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4

제1장 서론 16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 방법 및 범위 20

제2장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

2.1. 중국 시대극 영화의 변천 22

2.2.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기능과 미적 특징 27

2.2.1. 영화의상의 개념 및 특징 27

2.2.2.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기능 28

2.2.3.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 34

제3장 중국 한족 전통복식에 관한 이론적 고찰 54

3.1. 한푸(漢服)의 정의 및 발전 54

3.2. 한푸(漢服)의 구성 요소 57

3.2.1. 한푸의 구성 57

3.2.2. 한푸의 색채 60

3.2.3. 한푸의 소재 61

3.3. 한푸(漢服)의 종류 63

3.4. 한푸(漢服)의 특징 69

제4장 한푸 스타일의 패션디자인 작품 제작 70

4.1. 작품 1 71

4.2. 작품 2 78

4.3. 작품 3 85

4.4. 작품 4 91

4.5. 작품 5 97

4.6. 작품 6 104

제5장 요약 및 결론 110

참고 문헌 114

부록 119

ABSTRACT 125

〈표 1〉 중국 영화의 발전 단계 25

〈표 2〉 중국 시대극 영화의 전성기 26

〈표 3〉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국제적인 영화제와 시상식에서 수상한 중국 시대극 영화 35

〈표 4〉 작품 1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75

〈표 5〉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1의 특징 77

〈표 6〉 작품 2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83

〈표 7〉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2의 특징 84

〈표 8〉 작품 3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89

〈표 9〉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3의 특징 90

〈표 10〉 작품 4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95

〈표 11〉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4의 특징 96

〈표 12〉 작품 5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101

〈표 13〉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5의 특징 103

〈표 14〉 작품 6의 디자인 요소 구성표 108

〈표 15〉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이 반영된 작품 6의 특징 109

〈그림 2-1〉 영화 〈무극〉 장백지의 복식 31

〈그림 2-2〉 영화 〈적인걸: 신도해왕의 비밀〉 유가령의 복식 31

〈그림 2-3〉 영화 〈황후화〉 황제가 착용한 황금색의 복식 31

〈그림 2-4〉 영화 〈황후화〉 황제가 착용한 용 문양의 복식 31

〈그림 2-5〉 영화 〈용문비갑〉 이연걸이 착용한 복식 31

〈그림 2-6〉 영화 〈용문비갑〉 장신위가 착용한 복식 31

〈그림 2-7〉 당나라 자색의 권복 32

〈그림 2-8〉 당나라 주색의 권복 32

〈그림 2-9〉 당나라 녹색의 권복 32

〈그림 2-10〉 영화 〈색, 계〉 탕웨이가 착용한 파란색 치파오 33

〈그림 2-11〉 영화 〈색, 계〉 탕웨이가 착용한 녹색의 치파오 33

〈그림 2-12〉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리빙빙이 착용한 호복 34

〈그림 2-13〉 당나라 호복 34

〈그림 2-14〉 영화 〈와호장룡〉 장쯔이가 착용한 청나라의 복식 34

〈그림 2-15〉 청나라 자희태후의 분장 34

〈그림 2-16〉 청나라의 화분혜 34

〈그림 2-17〉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에 나타난 중국 전통문양 39

〈그림 2-18〉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중 당나라 복식에 나타난 화초 문양 39

〈그림 2-19〉 영화 〈연인〉 영화의상에 활용된 당나라 시대 화초 문양의 유형과 특징 40

〈그림 2-20〉 영화 〈연인〉 모란 도안이 그려져 있는 복식 39

〈그림 2-21〉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백화가 그려져 있는 예복 40

〈그림 2-22〉 영화 〈야연〉 저우쉰이 착용한 잔꽃무늬가 그려져 있는 복식 40

〈그림 2-23〉 영화 〈야연〉 장쯔이가 착용한 봉황의 문양이 그려져 있는 황후의 복식 41

〈그림 2-24〉 영화 〈야연〉 갈우가 착용한 용 문양이 그려져 있는 황제의 복식 41

〈그림 2-25〉 영화 〈야연〉 황효명이 착용한 학이 그려져 있는 흉배 41

〈그림 2-26〉 영화 〈적벽대전〉 기하학 문양을 활용한 복식1 41

〈그림 2-27〉 영화 〈적벽대전〉 기하학 문양을 활용한 복식2 41

〈그림 2-28〉 중국의 사대자수 43

〈그림 2-29〉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유가령이 착용한 자수를 사용한 복식 44

