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Title Page

Contents

국문 요약 7

I. Introduction 9

II. Material & methods 10

III. Results 12

IV. Discussion 13

참고 문헌 16

Abstract 25

Table I. Descriptives among Height, Body weight, Age, BMI,... 19

Table II. Correlation analysis among Height, Body weight,... 20

Table III. Regression analysis of Height, Age, BMI,... 21

Table IV. Equation of Flap size and Expected volume from... 22

Figure I. Case of 44 years old female with LDMC flap... 23

Figure II. Case of 44 years old female with LDMC flap... 24

초록보기

서론 : 최근 한국에서 유방암 환자의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유방암 수술 후 즉시 유방 재건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유방절제술 후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선 반대측 정상 유방의 크기와 모양을 거의 비슷하게 재건해야 하는데 이에 정립된 방법은 없는 상태로 이에 본 저자는 환자의 신체 계측치, 체질량 지수(BMI), 절제된 유방의 무게 등을 고려하여 즉시 유방 재건시 필요한 피판의 크기 및 부피를 예측하려 한다.

방법 : 이번 연구는 2010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한명의 성형외과 전문의에 의해 광배근 피부 피판술로 즉시 유방재건 수술을 시행한 17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나이, 체중과 키 체질량 지수를 미리 기록하였다. 또한, 일반 외과에서 절제한 유방의 무게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했던 수술의 경험적 결과를 바탕으로 크기와 위치와 axis방향을 유방하선(Inframammary line)에서 수평한 선을 긋고 피부섬 피판의 모양은 타원형, 광배근 피판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디자인하였습니다. 광배근 피판의 면적은 유방재건에 필요한 정도로 책정하였다. 즉시 유방재건술을 시행한 후 추가적으로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았던 케이스를 포함하였다.

결과 : 평균 나이, 체중, 키, BMI는 각각 48.9세, 57.5kg, 157.9cm, 23.1(kg/㎡)이고, 일반외과에서 제거한 유방의 무게는 평균 160.6g이며, 유방 재건시 필요한 광배근의 디자인시 면적은 평균은 158.1㎠이다. 상관분석에서는 광배근 디자인 부위 크기와 나이가 0.196의 상관이 있었다(유의수준〈0.05). 광배근 디자인 부위 크기와 제거한 유방의 무게가 0.635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의수준〈0.05). 광배근 피판의 크기는 일반외과에서 제거한 유방의 무게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나이, BMI, 떼어낸 유방의 무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의수준〈0.05). 나이의 영향력은 0.140, BMI의 영향력은 -0.126, 떼어낸 유방 무게의 영향력은 0.638,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0.454이었다. 이에 따라 즉시 유방 재건시 광배근 피부 피판술을 시행하는 경우 두가지를 고려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제거된 유방의 무게를 측정한 후 필요한 피판의 크기를 예측하는 경우와, 두 번째는 일반외과에서 유방절제시 재건할 부피를 예측하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A. 피판의 크기 (㎠) = (0.14 x Age - 0.13 x BMI + 0.64 x 떼어낸 유방 무게(g)) x 2.5

B. 재건할 부피 (cc) = (디자인한 광배근 피판의 크기/2.5 - 45.12 - 0.35 x Age + 0.88 x BMI)/0.12

고찰 : 유방재건수술에 있어 횡복직근피부피판이 널리 사용되지만 동양인들은 서양인들에 비해 비교적 작은 체구를 지니고 있어 광배근 피부 피판이 보다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과거 문헌에서는 광배근 피부 피판을 시행함에 있어 외관적 대칭성을 위해 필요한 피판의 크기 및 부피를 역으로 추정하는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 재건 후 유방의 크기나 모양을 결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요소에 따른 필요한 크기 및 부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정하는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유방 재건에 필요한 피판의 크기는 본연구에서 후향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절제된 유방의 무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후 동양인에서 본 연구의 광배근 피부 피판술 외의 다른 유방재건술과의 비교에 참고가 되는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유방 조직간 비율 및 수술 하기 전 양측 유방이 정확하게 대칭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