의 확대 52
2. 작품의 시·공간적 확장 55
3. 작품의 비결정성(非決定性) 62
4. 관객의 집단성 68
5. 투영적(投影的) 주체 73
6. 관계적 상호작용 78
7. 관객 사이의 감성 공유 83
제3장 관객과 다중 상호작용 유형 연구 87
제1절 관객에 대한 기존 연구 고찰 87
1. 수동적 수용자연구 88
2. 능동적 수용자 연구 90
3. 관객의 행동 이론과 상징적 상호작용 91
제2절 관객의 능동성 정의 및 관객 유형 분류 94
1.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객의 능동성 94
2. 관객(participant)의 유형 분류 97
제3절 다중 상호작용의 유형 102
1. 다중 상호작용에 관한 고찰 102
2. 미디어아트 3.0에서의 상호작용 유형 104
2.1. 닫힌 시스템(closed system) 상호작용 105
2.2. 열린 시스템(open system) 상호작용 106
2.3. 집단 동질적(homogeneous identity)상호작용 108
2.4. 개별 조합적(collective identity)상호작용 110
제4장 다중 상호작용과 인터페이스 112
제1절 관객사이의 상호작용 및 인터페이스 요소 112
1. 조작(manipulation) 113
2. 사용(use) 114
3. 작용(process) 116
4. 관계(relation) 117
제2절 다중 상호작용적 미디어 아트 사례분석 120
1. 사례분석 개요 120
2. 사례분석 요소 121
3. 사례분석 작품 122
4. 사례분석 124
4.1. C·H유형 : 닫힌-집단 동질적 124
4.2. O·H유형 : 열린-집단 동질적 129
4.3. C·C유형 : 닫힌-개별 조합적 134
4.4. O·C유형 : 열린-개별 조합적 139
제3절 종합분석 144
제5장 결론 150
참고문헌 154
국문초록 164
ABSTRACT 166
[그림 1] Ken Wilber, The Four Quadrants 17
[그림 2] 연구의 흐름 20
[그림 3] Daniel Rozen, Hourglass Mirror, 2005 26
[그림 4] Dan Goods, E-Cloud, 2011 27
[그림 5] Annica Cuppetelli, Cristobal Mendoza, Nervous Structure 3, 2014 28
[그림 6] Rafael Lozano-Hemmer, Please Empty Your Pockets, 2010 30
[그림 7] 중앙대 Data+연구실, 모젼스랩, Smart Big Board, 2012 31
[그림 8] 백남준, 자석 TV ,1965 35
[그림 9] 백남준, Random Access, 1963 36
[그림 10] Luc Courchesne, The Visitor: Living by Numbers, 2001 38
[그림 11] Jeffrey Shaw, Legible City, 1989 38
[그림 12] Edmond Couchot, Je sème à tout vent, 1988 39
[그림 13] Golan Levin & Zachary Lieberman, Re:MARK ,2002 40
[그림 14] Myron Krueger, VIDEOPLACE, 1975 41
[그림 15] 프랑스 라스코 동굴 천장에 그려진 동물들, 기원전 15,000~10,000년경 42
[그림 16] Scott Snibbe, Concentration, 2003 45
[그림 17] Christa Sommerer & Laurent Mignonneau, A-Volve, 1994 46
[그림 18] 양수인, 데이비드 벤저민, Lifecycles, 2010, Photo©웹진 아르코 47
[그림 19] Marcel Duchamp, Rotary Glass Plates, 1920 49
[그림 20] Taisuke Murakami, Contact Water, 2000 58
[그림 21] Enteractive at 11th & Flower, Electroland, 2006 59
[그림 22] Jeffrey Show, Web of life, 2002 60
[그림 23] Golan Levin, Dialtones, 2001 61
[그림 24] Rafael Lozano-Hemmer, Reporters With Borders, 2008 62
[그림 25] unzi, KIM, 對面對話(conversation), 2001 65
[그림 26] Golan Levin, Zach Lieberman, Messa di Voce, 2003 67
[그림 27] Aehter & Hemera, Which is your Brass voice?, 2012 68
[그림 28] 이용백, 미지의 조각, 2010 69
[그림 29] YesYesNo, Night-lights Project, 2010 71
[그림 30] Yugo Nakamura, ecotonoha, 2003 72
[그림 31] 백남준, 손과 얼굴, 1964 74
[그림 32] Daniel Rozin, Angles Mirror, 2013 75
[그림 33] Everyware, Crowdraw, 2010 78
[그림 34] Paul Sermon, Telematic Dreaming, 1993 81
[그림 35] Katherine Moriwaki, Jonah Brucker-Cohen, UMBRELLA.NET, 2004 82
[그림 36] L.P. Demers & Bill Vorn, Inferno, 2014 83
[그림 37] CEDAR ZHOU, Brave New World, 2013 84
[그림 38] Naoko Tosa, Unconscious Flow, 2000, Photo© Otto Saxinger 85
[그림 39] Michael Cross, Bridge, 2006 99
[그림 40] spectators watching Bridge at Dilston Grove,London, Photo©Lone Koefoed Hansen 99
[그림 41] 인터랙티브 아트의 관객 참여 단계 100
[그림 42] 다중 상호작용 유형 105
[그림 43] 집단 동질적 반영 110
[그림 44] 개별 조합적 반영 111
[그림 45]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분류 113
[그림 46] 오창근, 빛·소리·기둥, 2012 115
[그림 47] Bubble_portrait, 장윤제, 2013 116
[그림 48] 사례분석절차 120
[그림 49] 사례분석 작품들의 포지셔닝 맵 123
