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1.1.1. 연구의 배경 12
1.1.2. 연구의 목적 13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5
1.2.1. 연구의 범위 15
1.2.2. 연구의 방법과 방향 15
1.3.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의 의의 17
1.3.1. 선행연구 고찰 17
1.3.2. 연구의 의의 19
제2장 용도지역제와 주거지 슈퍼블록 22
2.1. 기능주의 22
2.1.1. 기능주의의 출현 22
2.1.2. 기능주의적 도시계획 25
2.2. 토지이용계획과 용도지역제 31
2.2.1. 토지이용계획의 원리 31
2.2.2. 용도지역제의 역할과 의의 34
2.2.3. 우리나라 용도지역제 관련 제도 39
2.2.4. 우리나라 시설용도 관련 제도 42
2.2.5. 해외의 용도지역·시설용도 관련 제도와 최근 경향 48
2.3. 주거지 슈퍼블록의 계획 62
2.3.1. 슈퍼블록의 정의 62
2.3.2. 주거지 계획이론 66
2.3.3. 우리나라 신시가지 계획 72
제3장 강남 주거지 슈퍼블록의 용도지역과 시설활용 76
3.1. 강남개발계획과 연구대상지 선정 76
3.1.1. 강남개발의 진행과정 76
3.1.2. 연구대상지의 선정 81
3.1.3. 연구대상지의 개요와 연구의 관점 87
3.2. 용도지역의 계획과 현황 93
3.2.1. 용도지역의 계획 93
3.2.2. 도시여건의 변화 96
3.2.3. 용도지역의 현황 101
3.3. 도시조직의 계획과 현황 103
3.3.1. 도로와 블록 103
3.3.2. 필지 108
3.4. 밀도의 계획과 현황 111
3.4.1. 거주밀도와 주택형식 111
3.4.2. 건축밀도 113
3.5. 소결 116
제4장 도시주거지의 기능변화 특성 118
4.1. 강남 주거지 슈퍼블록의 용도지역과 시설용도 118
4.1.1. 주거지의 상업화·업무화 경향 118
4.1.2. 상업지의 주거화 경향 130
4.1.3. 주거지 슈퍼블록의 기능변화 특성 134
4.2. 주거지의 상업화 특성 135
4.2.1. 상업시설의 확산과 도로·블록의 연관성 138
4.2.2. 상업시설 입지와 필지의 연관성 166
4.2.3. 근린·전문상업시설의 배치 특성 172
4.3. 주거지의 업무화 특성 183
4.3.1. 업무시설 입지와 규모의 연관성 183
4.3.2. 주거·상업시설과의 연관성 186
4.3.3. 업무시설의 수직적 분포 경향 192
4.4. 상업지의 주거화 특성 197
4.4.1. 주거시설의 입지 여건 198
4.4.2. 주거시설과 도시교통시설과의 연관성 198
4.4.3. 연접도로와 필지 특성 202
4.5. 소결 205
제5장 결론 208
참고문헌 212
국문초록 216
ABSTRACT 218
[그림 2-1] 르 코르뷔지에의 Ville Contemporaine Project. 1922 26
[그림 2-2] 르 코르뷔지에의 Plan of the Ville Contemporaine, 1933 26
[그림 2-3] 르 코르뷔지에와 잔느레의 Cellular perimeter block... 26
[그림 2-4] 르 코르뷔지에의 View of the Plan Voisin, 1925 27
[그림 2-5] Plan of Rio de Janeiro 28
[그림 2-6] Plan Obus, Algiers, 1930-34 28
[그림 2-7] 르 코르뷔지에의 The Ville Radieuse, overall plan 29
[그림 2-8] 토지 이용의 전형적인 지역지구제 구분지도 37
[그림 2-9] 뉴욕시 조닝 구분과 용도지역 분류 현황 56
[그림 2-10] 맥락조닝 적용 체계와 주요 건축물 형태 제어 방법 57
[그림 2-11] 일본 도시계획제도의 구성 59
[그림 2-12] 스마트코드의 6가지 조닝 61
[그림 2-13] 토니 가르니에의 Une Cité Industrielle, 1904 62
[그림 2-14] 기존 도로체계(左)와 르 코르뷔지에가 제안한 도로체계(右) 63
[그림 2-15] '빛나는 도시(上)'와 파리(左), 뉴욕(中), 부에노스아이레스(右)의 블록패턴 비교 64
[그림 2-16] Sketch plan of superblock, 1927.12.03. 65
[그림 2-17] Theoretical study of a superblock, 1928.01.17. 65
[그림 2-18] 기존의 블록패턴(左)와 헨리 라이트의 슈퍼블록(右) 65
[그림 2-19] 헨리 라이트의 Diagram reproducing a sketch in the "Study... 66
[그림 2-20] 페리의 근린주구이론 단위유닛 다이어그램 68
[그림 2-21] 스타인의 근린주구단위계획 69
[그림 2-22] 라이트와 스타인의 레드번 계획 70
[그림 2-23] 레드번의 상세블록 계획 70
[그림 2-24] 레드번 상세블록계획 단면 70
[그림 2-25] 분당신도시 개발계획도 74
[그림 2-26] 일산신도시 개발계획도 74
[그림 3-1] 남서울계획도 76
[그림 3-2] 새서울백지계획 도면 77
[그림 3-3] 영동 신시가지 개발사업 조감도 78
[그림 3-4] 영동 한강변에 조성된 공무원 아파트 배치도 79
