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 목적 12
2. 연구범위 및 한계 21
II. TIE의 이론적 토대: 영국의 경우 27
1. TIE의 기원 28
1) 교육철학의 토대 29
2) 드라마교육의 발달 33
3) 레퍼토리 극장과 새로운 실험 37
4) 어린이 연극 46
2. TIE의 전개 53
1) 1기: TIE의 시작 54
2) TIE 무브먼트 58
3) 3기: 신자유주의와 전환기 59
4) 4기: TIE와 응용연극 61
3. TIE의 활용 분류 65
1) 교육목적에 따른 분류 65
2) 대상에 따른 분류 70
III. 한국 TIE의 전개 상황 77
1. 한국 TIE의 특징 77
1) 용어의 정립 77
2) TIE의 특징 81
2. 한국 TIE의 전개 86
1) 1기: TIE의 시작 87
2) 2기: TIE의 활성화 92
3) 3기: 서울시 교육청의 TIE 사업 100
IV. TIE의 실제 111
1. 시기별 사례 113
1) 서울교육극단: 〈샌위치 변주곡〉(1994) 113
2) 프락시스: 〈푸른 고래의 꿈〉(2005) 117
3) 올리브와 찐콩: 〈버디&키디〉(2010) 122
4) 극단 북새통: 〈코리아 쉐이크〉(2010) 127
5) 극단 마실: 〈사달수드〉(2011) 131
6) 극단 해: 〈양들의 침묵〉(2012) 134
2. 주제별 사례 140
1) 이슈 중심 프로그램 〈Be Smart?!〉 (2011) 146
2) 학습 체화 프로그램 〈구텐 탁 도이칠란트〉 (2013) 155
3) 치유 프로그램 〈내 마음의 무지개〉 (2013) 158
V. TIE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165
1. TIE 발전의 기회와 위협요소들 165
2. TIE 발전을 위한 제언 178
VI. 결론 188
참고문헌 194
Abstract 20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의 수용 및 전개양상과 그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례를 정리함으로써 TIE의 발전방안 및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TIE가 시작된 지 20여년이 지난 2015년 현재, 교육연극의 한 방법론인 TIE 프로그램은 다른 방법론에 비해 그 개념이나 실제가 널리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교육연극'이라는 외국의 학문체계가 들어오면서 그 용어와 실제를 받아들이는데 있어 번역상의 문제 및 관점의 차이가 존재했는데 이런 과정에서 TIE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현상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2년 서울시 교육청이 학교폭력 해결을 위해 교육연극단체에 문호를 개방하면서, TIE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여전히 궁금증으로 남아있으나 자료는 부족한 한국의 TIE에 대해, TIE가 실행 가능한 단체들의 자료들을 아우르고 그 현장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국 TIE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TIE는 1965년 영국 코벤트리에 있는 벨그레이드 극장에서 시작되었고 어린이중심 교육, 드라마교육, 어린이 연극 및 영국 정치극과 레퍼토리 연극의 영향을 받았다. 영국 TIE의 50년(1965년∼2015년) 역사는 네 시기로 구분되는데 한국의 경우 20년(1994년∼2014년) 역사를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 환경, TIE 프로그램의 구조와 참여대상 규모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자의 분류이다.
첫째, 한국 TIE의 1기는 1994년 한국 최초의 TIE 프로그램 〈샌위치 변주곡〉(서울교육극단)이 시작된 후 2004년까지 10년간이다. 이 시기에는 TIE라는 용어와 장르 자체가 생소했고 프로그램 또한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어린이 청소년극에 대한 관심도 높지 않았던 시기였으므로 각 학교에 방문공연을 한다는 생각은 할 수 없었고, TIE 프로그램은 일반 공연장에서 대다수 관객을 위해 제작되었다. 또한 정부지원금이 없었으므로 작품에 대해 연출자 및 액터-티처(actor-teacher)가 갖는 권한이 절대적이었다.