[그림 50] Richard Wilhelmer, Julius von Bismarck, Benjamin Maus, Fühlometer, 2008 124
[그림 51] Usman Haque, Evoke, 2007 125
[그림 52] 이준, 김경미, Spell on the City , 2012 126
[그림 53] Nox, The D-Tower, 2003 127
[그림 54] Usman Haque, Primal Source, 2008 128
[그림 55] Usman Haque, Sky Ear, 2004 129
[그림 56] Mehmet Akten, Body Paint, 2009 130
[그림 57] Christian Möeller, Audio Grove, 1997 131
[그림 58] GUI BORATTO, Reactable, 2009 132
[그림 59] OSK, Open Circuit, 2007 133
[그림 60] 장윤제, 오창근, Jumping Ghost, 2013 134
[그림 61] 마이클 모리스와 요스코 사토, 라이트 샤워2, 2008 135
[그림 62] 김태윤, Hyper Fish, 2010, Photo©이데일리 136
[그림 63] Lab[au], Touch, 2006 137
[그림 64] Lozano-Hemmer, Tape Recorders, 2001 138
[그림 65] Lozano-Hemmer, Body Movie, 2001 139
[그림 66] Scott Snibbe, Boundary Function, 1998 140
[그림 67] Scott Snibbe, Deep Walls, 2002 141
[그림 68] Lozano-Hemmer , Sand box, 2010 142
[그림 69] Romy Achituv, Camille Utterback, Text Rain, 1999 143
[그림 70] 유형 별 인터페이스 요소 분포 그래프 145
[그림 71] 다중참여 인터페이스 요소의 포지셔닝 맵 148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는 관객이 사용자로서 참여하고 소통하면서 완성되는 작품이다. 미디어 아트 중에서 관객의 참여가 전제로 시작되는 인터랙티브 아트는 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종전의 예술에서 나타난 단방향적 소통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특성을 제시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에서의 관객 참여는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며 관객이 물리적인 관여를 통하여 작품을 완성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관객은 이와 같은 상호작용에 따라 작품에 몰입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작품의 재해석 및 재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터랙티브 작품에 대한 참여적 소통의 도구인 인터페이스와 행위자로서 관객 사이의 관계는 밀접하다. 그 중에서도 다수의 관객을 작품에 물리적, 심리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다수 참여 인터페이스(multi-user interface)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아트의 유형을 관객의 참여 정도 및 단계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첫 번째, 미디어 아트 1.0은 미디어 아트의 선구적 작품들이 제시한 시대적 특성으로 일방향적인 소통 구조를 지칭한다. 미디어 아트 2.0은 본격적인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을 가리키는데, 이 유형의 작품들은 대체로 관객이 작품과 일대일 대응관계를 형성하며 소통해 나간다. 20세기 말 빅 데이터의 중요성이 대두된 환경에서, 작품과 관객의 일대일 소통이 아닌 '작품과 다수 관객의 소통' 또는 '다자간의 소통'이라는 집단적 인터랙션을 지향하는 작품들이 나타났다. 미디어 아트 3.0은 이와 같은 다수 관객의 동시 인터랙션이 가능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전제로 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으로 미디어 아트 관객의 참여형태에 따라 참여 관계의 패러다임을 분류하고, 미디어 아트 1.0, 미디어아트 2.0과 비교하여 다수 참여형태인 미디어아트 3.0의 유형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해당 작품들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미디어 아트 3.0의 패러다임에 따라서 나타나는 특징적 요소를 다중 상호작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관객이 작품에 참여할 때 변화되는 작품의 반응적 결과에 따라 그 경향을 '집단 동질적'/'개별 조합적'으로 구분하였고, 작품에 관객의 참여가 반영되는 경향을 '열린 시스템'/'닫힌 시스템'으로 구분했다. 이에 따라 분류된 다중 상호작용의 네 가지 유형은 닫힌-집단 동질적, 열린-집단 동질적, 닫힌-개별 조합적, 열린-개별 조합적의 4분면이다. 이것을 토대로 상호작용에 관한 인터페이스 분석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사례 작품의 유형별 요소 분석 및 관계 분석 방법을 적용했다. 작품 사례 분석에서는 관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작품들을 중심으로 예시를 제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유형 별로 다수결형, 무작위형, 분산형, 협력형 관객의 특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 관객 사이에서 협력적 관계의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을 반영하는 대응성과 함께 관객이 집단으로 작품을 변화시킬 가능성인 '가변성' 동시에 나타나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