[그림 3-5] 준공당시 논현동 공무원 아파트 79
[그림 3-6] 영동지구 시영주택단지 전경 80
[그림 3-7] 수도권 주변 계획도시 82
[그림 3-8] 부천시 중동의 용도지역 83
[그림 3-9] 안양시 평촌의 용도지역 83
[그림 3-10] 영동지구 테헤란로 인근 용도지역 84
[그림 3-11] 군포시 산본의 용도지역 85
[그림 3-12] 연구대상지 구분 86
[그림 3-13] 슈퍼블록1의 입지와 용도지역 88
[그림 3-14] 슈퍼블록2의 입지와 용도지역 89
[그림 3-15] 슈퍼블록3의 입지와 용도지역 90
[그림 3-16] 1970년 연구대상지 용도지역 94
[그림 3-17] 1976년 연구대상지 용도지역 95
[그림 3-18] 1990년 연구대상지 용도지역 96
[그림 3-19] 연구대상지와 지하철 97
[그림 3-20] 테헤란로 개발 토지이용구조 99
[그림 3-21] 2011년 연구대상지 용도지역 101
[그림 3-22] 선릉로112길 102
[그림 3-23] 봉은사로47길 102
[그림 3-24] 개발되기 전의 강남지역 모습 103
[그림 3-25] 1977년 도로체계 104
[그림 3-26] 2015년 도로체계 104
[그림 3-27] 간선도로변 필지의 대형화 106
[그림 3-28] 간선도로변 블록의 낮은 세장비 106
[그림 3-29] 1974년 연구대상지 지적도 108
[그림 3-30] 2010년 연구대상지 지적도 109
[그림 3-31] 1976년 아파트지구 지정 112
[그림 3-32] 1970년대 연구대상지 밀도계획 단면 115
[그림 3-33] 2000년 이후 연구대상지 밀도계획 단면 115
[그림 4-1] 상업화지수의 예 120
[그림 4-2] 연속적인 상업시설 120
[그림 4-3] 코너필지의 주상복합 120
[그림 4-4] SB1의 상업화지수 121
[그림 4-5] SB2의 상업화지수 122
[그림 4-6] SB3의 상업화지수 123
[그림 4-7] 연구대상지의 업무지수별 필지수 125
[그림 4-8] 주거지의 소규모 업무시설 126
[그림 4-9] 업무시설로 리모델링한 주거시설 126
[그림 4-10] SB1의 업무지수 127
[그림 4-11] SB2의 업무지수 128
[그림 4-12] SB3의 업무지수 129
[그림 4-13] SB1의 상업지역의 주거시설 131
[그림 4-14] SB2의 상업지역의 주거시설 132
[그림 4-15] SB3의 상업지역의 주거시설 133
[그림 4-16] SB1-N의 도로의 폭별 도로수 138
[그림 4-17] SB1-N의 도로폭에 따른 구분 139
[그림 4-18] 4m 도로인 도산대로30길 141
[그림 4-19] 12m 도로인 도산대로38길 141
[그림 4-20] 슈퍼블록별 연결도로 144
[그림 4-21] 연결도로 수와 상업시설 수의 관계 145
[그림 4-22] 슈퍼블록별 연결도로의 모습 147
[그림 4-23] SB1의 연결도로 개수와 상업화지수 148
[그림 4-24] SB2의 연결도로 개수와 상업화지수 149
[그림 4-25] SB3의 연결도로 개수와 상업화지수 150
[그림 4-26] SB1의 필지열의 분류 153
[그림 4-27] SB2의 필지열의 분류 154
[그림 4-28] SB3의 필지열의 분류 155
[그림 4-29] 도로의 열평균과 상업시설 수의 관계 158
[그림 4-30] 2열필지와 4열필지의 도로의존도 159
[그림 4-31] 기준도로와 연접블록 160
[그림 4-32] 세장비 계산방법 160
[그림 4-33] 블록별 비교대상 도로 162
[그림 4-34] 평균세장비와 상업시설 수의 관계 163
[그림 4-35] 세장비와 도로연속성의 관계 166
[그림 4-36] 코너필지와 도로변필지 구분 169
[그림 4-37] 도로변필지와 코너필지의 상업화 비율 170
[그림 4-38] 상업시설의 분포위치 171
[그림 4-39] 코너필지의 상업시설 172
[그림 4-40] 도로변필지의 상업시설 172
[그림 4-41] SB1의 근린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73
[그림 4-42] SB2의 근린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74
[그림 4-43] SB3의 근린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75
[그림 4-44] 상업시설별 단일필지 내 상업시설 수의 비율 177
[그림 4-45] SB1의 전문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79
[그림 4-46] SB2의 전문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80
[그림 4-47] SB3의 전문상업시설 상업화지수 181
[그림 4-48] 주거지역의 소규모 업무시설 분포도 184
[그림 4-49] 주거지역의 중규모 업무시설 분포도 184
[그림 4-50] 주거지역의 대규모 업무시설 분포도 185
[그림 4-51] 주거시설과 복합된 업무시설의 분포도 187
[그림 4-52] SB1의 상업시설과 복합된 업무시설의 규모별 분포 188
[그림 4-53] SB2의 상업시설과 복합된 업무시설의 규모별 분포 189
[그림 4-54] SB3의 상업시설과 복합된 업무시설의 규모별 분포 190