둘째, 2기는 2005년 고양문화재단이 후원한 '교육연극연구소 프락시스'의 〈푸른 고래의 꿈〉을 시발점으로 하여 2011년까지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소규모 대상의 프로그램의 등장과 TIE 전문단체의 확산 및 작업양식의 다양화이다.
셋째, 3기는 서울시 교육청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연극을 활용하고자 연극단체에 문호를 개방한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이며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 서울시 교육청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TIE 프로그램의 본격적인 학교 방문공연이 시작되었고, 대규모 관객을 참여대상으로 하였다. 대규모 관객이라는 점에서는 극장을 주 공연지로 한 1기와 차이가 없으나 기금을 지원한 교육청에서 학교방문공연을 그 기본조건으로 했고 주로 학교강당이 공연장이었다는 것이 차별점이다.
각 시기와 주제, 대상이 다른 TIE 프로그램을 상세히 살펴본 결과 한국의 TIE는 각 시기에 따라 기금 및 수용경로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기는 하나 점차로 다양한 대상과 주제,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또한 토론연극 기법을 활용한다면 학생들 뿐 아니라 일반 성인을 위한 사회 재교육의 매체로서 충실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서울시 교육청이나 서울시에서는 TIE를 활용한 프로젝트에 기금을 지원한 바 있지만, TIE를 좀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섯 가지가 필요하다고 본 연구자는 보고 있다. 전문적인 인력양성은 물론이고, 여러 정부부처와 기관들에의 홍보작업도 꼭 필요한 상황이다. 'TIE 협의체'의 결성이 TIE의 교육적 가치와 미학적 체험을 더욱 공고히 하고 TIE 팀의 유지, 발전을 위해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팀의 운영방식이나 제작방식도 고려되어야 하는데 무엇보다 정부 및 지역교육청 차원의 공간제공이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치유를 위한 TIE 작업도 미래의 전망을 밝게 해 줄 것으로 본다. 앞으로 사회 각계에서 TIE를 활용한 다양한 인식변화 및 힐링 작업이 지속, 발전되기를 바라며 이에 본 연구와 향후 발간예정인 TIE 대본집, 연구서적 등이 그 주춧돌이 되기를 바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rguments for a Theatre』, 3rd ed.,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2 | 『Theatre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50 Years of Professional Theatre in the UK』, London: Aurora Metro Press, 2005. | 미소장 |
3 | 『Interactive and Improvisational Drama』, New York, Lincoln, Shanghai: iUniverse Inc., 2007. | 미소장 |
4 | 『Development through Drama』, Humanity Books, 1998 . | 미소장 |
5 | 『Teachers Act Up!: Creating Multi-Cultural Learning Communities through Theatr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10. | 미소장 |
6 | 『Theatre Education: Mandate for Tomorrow: a Monograph』, New Orleans, LA: Anchorage Press, 1985. | 미소장 |
7 | ed., 『David Davis, Six Plays for Theatre in Education and Youth Theatre』, Stoke on Trent, UK; Trentham Books, 2011. | 미소장 |
8 | 『Edward Bond and the Dramatic Child』, Stoke on Trent, UK; Trentham Books, 2005. | 미소장 |
9 | 『Drama and Theatre in Education』,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1971. | 미소장 |
10 | 『Learning through Theatre』, 1st ed.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UK, 1980. | 미소장 |
11 | 『Learning through Theatre: New Perspectives on Theatre in Education』, 2nd ed., London, New York: Routledge, 1993. | 미소장 |
12 | 『Learning through Theatre』, 3rd ed., London, New York: Routledge, 2013. | 미소장 |
13 | 『Theatre, Education and the Making of Meanings』,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14 |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imillan, New York, 1963. | 미소장 |
