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6

3. 선행연구 고찰 19

II. 이론적 고찰 22

1. 브랜드 아파트의 개념 22

1) 브랜드의 정의 22

2) 브랜드의 구성요소 23

3) 브랜드 아파트의 개념 및 특성 24

2. 브랜드 아파트의 발전과정 25

1) 아파트의 브랜드화 25

2) 브랜드 아파트 현황 26

3) 브랜드 아파트의 활용 효과 27

3. 브랜드와 외관색채의 연관성 28

1) 브랜드에서 색채의 기능 28

2) 외관색채의 중요성 29

3) 외관색채의 구성요소 31

4) 브랜드 외관색채매뉴얼 현황 32

III. 현황조사 34

1. 조사의 개요 34

1) 브랜드 선정 34

2) 브랜드별 단지 선정 35

3) 조사방법 및 내용 36

2. 브랜드 아파트별 현황조사 38

1) 삼성물산 래미안 38

2) GS건설 자이 50

3) 대림산업 / e-편한세상 62

4) 대우건설 / 푸르지오 74

5) 현대건설 / 힐스테이트 86

3. 현황조사종합 98

1) 사용색채 종합 98

2) 연도별 색채 종합 105

IV. 실태 분석 108

1. 브랜드 분석 108

1) 삼성물산 / 래미안 108

2) GS건설 / 자이 111

3) 대림산업 / e-편한세상 114

4) 대우건설 / 푸르지오 117

5) 현대건설 / 힐스테이트 120

2. 분석종합 123

V. 결론 126

참고문헌 131

영문요약[내용누락;p.121] 135

표목차

〈표 1-1〉 연구진행의 흐름도 18

〈표 1-2〉 선행연구 분석 19

〈표 2-1〉 브랜드의 구성요소 23

〈표 2-2〉 주요건설사의 아파트 브랜드 명칭 26

〈표 2-3〉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특징 31

〈표 2-4〉 명도(Value)와 채도(Chroma)의 분류기준 31

〈표 2-5〉 아파트 색채매뉴얼 현황 (2011기준. 1군 건설사) 33

〈표 3-1〉 2014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5위 브랜드 아파트 34

〈표 3-2〉 분석대상 브랜드별 아파트 위치 35

〈표 3-3〉 래미안 그래이튼(2010)의 현황조사 38

〈표 3-4〉 래미안 그래이튼(2010)의 색채조사 39

〈표 3-5〉 래미안 그래이튼(2010)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40

〈표 3-6〉 래미안 금호 하이리버(2012)의 현황조사 42

〈표 3-7〉 래미안 금호 하이리버(2012)의 색채조사 43

〈표 3-8〉 래미안 금호 하이리버(2012)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44

〈표 3-9〉 래미안 밤섬 리베뉴 I (2014)의 현황조사 46

〈표 3-10〉 래미안 밤섬 리베뉴 I (2014)의 색채조사 47

〈표 3-11〉 래미안 밤섬 리베뉴 I (2014)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48

〈표 3-12〉 한강 밤섬 자이(2010)의 현황조사 50

〈표 3-13〉 한강 밤섬 자이(2010)의 색채조사 51

〈표 3-14〉 한강 밤섬 자이(2010)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52

〈표 3-15〉 금호 자이 2차(2012)의 현황조사 54

〈표 3-16〉 금호 자이 2차(2012)의 색채조사 55

〈표 3-17〉 금호 자이 2차(2012)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56

〈표 3-18〉 공덕 자이(2015)의 현황조사 58

〈표 3-19〉 공덕 자이(2015)의 색채조사 59

〈표 3-20〉 공덕 자이(2015)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60

〈표 3-21〉 방배 서리풀 e-편한세상(2010)의 현황조사 62

〈표 3-22〉 방배 서리풀 e-편한세상(2010)의 색채조사 63

〈표 3-23〉 방배 서리풀 e-편한세상(2010)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64

〈표 3-24〉 e-편한세상 보문(2013)의 현황조사 66

〈표 3-25〉 e-편한세상 보문(2013)의 색채조사 67

〈표 3-26〉 e-편한세상 보문(2013)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68

〈표 3-27〉 e-편한세상 마포 3차(2015)의 현황조사 70

〈표 3-28〉 e-편한세상 마포 3차(2015)의 색채조사 71

〈표 3-29〉 e-편한세상 마포 3차(2015)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72

〈표 3-30〉 둔촌 푸르지오(2010)의 현황조사 74

〈표 3-31〉 둔촌 푸르지오(2010)의 색채조사 75

〈표 3-32〉 둔촌 푸르지오(2010)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76

〈표 3-33〉 서울숲 푸르지오 2차(2012)의 현황조사 78

〈표 3-34〉 서울숲 푸르지오 2차(2012)의 색채조사 79

〈표 3-35〉 서울숲 푸르지오 2차(2012)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80

〈표 3-36〉 위례신도시 송파 푸르지오(2015)의 현황조사 82

〈표 3-37〉 위례신도시 송파 푸르지오(2015)의 색채조사 83

〈표 3-38〉 위례신도시 송파 푸르지오(2015)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84

〈표 3-39〉 반포 힐스테이트(2011)의 현황조사 86

〈표 3-40〉 반포 힐스테이트(2011)의 색채조사 87

〈표 3-41〉 반포 힐스테이트(2011)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88

〈표 3-42〉 이수 힐스테이트(2013)의 현황조사 90

〈표 3-43〉 이수 힐스테이트(2013)의 색채조사 91

〈표 3-44〉 이수 힐스테이트(2013)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92

〈표 3-45〉 강서 힐스테이트(2014)의 현황조사 94

〈표 3-46〉 강서 힐스테이트(2014)의 색채조사 95

〈표 3-47〉 강서 힐스테이트(2014)의 101동 색채면적조사 96

〈표 3-48〉 현황조사종합 98

〈표 3-49〉 브랜드 아파트별 색상 출현율 102

〈표 3-50〉 연도별 외관색채 변화추세 105

〈표 4-1〉 래미안 브랜드 색채이미지 분석 108

〈표 4-2〉 래미안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09

〈표 4-3〉 자이(Xi) 브랜드 색채이미지 분석 111

〈표 4-4〉 자이(Xi)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2

〈표 4-5〉 e-편한세상 브랜드 색채이미지 분석 114

〈표 4-6〉 e-편한세상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5

〈표 4-7〉 푸르지오 브랜드 색채이미지 분석 117

〈표 4-8〉 푸르지오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8

〈표 4-9〉 힐스테이트 브랜드 색채이미지 분석 120

〈표 4-10〉 힐스테이트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21

〈표 4-11〉 브랜드 지향이미지와 비교분석 종합 123

그림목차

〈그림 3-1〉 SketchUp 2014로 구현한 조사 건축물 3D 37

〈그림 3-2〉 Auto Cad 2012로 구현한 조사 건축물 입면 37

〈그림 4-1〉 래미안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0

〈그림 4-2〉 자이(Xi)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3

〈그림 4-3〉 e-편한세상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6

〈그림 4-4〉 푸르지오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19

〈그림 4-5〉 힐스테이트 브랜드 외관색채 종합분석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