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1

II. 이론적 배경 12

1. 하이든의 생애 12

2.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 14

1) 초기 소나타 15

2) 중기 소나타 15

3) 후기 소나타 16

III.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Hob. XVI:52〉에 관한 이해 17

1. 작품개요 17

2. 제 1악장 18

1) 제시부 (마디 1-43) 19

2) 발전부 (마디 44-78) 22

3) 재현부 (마디 79-116) 24

3. 제 2악장 27

1) A (마디 1-18) 27

2) B (마디 19-32) 29

3) A' (마디 33-54) 31

4. 제 3악장 32

1) A (마디 1-28) 33

2) B (마디 29-77) 33

3) A' (마디 78-102) 35

4) C (마디 103-203) 35

5) A" (마디 282-307) 36

IV. 결론 37

참고문헌 38

Abstract 40

표목차

〈표 1〉 하이든 〈피아노 소나타, Hob. XVI:52〉의 악장구성 17

〈표 2〉 제 1악장의 형식구조 18

〈표 3〉 제 2악장의 형식구조 27

〈표 4〉 제 3악장의 형식구조 32

악보 목차

〈악보 1〉 제 1악장, 제 1주제의 전악구, 마디1-3 19

〈악보 2〉 제 1악장, 제 1주제의 후악구, 마디6-8 19

〈악보 3〉 제 1악장, 경과부의 도입부분, 마디17-18 20

〈악보 4〉 제 1악장, 제 2주제, 마디27-30 20

〈악보 5〉 제 1악장, 종결구의 도입 부분, 마디33-34 21

〈악보 6〉 제 1악장, 제시부의 종결 부분, 마디40-43 21

〈악보 7〉 제 1악장, 발전부 A의 도입부분, 마디44-47 22

〈악보 8〉 제 1악장, 발전부 A에 나타나는 동형진행, 마디48-49 22

〈악보 9〉 제 1악장, 발전부 A에 등장하는 주요 부점 리듬, 마디57-60 23

〈악보10〉 제 1악장, 발전부 B에 등장하는 제 2주제, 마디 67-69 23

〈악보11〉 제 1악장, 발전부의 종결 부분, 마디 72-88 24

〈악보12〉 제 1악장, 제시부 제 1주제의 후악구, 마디 84-88 25

〈악보13〉 제 1악장, 재현부 E♭장조의 경과구, 마디 93-94(이미지참조) 25

〈악보14〉 제 1악장, 재현부의 제 2주제, 마디 98-99 26

〈악보15〉 제 1악장, 재현부의 마침, 마디 113-116 26

〈악보16〉 제 2악장, 주요 리듬동기, 마디 1-4 28

〈악보17〉 제 2악장, b 부분의 급격한 전조, 마디 9-12 28

〈악보18〉 제 2악장, a 부분의 반복음과 장식음, 마디 13-18 28

〈악보19〉 제 2악장, B 부분의 도입부분, 마디 19-24 29

〈악보20〉 제 2악장, d 부분의 도입부분, 마디 25-28 30

〈악보21〉 제 2악장, c' 부분의 마침부분, 마디 29-32 30

〈악보22〉 제 2악장, A' 부분의 a 도입부분, 마디 33-40 31

〈악보23〉 제 2악장, A' 부분의 b 도입부분, 마디 41-44 31

〈악보24〉 제 2악장, A' 부분의 a' 도입부분, 마디 45-50 31

〈악보25〉 제 2악장, A' 부분의 coda 마침부분, 마디 51-54 32

〈악보26〉 제 3악장, A 부분의 도입부분, 마디1-17 33

〈악보27〉 제 3악장, B 부분의 반음계적 선율, 마디 28-34 33

〈악보28〉 제 3악장, B 부분에 등장하는 fz, 마디 44-55 34

〈악보29〉 제 3악장, B부분의 상성부와 하성부의 교차, 마디 65-77 34

〈악보30〉 제 3악장, A' 부분의 마침부분, 마디 78-102 35

〈악보31〉 제 3악장, C 부분의 같은 음형의 반복, 마디 103-118 36

〈악보32〉 제 3악장, A" 부분의 마침부분, 마디 291-307 36

초록보기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은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는 1750년대 초 부터 1795년까지 약 40년 동안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 하였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초기, 중기, 후기를 거치며 고전주의 피아노 소나타 형식의 틀을 완성시켜 나갔다.

그의 초기 피아노 소나타는 디베르티멘토 형식과 유사하다. 단순한 패턴이 반주에서 자주 사용 되었으며 알베르티 베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가벼운 갤런트적인 성격이 두드러진다. 중기 피아노 소나타는 초기 소나타 보다 규모가 커지고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간의 길이가 조화로워 졌다. 또한 주제와 변주를 사용하고 다수의 단조 소나타를 작곡하여 실험적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후기 소나타는 그의 건반악기 스타일의 정점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그 중〈피아노 소나타 Hob. XVI:52〉는 그가 영국 런던에 체류하며 작곡한 것으로 영국식 액션의 포르테피아노로 작곡되었다. 영국식 액션의 피아노는 비엔나 액션의 포르테피아노 보다 건반의 폭이 깊고 터치가 무거웠다. 또한 건반의 음역이 확장되었으며 소리의 울림이 풍부하였다. 이로써 다양한 음색표현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영향은〈피아노 소나타 Hob. XVI:52〉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또한 위의 작품은 조성관계에서 특별하다. 1악장과 3악장은 E♭장조이나 2악장은 E장조로 되어있다. 피아노 소나타의 악장 별 조성관계는 주로 가까운 조로 진행되는 것에 반해 E장조는 E♭장조와 관계조가 아닌 아주 먼 조로의 진행이다. E장조는 1악장의 제 2주제에 사용 되었으며 이것은 2악장의 E장조를 예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1악장은 포르테와 함께 등장하는 부점 리듬에서 당당함과 함께 풍요로운 소리를 이루어 낸다. 빠른 스케일의 패시지는 넓은 음역대의 사용으로 화려함을 더한다. 제 2악장은 급격한 전조와 대조적인 다이내믹의 사용으로 극단적이며 자유로운 감정표현을 요구한다. 제 3악장은 약박에 놓인 sfz 의 사용으로 긴박감을 느낄 수 있다. 상성부와 하성부를 교차하며 나타나는 16분음표는 넓은 음역대에서 사용되었으며 이는 매우 화려하고 기교적이다.

하이든은 피아노 소나타를 다른 장르들과 필적할만한 수준으로 이끌어 올렸으며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후세의 많은 작곡가들에게 고전주의 소나타로서 본보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