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9

1) 연구문제 19

2) 가설모델 19

3. 용어의 정의 20

1) 아버지 심리특성 20

2) 아버지 부부특성 20

3) 아버지 양육특성 20

4) 유아 사회성 20

II. 이론적 배경 22

1. 아버지와 유아 사회성 발달 22

2. 아버지 심리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27

1) 아버지 우울과 유아 사회성 발달 29

2) 아버지 자아존중감과 유아 사회성 발달 32

3) 아버지 자기효능감과 유아 사회성 발달 34

3. 아버지 부부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37

1) 아버지 결혼만족도와 유아 사회성 발달 39

2) 아버지 부부갈등과 유아 사회성 발달 41

4. 아버지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44

1)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사회성 발달 46

2) 아버지 양육방식과 유아 사회성 발달 49

III. 연구방법 53

1. 연구대상 53

2. 연구 도구 55

1) 아버지 심리특성 55

2) 아버지 부부특성 56

3) 아버지 양육특성 58

4) 유아 사회성 59

3. 연구절차 60

4. 자료분석 62

1) 구조방정식 62

2) 확인적 요인분석 63

3) 모델적합도 63

IV. 연구결과 및 해석 65

1. 각 변인의 상관관계 분석 65

2.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69

1)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제안모델 검증 69

2)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최종모델 검증 74

V. 논의 및 결론 79

참고문헌 94

영문초록 115

부록 118

부록 1. 아버지 심리특성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19

부록 1-1. 아버지 우울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19

부록 1-2. 아버지 자아존중감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0

부록 1-3. 아버지 자기효능감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1

부록 2. 아버지 부부특성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2

부록 2-1. 아버지 결혼만족도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2

부록 2-2. 아버지 부부갈등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3

부록 3. 아버지 양육특성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4

부록 3-1. 아버지 양육참여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4

부록 3-2. 아버지 양육방식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5

부록 4. 유아 사회성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6

부록 4-1. 놀이상호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6

부록 4-2. 놀이방해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7

부록 4-3. 놀이단절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128

부록 5.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배경 설문지 129

부록 6. 아버지 심리특성, 부부특성, 양육특성, 유아 사회성에 대한 설문지 130

부록 6-1. 아버지 심리특성에 대한 설문지 130

부록 6-2. 아버지 부부특성에 대한 설문지 132

부록 6-3. 아버지 양육특성에 대한 설문지 133

부록 6-4. 유아 사회성에 대한 설문지 135

표목차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배경 53

〈표 2〉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종류와 수용기준 64

〈표 3〉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상관관계 68

〈표 4〉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제안모델 적합도 검증 결과 69

〈표 5〉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제안모델과 경쟁모델 적합도 검증결과 73

〈표 6〉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최종모델 적합도 검증결과 74

〈표 7〉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최종모델 경로계수 76

〈표 8〉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변인간의 직·간접효과 및 총효과 77

그림목차

[그림 1]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가설모델 19

[그림 2] 연구절차 61

[그림 3]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제안모델 70

[그림 4]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경쟁모델1 71

[그림 5]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경쟁모델2 72

[그림 6] 유아 사회성 발달 구조적 관계 최종모델 7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PSKC)연구의 4차년도(2011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1754가구의 35개월∼42개월 유아와 그의 부모이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아버지 심리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Kessler 우울척도(K6), Rosenberg 자아존중감척도, Pearlin 자아효능감척도를 사용하고 부부특성은 결혼만족도척도(Revised -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RKMSS)와 부부갈등척도를 양육특성은 양육참여 척도와 양육스타일(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을, 유아 사회성 발달은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를 사용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과 AMOS 21.0 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긍정적 심리특성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아버지 부정심리 특성인 우울을 상쇄한 효과로 유아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심리특성은 유아 사회성 발달과 관련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버지 심리특성은 아버지 양육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는 부적절한 양육특성이 나타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아버지는 자녀의 요구에 민감하고 온정적 양육특성을 보여주어, 아버지의 긍정적 심리특성은 부정적 양육방식을 완화 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버지 부부특성 중 결혼만족도는 부부갈등으로 인한 부정적 요인을 상쇄하여 유아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가정에서 성장한 유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경우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공격성이 증가하여 유아 사회성 발달을 저해시킨다.

넷째, 아버지 부부특성이 아버지 양육특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결혼만족도가 높은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아버지 부부갈등이 높으면 양육참여가 낮고 통제적인 양육행동이 나타났다. 즉 아버지 부부특성은 아버지 양육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아버지 심리특성과 아버지 부부특성이 유아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경로에서 아버지 양육특성은 매개변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즉 유아 사회성 발달은 아버지 양육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만 아버지 양육특성은 아버지 심리특성과 부부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 사회성 발달을 지지하기 위해 아버지 양육특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아버지 양육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긍정적 심리특성과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 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이 유아 사회성 발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유아 사회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및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