15 | 『Theatres of the Troubles : Theatre, Resistance and Liberation in Ireland』, Exeter, UK: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08. | 미소장 |
16 | 『Applied drama: the gift of theatre』, Basingstoke, Hampshir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5. | 미소장 |
17 | 『Theatre and Education』, Basingstoke, Hampshir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9. | 미소장 |
18 | 『Theatre, Education, and Performance』, Basingstoke, Hampshir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1. | 미소장 |
19 | 『Theatre in Education: New Objectives for Theatre-New Techniques in Education』, London, Sydney, Auckland, Toronto: Hodder and Stoughton,1976. | 미소장 |
20 | 『Child Drama』,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954. | 미소장 |
21 | 『The Applied Theatre Reader』,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9. | 미소장 |
22 | 『Applied Theatre: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Challenges for Practice』, Bristol, UK: Intellect, 2009. | 미소장 |
23 | 『Six T.I.E. Programmes』, London: Methuen, 1987. | 미소장 |
24 | 『Can Theatre Teach?』, Oxford: Pergamon, 1983. | 미소장 |
25 | 『Key concepts in theatre/drama education』, Rotterdam, Boston: Sense Publishers, 2011. | 미소장 |
26 | 『Performance Studies』, 2nd ed., London, New York: Routledge, 2007. | 미소장 |
27 | 『Theatre in Education: Five Infant Programmes』, London: Methuen Young Drama, 1980. | 미소장 |
28 | 『Theatre in Education: Four Junior Programmes』, London: Methuen Young Drama, 1980. | 미소장 |
29 | 『Theatre in Education: Four Secondary Programmes』, London: Methuen Young Drama, 1980. | 미소장 |
30 | International guide to children's theatre and educational theatre: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source book ![]() |
미소장 |
31 | 『Applied Theatre: Bewilderment and Beyond』,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2008. | 미소장 |
32 | 『Contemporary Theatre in Education』, Bristol, Chicago: Intellect, 2007. | 미소장 |
33 | Conversations with status and power: how Everyday Theatre offers ‘spaces of agency’ to participants ![]() |
미소장 |
34 | Drama for Schools: teacher change in an applied theatre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 |
미소장 |
35 | Applied theatre at the heart of educational reform: an impact and sustainability analysis ![]() |
미소장 |
36 | 「Applied Theatre in Corrections: Community, Identity, Learning and Transformation in the Facilitated, Collaborative Processes of Performative, Artistic Praxi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05. | 미소장 |
37 | Staging legitimacy: theorising identity claims in anti-homophobia Theatre-in-Education ![]() |
미소장 |
38 | ‘Why be interested?’ Aesthetics, applied theatre and drama education ![]() |
미소장 |
39 | 「Positioning the Audience: Inter-Active Strategies and the Aesthetic in Educational Theatre」, 『Theatre Research International』, 22, 48-60쪽. | 미소장 |
