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4
II. 이론적 배경 16
1. 명예퇴직 제도 및 명예퇴직 현황 16
1) 명예퇴직의 의미와 정책 16
2) 명예퇴직 현황 17
2. 명예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1) 개인적 요인 24
2) 학교 요인 26
3) 사회적 요인 27
3. 명예퇴직으로 귀결되는 과정과 관련된 이론 30
1) 기대불일치 이론 30
2) 장이론 33
4. 선행 연구 검토 37
1) 명예퇴직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 37
2) 명예퇴직과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연구 40
3) 명예퇴직 의사결정 과정 이론과 관련된 연구 43
III. 연구방법 48
1. 연구 설계 48
2. 면담 대상자 48
3. 면담 도구 50
4. 면담방법 52
5. 연구 절차 54
6. 자료 분석 54
IV. 연구 결과 57
1. 명예퇴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7
1) 개인적 요인 58
2) 학교 요인 62
3) 사회적 요인 75
2. 명예퇴직에 따른 이익과 손실의 고려 79
1) 명예퇴직을 함으로써의 기대하는 이익과 손실 79
2) 개인별 고려 양상 80
3. 명예퇴직 유도 힘의 증폭과 억제 84
1) 명예퇴직을 촉진하는 힘의 작용 84
2) 명예퇴직을 억제하는 힘의 작용 91
4. 명예퇴직 신청 과정에서의 감정 99
1) 명예퇴직 신청과정에서 느끼는 감정 99
2) 개인별 감정 유형 106
3) 감정 유형에 따른 힘의 작용 107
V. 논의 및 결론 111
1. 논의 111
1) 명예퇴직의 요인 관련 112
2) 명예퇴직 의사 결정 과정 115
3) 제한점 119
2. 결론 120
3. 제언 123
참고문헌 128
부록 133
ABSTRACT 135
〈표 II-1〉 연도별 학교 급별 퇴직교원 수 현황('99-'13) 18
〈표 II-2〉 서울시 교육청 6년간 명예퇴직 신청자 및 명예퇴직자 변동 현황 20
〈표 II-3〉 2013~2014.8월말 지역별 교원·교육전문 직원 명예퇴직교원 현황 21
〈표 II-4〉 공립/사립 교원 명예퇴직 수용률 현황 22
〈표 II-5〉 명예퇴직의 주요 요인에 관해 직접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 40
〈표 II-6〉 명예퇴직의 간접적 요인: 교직 만족도에 관한 선행 연구 41
〈표 II-7〉 명예퇴직의 간접적 요인: 교사의 스트레스·심리적 소진에 관한 선행 연구 42
〈표 II-8〉 기대불일치 이론과 관련한 선행 연구 45
〈표 II-9〉 장이론과 관련한 선행연구 47
〈표 III-1〉 연구 참여자의 특성 49
〈표 III-2〉 명예퇴직에 관한 질문지의 주요 내용 51
〈표 III-3〉 연구 참여자의 면담 진행표 53
〈표 IV-1〉 명예퇴직을 고려하게 된 계기 57
〈표 IV-2〉 명예퇴직의 개인적 요인 58
〈표 IV-3〉 명예퇴직의 학교 요인 62
〈표 IV-4〉 명예퇴직의 사회적 요인 75
〈표 IV-5〉 명예퇴직 함으로써의 이익과 손실 80
〈표 IV-6〉 명예퇴직을 촉진시킨 사건 85
〈표 IV-7〉 명예퇴직 의사결정을 제약하는 교사 요인 92
〈표 IV-8〉 명예퇴직 신청 과정에서의 감정 100
〈표 IV-9〉 명예퇴직 결심 할 때 감정유형에 따른 힘의 작용 108
[그림 II-1] 명예퇴직 결정 과정 이론 23
[그림 II-2] 기대불일치이론 31
[그림 II-3] 장이론에서 개인의 생활공간 34
[그림 III-1] 자료 분석의 귀납적 방법 55
[그림 III-2] 자료 분석의 연역적 방법 56
[그림 IV-1] 명예퇴직의 이익과 손실에 대한 개인적 고려 양상 81
[그림 IV-2] 명예퇴직을 촉진시키는 힘과 억제시키는 힘의 개인별 양상 98
[그림 IV-3] 명예퇴직 신청 과정에서의 감정유형 107
이 연구는 최근 명예퇴직이 증가하고 있는 교직 상황 속에서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원들의 명예퇴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고, 이러한 요인이 작용하여 명예퇴직의 결정으로 귀결되는 과정은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현직 교사 10명(명예퇴직을 신청)과 이미 명예퇴직을 한 초등학교 교사 6명 등 총 16명을 대상으로 11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녹음된 자료를 전사하여 수집된 16명의 자료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명예퇴직 결정 과정에 관해 면담한 결과를 분석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예퇴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적 요인으로 제2의 인생 준비, 여유로운 생활, 체력 건강문제, 부모님 병간호였다. 학교 요인은 생활지도 문제, 업무 처리의 어려움, 침체되어 있는 분위기였으며 사회적 요인은 연금문제, 교권 추락, 교원평가, 고령 교사 회피 문제이었다. 이 중에서 명예퇴직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학교 요인으로 생활지도 문제였다.