〈그림 2-30〉 영화 〈연인〉 유덕화가 착용한 복식에서의 자수 44

〈그림 2-31〉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유강령이 착용한 복식 46

〈그림 2-32〉 영화 〈연인〉 장쯔이가 무용을 연출할 때 착용한 복식 46

〈그림 2-33〉 영화 〈영웅〉 장만옥이 작용한 빨간색의 복식 46

〈그림 2-34〉 영화 〈영웅〉 양조위와 장만옥이 작용한 같은 색조의 복식 46

〈그림 2-35〉 영화 〈야연〉 속 장쯔이가 착용한 흰색의 복식 47

〈그림 2-36〉 영화 〈야연〉 속 장쯔이가 착용한 적색의 복식 47

〈그림 2-37〉 영화 〈야연〉 속 장쯔이가 착용한 흑색의 복식 47

〈그림 2-38〉 당나라의 벽화에서 여자들이 착용한 복식 49

〈그림 2-39〉 영화 〈연인〉 장쯔이가 착용한 당나라의 복장 49

〈그림 2-40〉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유가령이 착용한 현대적 감각의 이너웨어(inner wear) 50

〈그림 2-41〉 영화 〈야연〉 속 장쯔이가 착용한 망토 50

〈그림 2-42〉 영화 〈야연〉 장쯔이가 착용한 밝은 조각의 금속 장식이 있는 복식 50

〈그림 2-43〉 영화 〈영웅〉 장만옥이 착용한 넓은 소매의 복식 51

〈그림 2-44〉 영화 〈연인〉 장쯔이가 착용한 넓은 소매의 복식 51

〈그림 2-45〉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유가령이 착용한 긴 복식 51

〈그림 2-46〉 영화 〈야연〉 장쯔이가 착용한 긴 예복 51

〈그림 2-47〉 영화 〈적인걸: 측천무후의 비밀〉 리빙빙이 착용한 이질적인 소재 매칭의 복식 53

〈그림 2-48〉 영화 〈야연〉 저우쉰이 착용한 이질적인 소재 매칭의 복식 53

〈그림 2-49〉 영화 〈연인〉 장쯔이가 착용한 이질적인 소재 매칭의 복식 53

〈그림 3-1〉 한푸의 의복 구성도 58

〈그림 3-2〉 한푸의 실루엣 59

〈그림 3-3〉 한푸의 옷깃 양식 59

〈그림 3-4〉 한푸의 소매 양식 59

〈그림 3-5〉 한푸의 장식적인 디테일 60

〈그림 3-6〉 한푸의 문양 63

〈그림 3-7〉 한푸의 종류 65

〈그림 3-8〉 면복 66

〈그림 3-9〉 포 66

〈그림 3-10〉 상의의 종류 66

〈그림 3-11〉 하상의 종류 67

〈그림 3-12〉 장의의 종류 68

〈그림 4-1〉 울실크 리본자카드 74

〈그림 4-2〉 평직 노일실크 74

〈그림 4-3〉 백색의 평직 노일실크 74

〈그림 4-4〉 화조 문양의 실크 74

〈그림 4-5〉 유군과 반비를 착용한 여성의 조각상 74

〈그림 4-6〉 원형 네크라인이 있는 한푸 74

〈그림 4-7〉 반비를 착용한 여성의 조각상 75

〈그림 4-8〉 한푸의 상의인 오 75

〈그림 4-9〉 실크/폴리에스터 평직 소재 81

〈그림 4-2〉 평직 노일실크 81

〈그림 4-10〉 실크면 혼방의 작은 격자모양 자카드 81

〈그림 4-4〉 화조 문양의 실크 81

〈그림 4-11〉 송나라 때의 포 82

〈그림 4-12〉 오른쪽 여밈과 끈을 묶는 한푸 82

〈그림 4-13〉 한푸의 방수 82

〈그림 4-14〉 주름이 있는 한푸 82

〈그림 4-15〉 실크울 자카드 88

〈그림 4-16〉 실크울 트윌 88

〈그림 4-17〉 라이크라실크 파유 88

〈그림 4-18〉 폴리에스터 자카드 88

〈그림 4-19〉 송나라 때의 반비 88

〈그림 4-20〉 한푸의 배자 88

〈그림 4-21〉 한푸의 밑단 라인 88

〈그림 4-22〉 끈을 사용하는 한푸 88

〈그림 4-23〉 흑색의 평직 노일실크 94

〈그림 4-24〉 나일론 실크 평직 혼방소재 94