40 | Setting the Stage for a Dialogue: Aesthetics in Drama and Theatre Education ![]() |
미소장 |
41 | Research in Drama Education ![]() |
미소장 |
42 | 「Applied Theatre in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Triangulation of Education, Art, and Community Practice in Theatre in Education(TIE)」,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 Madison, 2008. | 미소장 |
43 | 「Critical Performative Pedagogy: Augusto Boal's Theatre of the Oppressed in the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lassroom」, Ph. Dissertation, Louisiana State University, 2002. | 미소장 |
44 | The promises of history: pedagogic principles and processes of change ![]() |
미소장 |
45 | 「TIE/DIE: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Audience」, Australia: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Drama in Education Journal』, 22, 1, 1998, 61-67쪽. | 미소장 |
46 | Writing Everyday Theatre: applied theatre, or just TIE rides again? ![]() |
미소장 |
47 | Making the everyday extraordinary: a theatre in education project to prevent child abuse, neglect and family violence ![]() |
미소장 |
48 | Art as Part of Everyday Life: Understanding Applied Theatre Practices through the Aesthetics of John Dewey and Hans Georg Gadamer ![]() |
미소장 |
49 | 「Theatre in Education : An Historical and Analytical stud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lasgow, 1979. | 미소장 |
50 | Theatre in Education in Britain: Current Practice and Future Potential ![]() |
미소장 |
51 | Between the aesthetic and the ethical: analysing the tension at the heart of Theatre in Education ![]() |
미소장 |
52 | Drug Education through Creating Theatre in Education ![]() |
미소장 |
53 | 『합리주의, 경험주의, 실용주의』, 서울: 서광사, 1997. | 미소장 |
54 | 『아우구스또 보알의 연극 메소드 : 욕망의 무지개』, 서울: 현대미학사, 1998. | 미소장 |
55 | 『배우와 일반인을 위한 연기훈련』, 서울: 울력, 2003. | 미소장 |
56 | 『교실 연기란 무엇인가?』, 서울: 연극과인간, 2012. | 미소장 |
57 | 『교육연극 입문』, 서울: 연극과인간, 2014. | 미소장 |
58 | 『교육연극 교육과정론』, 서울: 도서출판박이정, 2010. | 미소장 |
59 | 『연극은 지적 행위인가』, 서울: 평민사, 2007. | 미소장 |
60 | Freire, Paulo, 교육문화연구원 역, 『희망의 교육학 : 프레이리의 삶과 페다고지』, 서울: 아침이슬, 2002. | 미소장 |
61 | 『페다고지』, 서울: 그린비, 2002. | 미소장 |
62 | 『인간교육』, 서울: 이서원, 1995. | 미소장 |
63 | 『인간의 교육』, 서울: 지만지, 2015. | 미소장 |
64 |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서울: 울력, 2007. | 미소장 |
65 | 『수 제닝스의 연극치료 이야기』, 서울: 울력, 2003. | 미소장 |
66 | 놀이, 유년기의 예술 | 소장 |
67 |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연극치료』, 서울: 울력, 2002. | 미소장 |
68 | 『연극치료 접근법의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미소장 |
69 | 『발달심리학』, 서울: 박영story, 2014. | 미소장 |
70 | 『시민연극』, 서울: 청동거울, 2009. | 미소장 |
71 | 『문화예술교육의 도약을 위한 평가-쟁점과 원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미소장 |
72 | Taylor, Philip, Warner, Christine D., 한국교육연극학회 역, 『시실리 오닐의 교육연극: 구조와 즉흥』, 서울: 연극과인간, 2013. | 미소장 |
73 | 『억압받는 자들의 연극』, 파주: 열화당, 1989. | 미소장 |
74 | 『학교에서 연극하자』, 서울: 다른, 2012. | 미소장 |
75 | 『한국교실에 적합한 교육연극 모형의 개발과 적용』,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 미소장 |
