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9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1.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12

1.2.1. 선행 연구 검토 12

1.2.2. 문제 제기 15

1.3. 연구 방법 16

2. 이론적 배경 17

2.1. 읽기의 관한 이론 17

2.2. 텍스트의 관한 이론 18

2.2.1. 텍스트 유형 20

2.2.2. 텍스트의 구조 26

3. 읽기 텍스트 분석 32

3.1. 분석 절차 32

가. 분석 자료 33

나. 평정자 간 논의 34

3.2. 교재 선정 및 구조 분석 기준 37

가. 한국어 읽기 교재 선정 37

나. 한국어 읽기 텍스트 구조 분석 기준 38

3.3. 교재별 텍스트 분석 44

3.3.1. 중·고급 교재 읽기 텍스트 유형 분석 45

3.3.2. 중급 교재 텍스트 구조 분석 55

3.3.3. 고급 교재 텍스트 구조 분석 68

4. 분석 결과 논의 84

4.1.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구조 84

가. 한국어 교재 중·고급 텍스트 구조 비율과 특징 84

나. 기술 집합구조 논의 86

다. 텍스트 구조와 학습자의 읽기 이해도 87

4.2. 텍스트 구조 교육을 위한 읽기 개선 방안 88

5. 결론 92

참고문헌 95

Abstract 99

표목차

〈표 2-1〉 Grosse(1976)의 텍스트 유형 분류 21

〈표 2-2〉 Brinker(1994)의 텍스트 유형 분류 22

〈표 2-3〉 송금숙(2002)의 텍스트 유형 분류 23

〈표 2-4〉 신은경(2009)의 텍스트 유형 분류 23

〈표 2-5〉 진주(2013)의 텍스트 유형 분류 24

〈표 2-6〉 텍스트 유형 분류 25

〈표 2-7〉 설명문 텍스트 구조 분류표 28

〈표 3-1〉 연구 절차 33

〈표 3-2〉 논의 대상 교재 33

〈표 3-3〉 연구 대상 교재 38

〈표 3-4〉 『재미있는 한국어 3, 4』 텍스트 유형 45

〈표 3-5〉 『이화 한국어 3-1, 3-2, 4』 텍스트 유형 46

〈표 3-6〉 『연세 한국어 3, 4』 텍스트 유형 47

〈표 3-7〉 『서강 한국어 3, 4』 텍스트 유형 48

〈표 3-8〉 중급 읽기 텍스트 유형 결과 49

〈표 3-9〉 『재미있는 한국어 5, 6』 텍스트 유형 50

〈표 3-10〉 『이화 한국어 5, 6』 텍스트 유형 51

〈표 3-11〉 『연세한국어 5, 6』텍스트 유형 52

〈표 3-12〉 『서강 한국어 5A, 5B』 텍스트 유형 54

〈표 3-13〉 고급 읽기 텍스트 유형 결과 54

〈표 3-14〉 『재미있는 한국어 3, 4』 텍스트 구조 56

〈표 3-15〉 『이화 한국어 3-1, 3-2, 4』 텍스트 구조 57

〈표 3-16〉 『연세 한국어 3, 4』 텍스트 구조 59

〈표 3-17〉 『서강 한국어 3, 4』 텍스트 구조 60

〈표 3-18〉 중급 교재별 텍스트 구조 결과 68

〈표 3-19〉 『재미있는 한국어 5, 6』 텍스트 구조 69

〈표 3-20〉 『이화 한국어 5, 6』 텍스트 구조 71

〈표 3-21〉 『연세 한국어 5, 6』 텍스트 구조 72

〈표 3-22〉 『서강 한국어 5A, 5B』 텍스트 구조 73

〈표 3-23〉 고급 교재별 텍스트 구조 결과 82

〈표 4-1〉 한국어 교재 4종 구조별 분석 결과 85

〈표 4-2〉 구조별 텍스트 자료 예문 91

그림목차

〈그림 2-1〉 설명문 텍스트의 구조(Meyer와 Freedle(1984) 31

〈그림 3-1〉 중급 기술 집합 의미구조도 61

〈그림 3-2〉 중급 원인-결과 의미구조도 63

〈그림 3-3〉 중급 문제-해결 의미구조도 65

〈그림 3-4〉 중급 비교-대조 의미구조도 67

〈그림 3-5〉 고급 기술 집합 의미구조도 75

〈그림 3-6〉 고급 원인-결과 의미구조도 77

〈그림 3-7〉 고급 문제-해결 의미구조도 79

〈그림 3-8〉 고급 비교-대조 의미구조도 81

초록보기

 Reading is a fuction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acceptance of information through written language. Therefore, in order to become effective learners reading Korean, Identify the nature of reading is also important.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structure and type shown in the textbook, and if you read the learner to educate more efficient education.

But So far, reading related studies have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Learner needs analysis, Text type and topic analysis. There are many topics of study. However, the study of the structure of Korean textbooks rarely not progress.

It is important at this point. and for Korean learners descriptive text efficiently educational in order to study progress.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use and a clear expository text Analysis of the structure. textbooks that appear on the of the article structure and features Identified. Each of the structure Learner's reading understand, and new reading is aimed to present. Research follows.

Chapter 1 Commenting on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The discussion centered on research issues.

Chapter 2 Than to find out Reading theory, text theory, etc.

Chapter 3 Conducted the discussion. Intermediate level textbook to analyze people. That's why when analyze errors that occur as subjective. Therefore, after discussion amongst the people, all the textbooks analyze.

Chapter 4 discuss the textbook structure ratio. and discussing about th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s a result, the text has the proportion is highe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description structure. also Reading comprehension is high. and in order to an effective education subjects homogenize.

Chapter 5 Research content cleanup. Paper fin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