둘째, 명예퇴직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기대불일치 이론을 활용하여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기대불일치 이론은 교직에서 교사가 갖는 기대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상황이 불일치함으로써 명예퇴직을 한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에서는 간접적으로 명예퇴직을 함으로써 기대되는 이익과 손해를 고려하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았다. 명예퇴직 이익과 손해를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봤을 때 제 1유형으로 동전의 양면처럼 같은 요인이 서로 이익이 되는 동시에 손해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고, 제 2유형이나 제 3유형처럼 같은 요인이 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이익이 되는 동시에 손해로 작용하는 가운데 이익이나 손해 요인으로 다른 이질적인 요인이 더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제 4유형으로 서로 다른 이질 요인이 이익과 손해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제 5유형으로 손해 요인은 없고 이익 요인만 작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즉, 교사들이 명예퇴직 함으로써 기대되는 이익과 손실을 비교함으로써 명예 퇴직할 때 기대되는 손실보다 이익이 많을 경우 명예퇴직 의사를 결정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이론을 활용하여 명예퇴직의 결정 과정을 또 다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즉, 명예퇴직을 하려는 교사는 한 가지 이유만이 아닌 교사 개인의 심리적 상태, 현재 상황 등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하는 생활공간에 존재한다. 여기에서 학생이나 학부모 관련 힘으로서 교직으로부터 밀어내는 힘과 교직에 붙잡아놓고자 하는 힘의 길항 작용 속에서 명예퇴직이 귀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예퇴직 의사결정을 제약하는 교사 개인적 요인은 주변 사람들의 만류, 퇴직 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나 교직에의 미련, 반 아이들에 대한 미안감, 경제적 부담감, 승진에 대한 미련, 민원 해결 문제 등으로 이들은 명예퇴직을 망설이게 하는 힘이었다. 명예퇴직을 억제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힘은 주변 사람들의 만류와 퇴직 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었다. 반면에 명예퇴직 의사결정을 촉진 시키는 힘은 개인적 요인으로는 새로운 인생계획 및 부모님의 건강 돌봄이었고 학교 요인으로는 생활지도 관련 문제들과 관리자와의 갈등이었으며 사회 요인으로는 연금 문제였다.
명예퇴직을 촉진시키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힘은 학교 요인으로 생활지도 관련 문제였다. 또한 교사들이 외부의 여러 가지 불안한 환경 및 부정적인 경험에 의해 명예퇴직을 신청할 때 안심, 만족감, 행복, 자유로움, 허전함, 후회, 걱정, 불안, 죄책감, 짜증, 괘씸하고 분한 마음 등의 여러 가지 감정을 느낀다고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감정들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감정 유형의 교사들은 미래에 대한 계획과 희망으로 명예퇴직 의사를 내부적인 힘에 의해 스스로 결정한 교사들이었으며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유형의 교사들은 내부의 힘보다는 외부의 힘, 즉 생활지도 문제, 연금 문제 등으로 밀려 명예퇴직을 결심한 것으로 보이며 긍정적, 부정적 감정을 같이 느끼는 교사들은 내부적인 힘과 외부적인 힘의 갈등상태에서 명예퇴직을 결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교사들은 여러 가지 힘의 작용에 의해 명예퇴직을 결정한다고 본다.
이 연구는 명예퇴직을 한 교사들과 현재 재직하고 있는 명예퇴직을 신청한 교사들이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서울에 근무한, 또는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초·중등 전체 교원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상황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주의를 필요로 한다. 둘째, 이 연구는 이미 명예 퇴직한 수석교사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초등학교 평교사들만을 연구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연구 대상에 있어서 직위별, 연령별, 남녀 비율을 고려한 폭넓은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 연구의 한계로서 질문지의 내용이나 자료의 수집, 절차 방법, 해석 등에서 본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이 연구 결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명예퇴직 의사결정 과정의 이론 틀을 적용함에 있어서 잘 설명되지 못한 부분에서는 더욱 더 적절한 새로운 틀을 적용하여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직무기대-현실간의 불일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중·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소장 |
2 | (2008). 초등학교 교사 소진과 학교 조직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교육논단 7(2), 41∽57. | 미소장 |
3 | 교권(敎權) 보호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 소장 |
4 | 교육부 (2014a). 2013~2014 8월말 지역별 교원 및 교육전문 직원 명예퇴직교원 현황. 2014년 10월 8일 국회의원 윤관석 교육부 국정감사 보도자료. | 미소장 |
5 | 교육부 (2014b). 공립·사립교원 명예퇴직 수용률 현황. 2014년10월 27일 국회의원 강은희 보도자료. | 미소장 |
6 | 교육부 (2014c). 교권침해현황. 2014년10월 8일 국회의원 김학용 교육부 국정감사 보도자료. | 미소장 |
7 | 교육부 (2015a). 연도별 학교급별 퇴직 교원 수 현황('99~'13). 교육부 내부자료. | 미소장 |
8 | 교육부 (2015b).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 2015년 9월 3일 보도자료. | 미소장 |
9 |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4). 2014년도 교육통계연보. | 미소장 |
10 |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Retirement: Focusing on Differences by Gender and Residential District | 소장 |
11 | 영화상품의 기대불일치가 만족도와 구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장 |
12 | Resilience Proc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tudents` Violence: Focused on Case Study | 소장 |
13 | (1998). 명예퇴직제도 관련 조직 공정성에 대한 연구,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2012). 초·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을 통해 본 교단 안정화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5 | (2015). 교원 명퇴 수요 증가에 따른 현안과 대응.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 미소장 |
16 | (2012). 초중등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한국교원교육 연구학술지29(4), 109∽127. | 미소장 |