〈그림 4-25〉 능직 노일실크 94

〈그림 4-26〉 기하학적인 문양의 실크 94

〈그림 4-27〉 한푸의 상의인 삼 94

〈그림 4-28〉 한푸인 심의 94

〈그림 4-29〉 청색 물결 자카드 100

〈그림 4-30〉 녹색 물결 자카드 100

〈그림 4-31〉 면실크 혼방의 격자모양 자카드 100

〈그림 4-32〉 명나라 때 한푸의 상의 101

〈그림 4-33〉 한푸에 곡선모양의 밑단 라인 101

〈그림 4-34〉 울실크 자카드 107

〈그림 4-35〉 울실크 라이크라 능직 혼방 트윌 107

〈그림 4-36〉 적색 면실크 자카드 107

〈그림 4-37〉 직선 옷깃을 가진 한푸 107

〈그림 4-38〉 광수가 있는 한푸 107

〈작품 1-1〉 작품 1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71

〈작품 1-2〉 작품 1의 앞면 72

〈작품 1-3〉 작품 1의 뒷면 72

〈작품 1-4〉 작품 1의 오른쪽 옆선 디테일 73

〈작품 1-5〉 작품 1의 소매 디테일 73

〈작품 2-1〉 작품 2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78

〈작품 2-2〉 작품 2의 앞면 79

〈작품 2-3〉 작품 2의 뒷면 79

〈작품 2-4〉 작품 2의 끈이 묶은 모습 80

〈작품 2-5〉 작품 2의 맞주름 디테일 80

〈작품 2-6〉 작품 2의 소매 디테일 80

〈작품 3-1〉 작품 3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85

〈작품 3-2〉 작품 3의 앞면 86

〈작품 3-3〉 작품 3의 뒷면 86

〈작품 3-4〉 작품 3 원피스의 앞면 87

〈작품 3-5〉 작품 3 원피스의 뒷면 87

〈작품 4-1〉 작품 4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91

〈작품 4-2〉 작품 4의 앞면 92

〈작품 4-3〉 작품 4의 뒷면 92

〈작품 4-4〉 작품 4의 소매와 턱(tuck) 93

〈작품 5-1〉 작품 5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97

〈작품 5-2〉 작품 5의 앞면 98

〈작품 5-3〉 작품 5의 뒷면 98

〈작품 5-4〉 작품 5의 옆면 99

〈작품 5-5〉 작품 5의 안단 99

〈작품 6-1〉 작품 6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도식화 104

〈작품 6-2〉 작품 6의 앞면 105

〈작품 6-3〉 작품 6의 뒷면 105

〈작품 6-4〉 작품 6의 몸판 디테일 106

〈작품 6-5〉 작품 6의 소매 디테일 106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과 중국 한족 전통복식인 한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족 전통복식의 모티브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고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을 활용하여 총 6벌의 패션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은 첫째, 중국 전통문양과 전통자수를 활용하여 전통적 요소를 재현한다. 둘째, 영화 의상과 배경이 형성한 강렬한 색채 대비이다. 셋째, 현대인의 미적 기준을 맞추기 위해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변형한다. 넷째, 시각적 충격 효과와 전통적 복식미를 표현하는 과장된 복식 형태이다. 