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1.2. 연구의 내용 14

1.3.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2.1. 다문화 가정의 현황 및 영어 학습 16

2.1.1.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 16

2.1.2. 다문화 가정 자녀의 영어 능력 17

2.1.3. 다문화 가정 자녀의 영어 학습 18

2.2. 다문화 가정에서의 영어 읽기와 쓰기 20

2.2.1. 이중언어로서의 읽기와 쓰기 20

2.2.2. 다중언어로서의 읽기와 쓰기 21

2.3. 다문화와 영어 학습에 대한 선행연구 22

2.3.1. 다문화 가정의 영어 학습 환경 22

2.3.2. 다문화 학생들의 영어 학업 성취도 24

2.3.3. 다문화 학생들의 영어 학습 실제 25

2.3.4. 다문화 가정 부모의 모국어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언어습득 27

III. 연구 방법 28

3.1. 연구의 대상 및 도구 28

3.1.1. 연구의 대상 28

3.1.2. 연구의 도구 29

3.2. 연구의 절차 및 방법 37

3.2.1. 연구의 절차 37

3.2.2. 연구의 방법 38

IV. 연구 결과 39

4.1. 설문지 분석 39

4.2. 면담 분석 62

(1)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영어 읽기·쓰기 학습 62

(2)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영어 성적 63

(3)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63

4.3. 요인 분석 66

(1)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학습 환경 67

(2)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 68

V. 결론 69

5.1. 결론 및 논의 69

5.2. 제언 72

참고문헌 73

부록 76

〈부록 1〉 다문화가정 기초 정보 조사를 위한 설문지(부모님 대상) 77

〈부록 2〉 다문화가정 기초 정보 조사를 위한 설문지(학생 대상) 81

〈부록 3〉 다문화 가정 학생의 영어 담당 교사 대상 면담 질문지 85

〈부록 4〉 다문화 가정 학생의 영어 담당 교사 대상 면담 내용 86

〈부록 5〉 다문화 가정 자녀의 영어 학습자료 97

Abstract 99

표목차

〈표 1〉 면담 참여 교사의 기본 정보 28

〈표 2〉 면담 참여 교사가 가르치고 있는 다문화 학생의 기본 정보 29

〈표 3〉 기초 정보 조사를 위한 설문 내용(부모 대상) 30

〈표 4〉 기초 정보 조사를 위한 설문 내용(학생 대상) 32

〈표 5〉 다문화 가정 학생의 영어 담당 교사 대상 면담 내용 35

〈표 6〉 연구 기간 및 절차 37

〈표 7〉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부모의 국적 39

〈표 8〉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한국 거주 기간 40

〈표 9〉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부모의 나이 40

〈표 10〉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부모의 직업 41

〈표 11〉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부모의 학력 41

〈표 12〉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환경 42

〈표 13〉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부모의 자녀 나이 43

〈표 14〉 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의 한국어 능력 43

〈표 15〉 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의 영어 성취 수준 44

〈표 16〉 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의 영어 과목 영역별 수준 45

〈표 17〉 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의 영어 읽기·쓰기 수준 45

〈표 18〉 다문화 가정 부모가 인식하는 영어 과목에서 가장 필요한 영역 46

〈표 19〉 다문화 가정 자녀가 영어를 처음 학습한 시기 46

〈표 20〉 다문화 가정 부모가 자녀에게 영어를 가르친 경험과 시간(1일 기준) 47

〈표 21〉 다문화 가정 자녀의 영어 학습 시간(1일 기준) 47

〈표 22〉 다문화 가정 자녀가 영어 읽기·쓰기 교육 받는 방법(해당 되는 것 모두 표기) 47

〈표 23〉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와 주로 사용하는 언어 48

〈표 24〉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48

〈표 25〉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성별 49

〈표 26〉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나이 49

〈표 27〉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의 가족 구성원 50

〈표 28〉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 부모의 국적 50

〈표 29〉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 부모의 나이 51

〈표 30〉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 부모의 직업 51

〈표 31〉 설문 조사에 참여한 다문화 가정 학생 부모의 학력 52

〈표 32〉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본인의 한국어 능력 53

〈표 33〉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본인의 영어 성취 수준 54

〈표 34〉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본인의 영어 과목 영역별 수준 55

〈표 35〉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본인의 영어 읽기·쓰기 수준 55

〈표 36〉 다문화 학생의 영어 읽기 영역의 학습 시간(1일 기준)과 학습 자료(복수 응답) 56

〈표 37〉 다문화 학생의 영어 쓰기 영역의 학습 시간(1일 기준)과 학습 자료(복수 응답) 56

〈표 38〉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영어 과목에서 가장 필요한 영역 57

〈표 39〉 다문화 가정 자녀가 영어를 처음 학습한 시기 57

〈표 40〉 다문화 학생이 부모에게 영어를 배운 경험과 시간(1일 기준) 58

〈표 41〉 다문화 학생의 영어 학습 시간(1일 기준) 58

〈표 42〉 다문화 가정 학생이 영어 읽기·쓰기 교육 받는 방법(해당 되는 것 모두 표기) 59

〈표 43〉 다문화 학생이 부모와 주로 사용하는 언어 59

〈표 44〉 다문화 학생이 인식하는 본인의 한국어 능력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60

〈표 45〉 면담내용 개방 코딩작업 결과 66

초록보기

 현재 우리나라는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또한 점차 학교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학생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영어 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영어 읽기·쓰기 학습 방법과 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어 능력과 영어 읽기·쓰기 학습 간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여 한국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을 하는 데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부모와 자녀들에게 다문화 가정환경, 한국어 능력과 영어 과목 성취도, 영어 읽기·쓰기 수준과 필요성, 학습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다문화 학생을 가르치고 있는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활용한 다문화 학생의 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다문화 학생들 스스로 영어 읽기·쓰기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 영어 학습 성취도 결과에 비춰 영어 읽기·쓰기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낮았으며, 일반 한국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하고 있어 영어 읽기·쓰기 학습에 있어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을 할 때 문화적 이해와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학습 효율성이 떨어지는 점이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능력 향상 및 문화적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을 할 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영어 읽기 영역에서는 독해부분, 영어 쓰기 영역에서는 영작 부분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영어 읽기·쓰기 학습을 하는 데 있어서 경제적인 환경, 문화적인 배경, 사회적인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과 영어 읽기·쓰기 학습 간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고 언어 학습면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부모는 자녀들의 한국어 능력과 영어 읽기·쓰기 학습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해서 인식을 하고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다문화 학생 영어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문화적인 관점에서 수업을 준비하여 그들을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다문화 가정 부모와 영어 교사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