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1.3. 선행연구 고찰 16

1.4. 용어정리 19

제2장 오피스 및 스마트 오피스의 이론적 고찰 21

2.1. 오피스 공간의 배경 21

2.1.1. 오피스 공간의 개념 및 정의 21

2.1.2. 오피스 공간의 변천과정 24

2.2. 스마트 워크 오피스의 배경 31

2.2.1. 스마트 워크(Smart Work)의 개념 및 등장배경 31

2.2.2. 스마트 워크(Smart Work)의 유형 및 분류 38

2.2.3. 스마트 오피스의 특성 42

제3장 친환경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46

3.1. 친환경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 46

3.1.1. 친환경 디자인의 개념 46

3.1.2. 친환경 디자인의 특성 및 요소 52

3.1.3. 친환경 디자인 정책 및 인증제도 58

3.2. 오피스공간의 친환경 디자인 적용현황 및 경향 68

3.2.1. 국외 오피스공간의 친환경 디자인 현황 및 경향 68

3.2.2. 국내 오피스공간의 친환경 디자인 현황 및 경향 73

제4장 스마트 오피스의 친환경 디자인 유형분석을 위한 분석의 틀 77

4.1. 스마트 오피스의 친환경디자인 요소 분석의 틀 77

4.1.1. 스마트 오피스 디자인 특성 재구성 77

4.1.2. 친환경 인증제도 현황을 통한 평가요소 재구성 79

4.1.3. 친환경 건축물 현황을 통한 평가요소 재구성 85

4.2. 분석의 틀 89

제5장 사례분석을 통한 스마트 오피스의 친환경 요소 현황 및 유형분석 91

5.1. 조사 대상의 선정 91

5.2. 분석의 범위 및 방법 91

5.3. 사례조사 및 유형분석 92

5.3.1. 국외 사례 분석 92

1. A사 92

2. B사 94

3. C사 96

5.3.2. 국내 사례 분석 98

1. a사 98

2. b사 100

3. c사 102

4. d사 104

5. e사 106

6. f사 108

5.4. 분석의 종합 110

제6장 결론 115

참고문헌 117

국문초록 120

Abstract 123

표목차

〈표 1-1〉 스마트 워크 오피스 선행연구 (2005~2014) 16

〈표 1-2〉 친환경 디자인 선행연구 (2005~2014) 17

〈표 2-1〉 오피스 공간의 시대흐름 및 시대별 업무환경에 대한 변화 30

〈표 2-1〉 스마트 워크의 개념 기관 32

〈표 2-2〉 경제활동 참가율 34

〈표 2-3〉 도시 직장인의 근무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34

〈표 2-4〉 미래학자들의 전망 35

〈표 2-5〉 기술적 배경4가지 개념 36

〈표 2-6〉 스마트 워크센터 시설현황 40

〈표 2-7〉 영상회의 유형 별 특징 41

〈표 3-1〉 NEP와 HEP의 4가지 기본 원칙 47

〈표 3-2〉 친환경 건축의 개념 및 목표 50

〈표 3-3〉 친환경 건축의 5가지 개념 51

〈표 3-4〉 친환경 건축의 디자인 특징 56

〈표 3-5〉 친환경 인증제도 평가항목 및 점수, 평가등급 62

〈표 3-6〉 GBCC 실내환경 평가항목 재구성 63

〈표 3-7〉 BREEAM 실내환경 평가항목 65

〈표 3-8〉 LEED Version 3.0 실내환경질 평가항목 66

〈표 3-9〉 GBTool 2005 (Green Building Assessment Tool) 68

〈표 3-10〉 사례분석-1 (Harvard Blackstone office) 69

〈표 3-11〉 사례분석-2 (IBN-DLO Wageningen) 71

〈표 3-12〉 사례분석-3 (Matsushita Electric Works Head Office) 72

〈표 3-13〉 사례분석-3 (SK사옥) 73

〈표 3-14〉 사례분석-5 (누리꿈 스퀘어) 75

〈표 4-1〉 스마트 오피스의 공간구성 특성 요소 도출 77

〈표 4-2〉 영국 BREEAM 평가기준 재구성 79

〈표 4-3〉 미국 LEED 평가기준 재구성 80

〈표 4-4〉 캐나다 GBTool vERSION 1.57의 부문의 분야별 평가항목 및 점수의 가중치 82

〈표 4-5〉 친환경 건축물의 인증심사기준 부분별 평가항목-재구성 83

〈표 4-6〉 Harvard Blackstone office,-재구성 85

〈표 4-7〉 IBN-DLO Wageningen,-재구성 85

〈표 4-8〉 Matsushita Electric Works Head Office-재구성 86

〈표 4-9〉 SK사옥-재구성 87

〈표 4-10〉 누리꿈 스퀘어-재구성 87

〈표 4-11〉 친환경 디자인 분석을 위한 유형 도출 88

〈표 4-12〉 사례분석 틀 90

〈표 5-1〉 국외사례_A사 92

〈표 5-2〉 국외사례_B사 94

〈표 5-3〉 국외사례_C사 96

〈표 5-4〉 국내사례_a사 98

〈표 5-5〉 국내사례_b사 100

〈표 5-6〉 국내사례_c사 102

〈표 5-7〉 국내사례_d사 104

〈표 5-8〉 국내사례_e사 106

〈표 5-9〉 국내사례_f사 108

〈표 5-10〉 사례 스마트 오피스 공간구성특성 및 친환경 조사 분석의 종합 111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진행 흐름도 15