다섯째, 이질적인 소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중국 한족 전통복식인 한푸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푸의 종류는 크게 '상의하상' 과 '심의' 로 나뉘어 있고, 오른쪽 여밈과 끈을 묶는 것이 한푸의 주된 특징이다. 둘째, 한푸의 복종은 주로 면복, 포, 상의, 하상, 장의로 나뉜다. 셋째, 한푸의 구성은 주로 옷섶, 소매, 옷자락, 옷깃, 테두리의 다섯 부분으로 구분된다. 넷째, 한푸의 색채는 오행사상의 영향을 받아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의 오행색이 많이 사용된다. 다섯째, 한푸의 문양은 식물, 동물, 인물, 사물로 나눌 수 있으며. 한푸에 사용된 소재는 주로 견직물, 삼베, 면직물, 퍼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중국 시대극 영화의상의 미적 특징인 전통적 요소의 재현, 강렬한 색채의 대비,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 변형, 과장된 복식의 형태, 이질적인 소재의 결합을 반영하여 한푸 스타일의 현대적인 패션디자인 작품을 실물로 제작하였다.

첫째, 원피스 〈작품 1〉은 전통문양을 변형한 화조 문양 소재를 사용하였다. 한푸의 띠를 두른 형태를 원피스의 오른쪽 앞판을 표현하였고, 한푸의 상의인 반비의 소매 형태를 변형하여 소매 덧장을 달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스커트 부분의 오른쪽 옆선에 곡선의 무를 달아 과장된 입체 형태를 만들었다. 둘째, 코트 〈작품 2〉는 〈작품 1〉과 같은 화조 문양 소재를 사용하였고, 한푸의 오른쪽 여밈과 끈 여밈을 활용하여 코트의 앞여밈을 끈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푸 소매인 방수의 형태를 적용하여 사각형 면분할로 소매 모양을 현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작품 3〉은 망토와 스트레이트 실루엣의 원피스로 구성하였다. 망토는 한푸의 반비 형태를 참고하여 어깨의 선을 직선의 각진 형태가 되도록 하였으며, 망토의 뒷면에 한푸의 특징인 주름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한푸인 심의의 밑단 라인을 변형한 원피스 앞판의 햄라인은 좌우가 비대칭적인 형태로 표현하였고, 한푸의 끈 형태를 활용하여 원피스의 뒤판에 사용하였다. 넷째, 〈작품 4〉는 박스 핏의 상의와 세미타이트 스커트로 구성되었으며, 전통적인 기하학 문양의 소재를 스커트에 사용하였다. 한푸의 상의인 삼의 형태를 변형하여 소매 모양을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으며, 주름 효과를 활용하여 상의 앞판에 턱 작업을 하였다. 또한 스커트는 심의의 형태를 활용해서 과장된 입체 형태로 표현하였다. 다섯째, 코트 〈작품 5〉는 〈작품 4〉와 같은 전통적인 기하학 문양의 소재를 사용하였다. 한푸에 나타난 곡선 라인을 변형하여 코트 뒤판의 밑단 라인을 곡선으로 제작하였으며, 한푸의 소매인 비파수의 형태를 변형하여 제작하였다. 여섯째, 원피스 〈작품 6〉은 한푸의 실루엣을 기본으로 하여 다자인을 변형하였고 한푸의 중요한 특징인 주름을 활용하여 원피스의 앞판과 뒤판에서 모두 적용하였다. 또한 한푸의 소매인 광수의 곡선 모양을 참고하여 소매 형태를 나타내었고 소맷부리로 가면서 직선의 형태가 나타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