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1.3. 연구의 흐름도 16
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발생과 활용에 대한 이해 17
2.1.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정의 및 이해 17
2.1.1.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정의 17
2.1.2.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발생배경 17
2.1.3.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활용 가능성 20
2.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현황 23
2.2.1.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현황 23
2.2.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유형 56
2.2.3.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특성 61
2.3. 소결 68
3.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에 대한 이해 및 사례분석 69
3.1.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에 대한 이해 69
3.1.1. 장기 계획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문제점 69
3.1.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에 대한 한시적 활용의 필요성 72
3.1.3. 한시적 공간 활용의 유형 77
3.2. 한시적 공간 활용과 장기 계획 간의 관계 및 사례분석 79
3.2.1. 한시적 공간 활용과 장기 계획 간의 관계 79
3.2.2. 한시적 공간 활용을 통한 장기 계획된 사례 82
3.2.3. 한시적 공간 활용을 통한 장기 계획된 사례 분석 89
3.3. 소결 91
4.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에 대한 모색 92
4.1.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 92
4.1.1.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 정의 92
4.1.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 유형 92
4.2. 분류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 100
4.2.1.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 제시 100
4.2.2.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 적용 101
5. 결론 121
5.1. 요약 및 결론 121
5.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124
참고문헌 125
Abstract 128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16
〈그림 2〉 시대에 따른 도시구조의 변화 17
〈그림 3〉 자동차 중심에서 사람 중심의 도시구조로 변화 19
〈그림 4〉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분포 28
〈그림 5〉 폭의 길이와 소요인원 기준으로 분류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 58
〈그림 6〉 지상의 횡단보도 위치에 따른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 62
〈그림 7〉 주변현황에 따른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분류 64
〈그림 8〉 유형과 특성에 따른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 66
〈그림 9〉 유형과 특성에 따라 분류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 67
〈그림 10〉 동십자각 공공지하보도 69
〈그림 11〉 서울역 앞 공공지하보도 70
〈그림 12〉 옥수역 광장 '보물찾기' 82
〈그림 13〉 풍산동 '문화놀이터' 83
〈그림 14〉 서교지하보도 '바보프로젝트' 84
〈그림 15〉 뉴욕 '런치비트' 85
〈그림 16〉 더 유니 프로젝트(The Uniproject) 86
〈그림 17〉 슈타트레젠(Stadlesen) 87
〈그림 18〉 런치비트 서울 90
〈그림 19〉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유형 93
〈그림 20〉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 100
〈그림 21〉 관악로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2
〈그림 22〉 노일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3
〈그림 23〉 용화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4
〈그림 24〉 인덕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5
〈그림 25〉 서부지원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6
〈그림 26〉 논현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7
〈그림 27〉 예술의전당 제1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8
〈그림 28〉 아시아공원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09
〈그림 29〉 풍납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0
〈그림 30〉 여의도초등학교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1
〈그림 31〉 동십자각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2
〈그림 32〉 사직공원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3
〈그림 33〉 중앙우체국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4
〈그림 34〉 한국은행 앞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5
〈그림 35〉 회현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116
〈그림 36〉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 주변시설에 따른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7
〈그림 37〉 분류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유형 및 프로그램 118
〈그림 38〉 주거, 상업, 업무중심형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 119
〈그림 39〉 주거, 상업, 업무중심형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유형 120
〈그림 40〉 연구의 프로세스 122
1980년대, 공공지하보도는 자동차 중심의 도시구조에서 보행자가 차량을 피해 지하로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는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도시구조가 사람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지상에는 횡단보도가 설치되었다. 보행자들은 지상의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하지 않고 편리하게 길을 건넜다.
사람들의 횡단보도 이용률이 높아질수록 공공지하보도의 이용률은 급격히 감소하고 방치되어 도시 내 유휴공간을 발생시켰다. 도시에서는 초기 건설 목적과는 달리 기능을 잃고 방치된 유휴 공공지하보도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리모델링 중심의 장기 계획은 또다시 노숙자들의 자리 차지가 되었으며, 청소년들의 흡연, 음주 등 비행의 장소로 변하였다. 이러한 환경개선 위주의 장기 계획은 반복적인 유휴공간을 발생시키는 문제 제기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지하보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환경개선 중심의 장기 계획된 서울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문제점을 통해 한시적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한시적 공간 활용과 장기 계획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한시적 공간 활용을 통해 장기 계획된 사례를 분석하여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활용방안 도출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유휴 공공지하보도를 유형과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분류된 유휴 공공지하보도의 한시적 활용방안 도출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휴 공공지하보도가 전쟁이나 재난 시 대피시설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평상시에는 한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출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 내 유휴공간의 장기 계획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시도가 될 것이라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이는 유휴공간의 장기 활용방안 탐색에 대해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