〈그림 2-1〉 업무공간의 분류 23

〈그림 2-2〉 4개의 업무 유형과 각 영역의 크기, 위치, 형태에 따른 연관관계 27

〈그림 2-3〉 현대 업무 공간의 발전 유형 28

〈그림 5-11〉 스마트 오피스 공간구성특성 종합 그래프_국외사례 112

〈그림 5-12〉 스마트 오피스 공간구성특성 종합 그래프_국내사례 112

〈그림 5-13〉 스마트 오피스 친환경 요소 종합 그래프_국외사례 112

〈그림 5-14〉 스마트 오피스 친환경 요소 종합 그래프_국내사례 113

초록보기

 현대 산업사회는 20세기 중 후반 무렵부터 무분별한 자연 파괴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해 졌고, 미래의 삶이 유지가 어려울 정도로 환경이 파괴되어 '친환경'이 대두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환경오염과 인간이 속해있는 환경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현대인들이 하루 중 약70% 이상을 소비하고 있는 장소 중에 하나인 오피스 건물, 공장 등 다양한 업무환경에 개발된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을 모색하게 되었다. 특히 건축 관련 분야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와 친환경 재료의 사용 및 건설, 전기설비 비용의 절감으로 주요목표는 건물이 환경에 미치게 될 긍정적 부정적 요소를 철저히 검토하고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주위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 있는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 하는 것이 건축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친환경의 핵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거 다음으로 인간이 점유하는 환경인 오피스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과거의 오피스는 주로 정보의 효율적인 처리를 목적인 환경조성에 머물렀으나 현재의 오피스는 지식창조 시대에 적합한 사무환경으로 변화되고 있고, 더 이상 정보의 효율적인 처리만 하는 것이 아닌, 그룹과 개인의 창의성을 자극하고 시너지가 발휘되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그 이유로는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Mobil Office(모바일 오피스), Cloud Computting(클라우드 컴퓨팅)등의 ICT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igy) 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런 스마트 워크를 활용한 기업들이 관심이 고조 되고 있으며, 이것은 지구온난화 해결, 저출산 및 고령화의 문제, 여성인재의 지속적인 창출, 기업의 업무효율성과 에너지 및 비용절감의 해결방안으로 적극 검토되고 있으며, 미래 환경발전의 관점에서 정보기술 및 디지털기기 사용에 익숙한 젊은 세대 사원들의 직무수행 역량을 충분히 끌어내기 위해서라도 지속가능한 친환경 업무공간으로서의 스마트 오피스 구축 및 활용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스마트 오피스 공간으로 계획하기 위해 국내외 친환경 디자인의 현황 및 공간구성 특성 및 친환경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여 유형을 분석한 후, 향후 스마트 오피스의 공간을 계획할 시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될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 하여 친환경적인 공간을 모색하는데 합리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외는 매거진 및 기사를 통해 스마트 워크를 도입한 유명기업을 선정하였고, 국내는 스마트 워크를 도입한 2009년 이후의 다국적 오피스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을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스마트 오피스의 공간구성의 현황을 파악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특성을 위주로 파악하여 각 사례를 3가지 유형(컨버젼스, 커뮤니케이션, 포커스)으로 도출하였으며, 친환경요소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인증제도 및 친환경 건축물의 현황을 통해 사례를 조사하여 3가지 유형( 지속가능한 에너지, 사람중심, 환경 친화적)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스마트 오피스의 공간구성 특성 및 친환경 요소를 분석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오피스의 공간 구성특성의 유형분석의 결과는

1.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8개의 공간적 특성을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를 하였다. 국외사례의 경우는 A, B, C사: Convergence형_42.3%, Communication형_30.8%, Focus형_26.9%로 컨버젼스(42.3%)> 커뮤니케이션(30.8%)> 포커스(26.9%)의 순서로 적용되었고, 국내사례의 경우는 a, b, c, d, e, f사: Convergence형_45.8%, Communication형_31.3%, Focus형_22.9% 으로 컨버젼스(45.8%)>커뮤니케이션(31.3%)>포커스(22.9%)의 순서로 적용되었다. 이것은 공간특성인 가변성과 개방성으로 공간과 다른 공간의 경계를 소멸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함께 쓰이며, 종래의 HIVE와 CELL 형의 오피스에서 벗어난 오픈된 공간으로서의 변화를 시사한다.

2. 스마트 오피스의 친환경 요소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인증제도를 재구성하고 국내외 친환경 건축물의 현황을 재구성하여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로 국외사례의 경우는 A, B, C사: Sustainable Energy형_35.5%, Person-Centered형_38.7%, Eco-friendly형_25.8% 로 사람중심(38.7%> 지속가능한 에너지(35.5%)>환경친화적(25.8%)로 적용되었으며, 국내사례의 경우 a, b, c, d, e, f사: Sustainable Energy_45.9%, Person-Centered형_23%, Eco-friendly형_31.1% 로 지속가능한 에너지(45.9%)>환경 친화적(31.1%)>사람중심(23%)의 순서로 적용되었다. 공간 안에서의 친환경 계획요소로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인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 및 수자원의 재사용과 채광 및 공기순환을 통해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것으로서 에너지 절감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끝으로, 스마트 오피스는 그 공간에 점유하는 사람들의 업무의 효율성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소통을 유도하며 지구환경의 보존과 사람 중심적으로 미래세대와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의 측면에서 구성되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생태적인 요소들의 배치는 아직 많이 부족하며, 공간구성적인 측면에서는 현재는 중견이상의 기업들이 일부부서 또는 일부층만 시행을 하고 있으나 소형 기업으로도 범위를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변화된 공간에 적응이 쉽도록 기업특성에 맞게 적용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