[그림 4-55] 업무시설과 상업시설 복합 192
[그림 4-56] 업무시설과 주거시설 복합 192
[그림 4-57] 선릉로131길의 업무시설 수직분포 전개도 193
[그림 4-58] 업무시설의 층별 분포 경향 195
[그림 4-59] 주거시설 분포도 197
[그림 4-60] 주거시설과 버스노선 수의 관계도 202
본 연구는 용도지역제를 기반으로 토지이용 계획을 한 도시주거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 용도의 시설로 혼합되면서 계획 목적과 다르게 주거지와 상업지의 환경이 변화된 것에 의문점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토지'의 이용에 대한 '계획'과 실제 건립되어 사용되고 있는 '시설'의 '용도'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변화의 이유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분석은 첫 번째로 대가구의 토지이용의 계획과 현재의 시설 용도를 비교·파악한다. 두 번째로 이 내용을 기초로 토지이용의 계획과 다르게 사용되는 시설의 분포와 특성을 조사한다. 세 번째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물리적 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도시 기능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의 선정은 개발 목적과 계획 의도가 명확한 도시주거지인 강남의 '논현동'과 '청담동'일부, '삼성동'일부로 선정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주거지의 기능변화에 대한 특성은 크게 주거지의 상업화, 주거지의 업무화, 상업지의 주거화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의 상업화는 도로의 폭이 넓고 단위 길이 당 연결도로의 수가 적으며 블록의 열이 높고 세장비가 작을수록 상업화가 진행되었다. 또한 필지의 크기가 크고 코너필지의 경우에서 상업화지수가 높았으며 근린상업시설과 전문상업시설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주거지의 업무시설은 규모에 따라 다른 분포경향을 나타냈으며 주로 상업시설과 복합되어 중저층에 분포해 있었다. 상업지에 나타나는 주거시설은 주거시설의 종류에 따라 입지여건과 도시교통시설, 필지의 위치와 세장비가 달리 나타났다.
용도지역제는 도입 이후 다수의 개정을 거쳐 현재는 토지의 기능을 지정하는 용도에 대한 규제가 아니라 건폐율이나 용적률을 제한하는 규모에 대한 규제수단으로 변화하였고, 결국 용도지역제의 이러한 변화는 주거지의 상업화, 주거지의 업무화, 상업지의 주거화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경향은 용도순화를 목적으로 한 초기의 토지이용계획이 의도한 것과는 다른 것이며, 모든 지역에서 용도가 혼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주거지역에 상업화·업무화가 일어난 이유는 주거지역이 종세분화가 되었으나 건폐율과 용적률의 규제만 다르게 적용했을 뿐 허용가능한 시설의 차이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업지역에 일어나는 주거화는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고시원과 같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다양한 주거시설이 등장하면서 주거시설의 형태와 요구에 따라 상업지역에 입지하게 되었다.
이를 요약해보면 서울의 도시주거지에 용도순화를 목적으로 토지이용계획과 용도지역제를 이용하여 도시계획을 진행해왔으나 더 이상 계획된 용도에 맞는 시설이 입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주거지에 필요한 상업시설이, 또는 상업지에 필요한 주거시설이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었다. 결과적으로 용도지역제의 역할은 용도지역에 따라 맞는 건축물의 크기와 높이 등 규모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용도분리로 인한 용도순화보다는 용도의 혼합이 현대도시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시설용도는 건축물의 규모와 물리적인 요소가 적합한 곳을 찾아 입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목적이 현실에서 어떻게 왜곡되고 변형되는지를 파악하여 보다 정교한 계획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며, 도시계획 시 시설용도의 위치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계획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