76 | 『어떻게 연극은 학습인가?』, 서울: 학이시습, 2013. | 미소장 |
77 | 『연극연구: 드라마속의 삶, 삶속의 드라마』, 서울: 연극과인간, 2008, 243-259쪽. | 미소장 |
78 | 「3. 조앤 리틀우드와의 대담(1969)」, 『서구 현대극의 미학과 실천』, 서울: 현대미학사, 2003, 317-334쪽. | 미소장 |
79 | 『축제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미소장 |
80 | 「교육연극의 기본원리」, 민병욱·심상교,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연극과인간, 2000, 49-76쪽. | 미소장 |
81 | 『교육연극 연극교육』, 서울: 연극과인간, 2004. | 미소장 |
82 | 「3. 영국편-영국의 어린이 청소년연극, 다시 예술로, 그리고 세계로!」,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해외사례연구1』, (재)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 2011, 227-255쪽. | 미소장 |
83 | 『어린이 및 영유아의 웰빙 발달 심리학』, 서울 : 대왕사, 2011. | 미소장 |
84 | 『교육연극의 이해』, 서울: 연극과인간, 2006. | 미소장 |
85 | 『아동연극개론』, 서울: 범우사, 1987. | 미소장 |
86 | 『드라마스페셜리스트가 되자』, 서울: 연극과인간, 2007. | 미소장 |
87 | 한국열린교육연구회, 『열린교육의 이해』, 파주: 양서원, 1996. | 미소장 |
88 |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을 중심으로 | 소장 |
89 | TIE(Theatre in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ts Implications on Elementary Education | 소장 |
90 | 한국 교육극의 교육과정론적 고찰 : 국어과 교육을 중심으로 | 소장 |
91 | Literturkritik B. Brechts | 소장 |
92 | '억압받는 사람들의 연극공간-해'의 작업에 활용된 A. 보알(Augusto Boal) 연극 메소드 | 소장 |
93 | 「교육연극(Theatre in Education)」의 실제」, 『연극연구』, 10권 1호,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1996, 391-414쪽. | 미소장 |
94 | 교육연극과 서사극 이론의 관련 양상 연구 : 브레히트의 서사극을 중심으로 | 소장 |
95 | 「한국 고등학교 교육과 연극; 한국 연극, 연극 교육에 관한 물음」, 『연극교육연구』, 4집, 한국연극교육학회, 1999, 249-257쪽. | 미소장 |
96 | 교육연극의 제도화를 위한 연구 : 허구와 재현 그리고 은유를 중심으로 | 소장 |
97 | Education and Theatre : Between the Onymous and the Anonymous ![]() |
미소장 |
98 | Stage, Reflection and Therapy : <<오리와 공주>> | 소장 |
99 | 「교육연극(TIE): 안내 혹은 ‘조종’? - |
미소장 |
100 | Theatre/Drama as a Teaching Medium in School Education : lts Propriety and Fundamentals | 소장 |
101 |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연극 : 그 위치와 교육과정 계획 | 소장 |
102 | 초·중등학교에서의 연극지도 : 정규 교과과목으로서의 연극, 그 교과 운영을 위한 기본 전략,Ⅰ | 소장 |
103 | 초·중등학교에서의 연극지도 : 정규 교과목으로서의 연극, 그 교과 운영을 위한 기본 전략,2 | 소장 |
104 | 교육연극(theatre-in-education: TIE) 연구 :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소장 |
105 | 「버지니아 코스티의 작품에 나타난 놀이성과 연극성」, 『연극의 이론과 비평』, 3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2001, 108-121쪽. | 미소장 |
106 | 「연극놀이의 개념과 실제」,『연극의 이론과 비평』, 3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2000, 101-111쪽. | 미소장 |
107 | 「아동청소년 연극 교육의 실제와 전망」,『연극의 이론과 비평』, 2집,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극학과, 1999, 7-25쪽. | 미소장 |
108 | 「한국초등학교 교육과 연극」,『연극교육연구』, 4집, 한국연극교육학회, 1999, 233-240쪽. | 미소장 |
109 | 과정중심연극으로서 교육연극의 특성 연구 : 참여자들의 자발성창출을 위한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 소장 |
110 | Das Lehrstuck von Brecht und Dramapadagogik | 소장 |
111 | 「교육연극을 올바로 이해하자」,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2005, 7월, 96-99쪽. | 미소장 |
112 | 「교육연극과 TIE를 통해 본 지역기반의 사회/예술교육」, 『기전문화예술』, 41집,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2006, 19-22쪽. | 미소장 |
