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10

국문초록 13

I.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내용 및 방법 18

II. 이론적 배경 21

1. 고려시대의 역사와 문화 21

가. 역사적 배경 21

나. 문화적 특징 24

2. 고려시대 장신구의 종류와 특징 26

3. 고려시대 여인들의 머리모양 29

가. 불화(佛畵) 30

나. 초상화(肖像畵) 39

다. 벽화(壁畵) 40

4. 고려시대 여인들의 머리모양 대상 선정 42

가. 왕비머리 42

나. 거두미형 43

다. 조천계 43

라. 얹은머리 44

마. 아환계 45

바. 쌍수계 46

III. 작품 제작 47

1. 연구대상 47

2. 연구의 재료 및 도구 47

3. 고려시대 여인들의 머리모양 재현 50

가. 왕비머리 50

나. 거두미형 51

다. 조천계 52

라. 얹은머리 53

마. 아환계 54

바. 쌍수계 55

4. 현대적인 고전머리 디자인 계획 56

5. 현대적인 고전머리 모델 작품제작 57

가. 왕비머리 57

나. 거두미형 61

다. 조천계 65

라. 얹은머리 69

마. 아환계 73

바. 쌍수계 77

6. 소결 81

IV. 결론 83

참고문헌 86

표목차

〈표 1〉 고전머리 재현과 현대적인 고전머리 19

〈표 2〉 연구의 구성도 20

〈표 3〉 연구의 재료 및 도구 48

〈표 4〉 고전머리 재현 장식품 49

〈표 5〉 현대적인 고전머리 장식품 49

〈표 6〉 왕비머리 작품 50

〈표 7〉 거두미형 작품 51

〈표 8〉 조천계 작품 52

〈표 9〉 얹은머리 작품 53

〈표 10〉 아환계 작품 54

〈표 11〉 쌍수계작품 55

〈표 12〉 현대적인 고전머리 디자인 계획 56

〈표 13〉 왕비머리 완성작품 57

〈표 14〉 왕비머리 제작 과정 58

〈표 15〉 거두미형 완성작품 61

〈표 16〉 거두미형 제작 과정 62

〈표 17〉 조천계 완성작품 65

〈표 18〉 조천계 제작 과정 66

〈표 19〉 얹은머리 완성작품 69

〈표 20〉 얹은머리 제작과정 70

〈표 21〉 아환계 완성작품 73

〈표 22〉 아환계 제작과정 74

〈표 23〉 쌍수계 완성작품 77

〈표 24〉 쌍수계 제작 과정 78

〈표 25〉 고전머리재현 및 현대적인고전머리 81

그림목차

〈그림 1〉 무용총의 접개도 26

〈그림 2〉 안악3호분의 주방장면 26

〈그림 3〉 금동제머리꽂이 27

〈그림 4〉 장신구 27

〈그림 5〉 장도 27

〈그림 6〉 칠적관(七적冠) 28

〈그림 7〉 고려시대 수식품 28

〈그림 8〉 고고관 28

〈그림 9〉 돈황45굴 보살상(중국돈황) 31

〈그림 10〉 불교회화 31

〈그림 11〉 관음-중국불교예술 31

〈그림 12〉 고려말 불화. 1 33

〈그림 13〉 고려말 불화. 2 33

〈그림 14〉 고려불화 -조천계 34

〈그림 15〉 고려불화 : 얹은머리 34

〈그림 16〉 관경서분변상도 36

〈그림 17〉 사경변상도 36

〈그림 18〉 관경서분변상도거두미형 36

〈그림 19〉 관음도 38

〈그림 20〉 양류관음 38

〈그림 21〉 쌍죽 38

〈그림 22〉 미륵하생경변상도1 39

〈그림 23〉 미륵하생경변상도.2 39

〈그림 24〉 미륵하생경변상도.3 39

〈그림 25〉 조반부인 40

〈그림 26〉 하연부인상 40

〈그림 27〉 공민왕의 왕비 40

〈그림 28〉 밀양 고법리무덤벽화 41

〈그림 29〉 덕홍리고분벽화 41

〈그림 30〉 둔마리고분벽화 41

〈그림 31〉 왕비머리 42

〈그림 32〉 거두미형 43

〈그림 33〉 조천계 44

〈그림 34〉 얹은머리 45

〈그림 35〉 아환계 46

〈그림 36〉 쌍수계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