17 | A Study on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s Roaming Service by Using Expectancy Disconfirmation and Consumer's Group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Related | 소장 |
18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과 사기, 직무 스트레스 및 근무 여건 개선에 관한 연구 | 소장 |
19 | (1998). 초 ․ 중등 교원의 명예퇴직에 관한 분석적 연구.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교사의 학교만족도 관련 요인 | 소장 |
21 | (1985). 소비자 관점에서 본 장이론, 사회과학논총 2, 181∽196. | 미소장 |
22 | (2015). 교육 행정 및 교육 경영.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3 | (1998). 장이론.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4 | Challenging Tasks in the Educational Studies Initiated by the Developmental Processes and the Contents of Field Theory | 소장 |
25 | 場理論과 Kurt Lewin에 對한 小考 | 소장 |
26 | The Strategy for Recovering Str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 소장 |
27 | 명예퇴직제도에 대한 초등교원의 의식에 관한 연구 | 소장 |
28 | (1990). 현대경영대백과 6: 단절의 시대. [Drucker, P.F. (1990). Age of Discontinuity. Transaction Publisher], 서음출판사. | 미소장 |
29 | 서울시교육청 교원 정책과 초등인사팀 (2014a). 최근 서울시교육청 6년간 명예퇴직 신청자 및 명예퇴직자 변동 현황. 2014년 6월28일. | 미소장 |
30 | 서울시교육청 교원정책과 초등인사팀 (2014b). 최근 서울시교육청 6년간 명예퇴직 신청자 및 명예퇴직자 변동 현황. 2014년 8월7일 보도자료. | 미소장 |
31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소장 |
32 | 2014년도 학교진로교육 실태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33 | (1991). 인사관리. 경문사. | 미소장 |
34 | (2000). 자본주의철학자들[Andrea Gabor(2000). The capitalist George. Philosophers Three river], 황금가지출판사. | 미소장 |
35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36 | 명예퇴직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적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37 | The Effect of School Community Cultur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소장 |
38 |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mout in Korea | 소장 |
39 | (1999). 행정학 용어사전. 새 정보미디어. | 미소장 |
40 | 공무원의 명예퇴직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소장 |
41 | 職務期待-經驗間 不一致가 職務滿足·職務成果에 미치는 影響度에 관한 연구 | 소장 |
42 | (2014). 교원 명예퇴직 수용률 하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현안보고서 247, 국회입법조사처. | 미소장 |
43 | (2004).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 방법. 초등체육학회지 10(1), 147∽157. | 미소장 |
44 | (2015).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 미소장 |
45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an-power development of the teacher Teachers' Perceptions and compliance policy ![]() |
미소장 |
46 | An Study on the Trends in the Studies of th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 소장 |
47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 문제 중심적 대처방식, 정서 중심적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 소장 |
48 | (1989).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 결과 및 대처. 성원사. | 미소장 |
49 | (2013).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 미소장 |
50 | Effects of Self Efficacy, Education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 Burnout | 소장 |
51 |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기대불일치가 기업의 평판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기업 3사를 중심으로 | 소장 |
52 | 학부모의 교육지원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소장 |
53 | 교사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 : 변혁적지도성, 협동문화,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 소장 |
54 | (2010).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및 직무 만족도의 관계. 동아대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Relationships Among Expectations, Performance, and Citizen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s in Local Government: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 소장 |
56 | (2013). 질적 연구방법론 [John W. Creswell(2013). Qualitative Inqiry & Reasearch Design(2nd ed.). Sage], 학지사. | 미소장 |
57 | A Meta Analysis on the Variables of Teacher Job Satisfaction | 소장 |
58 | 노년기근로자의 퇴직현상에 관한 심층적 연구 | 소장 |
59 | study on the teacher job stress of the elementary school ![]() |
미소장 |
60 | 교육공무원 명예퇴직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소장 |
61 | Employed Men's Retirement and Reemployment Decision Making | 소장 |
62 |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Depression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 소장 |
63 | Teacher Turnover and Teacher Shortages: An Organizational Analysis ![]() |
미소장 |
64 | Teacher commitment: Exploring associations with relationships and emotions ![]() |
미소장 |
65 | Teachers' exit decisions: An investigation into the reasons why newly qualified teachers fail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or why those who do enter do not continue teaching ![]() |
미소장 |
66 | Burnout among senior teachers: Investigating the role of workloa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