113 | 「현대교육연극의 발전과 변화를 주도한 3인의 작은 거인들」, 사다리연극놀이연구소,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1집, 서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07, 106-120쪽. | 미소장 |
114 | 「연극과목의 교과과정 반영을 위한 노력」,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1, 5월, 10-11쪽. | 미소장 |
115 | 「10년 후, 30년 후에는 어떻게 변할까?」,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2012, 7월, 70-71쪽. | 미소장 |
116 | 「한국아시테지의 창설-1982년 6월 12일, 그로부터 30년」,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2012, 7월, 68-69쪽. | 미소장 |
117 | 「청소년 교육과 연극」,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82, 7월, 8쪽. | 미소장 |
118 | 「서울교육극단 ‘쌘위치 변주곡’ -교육연극, 국내 첫 공연」,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4, 4월, 36-38쪽. | 미소장 |
119 | 「교육연극의 이론과 응용」,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3, 3월, 74-81쪽. | 미소장 |
120 | 윤광진 사회, 「연극교육의 과제, 어떻게 풀 것인가」,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1, 5월, 58-65쪽. | 미소장 |
121 | 「한국 아시테지 30년, 너를 보니 나를 보니?」,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2012, 7월, 70-71쪽. | 미소장 |
122 | 「특대위 1년을 돌아보며-이 땅에 연극교육의 씨앗이」,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2002, 12월, 51쪽. | 미소장 |
123 | 「사회교육연극의 활용 범위와 그 실제」,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 『연극과 교육』, 11집, 서울: 연극과인간, 2004, 30-36쪽. | 미소장 |
124 | 「<코리아 쉐이크>를 돌아보며: 다문화, TIE와 만나다」, 사다리 연극놀이 연구소,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5집, 서울: 도서출판 연극, 놀이 그리고 교육, 2012, 27-46쪽. | 미소장 |
125 | 「어린이극을 어떻게 만드는가?」,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1, 5월, 66-82쪽. | 미소장 |
126 | 「연극의 교육적 기능」,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82, 12월, 13-16쪽. | 미소장 |
127 | 「초중고 교과과정에 연극교육반영을 위한 연구」,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93, 2․3월, 44-45쪽. | 미소장 |
128 | 크리스천 아카데미 ‘대화의 모임’, 「초중고 연극교육의 필요와 방법」, 『한국연극』, 서울: 한국연극협회, 1983, 4월, 104-105쪽. | 미소장 |
129 | 교육극단달팽이, <아나콘다의 정글여행>, 인켈아트홀, 2003, 북크릿. | 미소장 |
130 | 극단 마실, <사달수드>, 성북예술창작센터, 2011, 북크릿. | 미소장 |
131 | 극단 북새통, <코리아 쉐이크>, 경안고등학교 외, 2011, 스터디가이드북. | 미소장 |
132 | 극단 풍년상회, <시비노자>, 2013, 동영상자료. | 미소장 |
133 | 어린이문화예술학교, <안내견 봄이>, 서울여성프라자 외 2008, 리플렛. | 미소장 |
134 | 어린이문화예술학교, <수호천사 미미>, 서울여성프라자 외, 2010, 북크릿. | 미소장 |
135 | 연극놀이연구소 놀자, <아버지의 친척>, 2008, 동영상자료. | 미소장 |
136 | 이소희, |
미소장 |
137 | <푸른 고래의 꿈>, 고양어울림극장, 2006, 북크릿 및 사진자료. | 미소장 |
138 | 억압받는 자들의 공간 해(解), <양들의 침묵>, 서울시 순회공연, 2012, 리플렛. | 미소장 |
139 | 극단 북새통, 『지역다문화프로그램 지원사업-코리아쉐이크 사후자료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 미소장 |
140 | 『장애비장애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연극프로그램 지역운영모델 개발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 미소장 |
141 | 어린이문화예술학교, 『어린이문화예술학교 2010년 연차보고서』, 2010. | 미소장 |
142 | 올리브와 찐콩,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 -버디키디 연수자료집』, 파라다이스 복지재단, 2012. | 미소장 |
143 | 초등교사 TIE 연구회 에듀라마, 『교사 자율연구모임 지원사업 –토요휴업일을 활용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 미소장 |
144 | 학교폭력 TIE 협력단, 『인권을 존중하고 평화롭고 풍요로운 학교만들기 – T.I.E 결과자료집』, 서울시 교육청, 2002. | 미소장 |
145 | 김병주, 2012년 3월 2일, 서울교대. | 미소장 |
146 | 김숙희, 2015년 11월 12일, 대학로 카페. | 미소장 |
147 | 김소리, 2012년 2월 14일, 안산예술의 전당. | 미소장 |
148 | 김정만, 2014년 10월 18일, 서울역 인근 카페. | 미소장 |
149 | 김현정, 2014년 2월, 한양대학교. | 미소장 |
150 | 박병현, 2012년 2월 20일, 강남역. | 미소장 |
151 | 손혜정, 2012년 7월 11일, 대학로 카페. | 미소장 |
152 | 이미희, 2012년 2월 24일, 충무아트홀. | 미소장 |
153 | 이영숙, 2012년 2월 24일, 사당동 카페. | 미소장 |
154 | 임오선, 2012년 3월 30일, 석계초등학교. | 미소장 |
155 | 최지영, 2012년 2월 27일, 상도동 카페. | 미소장 |
156 | 이영숙, 전화인터뷰, 2015년 10월 27일 | 미소장 |
157 | 강봉훈, 전화인터뷰, 2015년 12월 8일. | 미소장 |
158 | 김동하, 전화인터뷰, 2015년 12월 7일. | 미소장 |
159 | 박은희, 전화인터뷰, 2014년 11월 28일. | 미소장 |
160 | 박향숙, 전화인터뷰, 2015년 12월 7일. | 미소장 |
161 | 교육극단 달팽이(달라) www.dala.co.kr | 미소장 |
162 | 극단 마실 www.masil.biz | 미소장 |
163 | 극단 북새통 www.playbst.org | 미소장 |
164 | 극단 원향 www.wonhayng.com | 미소장 |
165 | 더플레이하우스 www.theplayhouse.org.uk | 미소장 |
166 | 빅 브럼 시어터 www.bigbrum.org.uk | 미소장 |
167 | 사다리 연극놀이 연구소 www.playsadari.com | 미소장 |
168 | 시어터센터 www.theatre-centre.co.uk | 미소장 |
169 | 어린이문화예술학교(더 베프) www.kccac.org | 미소장 |
170 | 토크앤플레이 www.talknplay.co.kr | 미소장 |
171 |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http://sedu.konkuk.ac.kr/ | 미소장 |
172 |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퍼포밍아트학과 연극영화전공 http://afd.khu.ac.kr/html/02/06.php | 미소장 |
173 |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http://wiz.sungkyul.ac.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405&siteId=graduate | 미소장 |
174 |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http://edu.sejong.ac.kr/contents/edu/cor/majorinfoprof_10.html | 미소장 |
175 |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아동청소년극전공 http://www.karts.ac.kr/main/index.do?menuId=030100000000 | 미소장 |
176 | Educational Theatre, School of Culture,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New York University. http://steinhardt.nyu.edu/programs/#search:masters | 미소장 |
177 | Applied Theatre: Drama in Educational, Community & Social Contexts, Goldsmiths, London University. http://www.gold.ac.uk/pg/ma-applied-theatre/ | 미소장 |
178 | Applied Theatre,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www.arts.manchester.ac.uk/catr/ma | 미소장 |
179 | Theatre for Youth, Herberger Institute for Design and the Arts, The Arizona State University. www.asu.edu/ | 미소장 |
180 | Drama and Theatre Education, The University of Warwick. http://www2.warwick.ac.uk/fac/soc/ces/prospective/postgraduate/taught/drama/ | 미소장 |
181 | Applied Drama & Theatre for the Young(ADTY), Eastern Michigan University. | 미소장 |
182 | Drama and Theatre for Youth and Communities, University of Texas, Austin. http://www.utexas.edu/finearts/tad/graduate/mfa-drama-theatre-youth-communities | 미소장 |
183 | Theatre Practice: Applied, Community and Socially-Engaged Performance pathway, University of Exeter. http://www.exeter.ac.uk/postgraduate/taught/drama/theatrema/applie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