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해제 9

1. 머리말 9

2. 제갈하백의 생애 10

3. 《담녕집》의 구성 15

4. 《담녕집》의 내용 18

5. 《담녕집》의 학술적 의의 26

6. 국역의 범위 26

II. 《담녕집》 권 1 역주(譯註) 〔卷之一〕 28

1. 갈군에게 답장함 28

1) 첫 번째 편지 28

2) 두 번째 편지 28

2. 청단의 부모님 모시는 갈군에게 답장함 29

1) 원계에서 답장함 29

2) 두 번째 편지 30

3) 세 번째 편지 30

3. 부모님 모시는 세량에게 답장함 31

4. 갈세량군을 보내면서 쓴 글 33

5. 다섯 개의 조목을 써서 갈군을 보냄 34

6. 갈석사가 서실로 돌아가는 길에 공경히 줌 35

7. 청단으로 돌아가는 갈세량에게 써서 줌 35

8. 송별하며 위로하는 말 37

9. 선비 갈세량 담녕와에 명을 함 39

10. 담녕와기 43

11. 담녕와 서문 47

12. 신독 두 글자를 써서 떠나는 길에 줌 48

13.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갈선비에게 씀 48

1) 첫 번째 편지 48

2) 두 번째 편지 49

3) 세 번째 편지 50

14. 일곱 개의 절목에 대해 물음 51

1) 명덕이 리인가? 기인가? 리기를 겸한 것인가? 51

2) 인심과 도심 52

3) 사단칠정 53

4) 본연의 성과 기질의 성 54

5) 인물의 성품은 같은가? 다른가? 54

6) 태극과 음양은 혼연한 하나의 사물인가? 아니면 두 개의 사물인가? 55

7) 리기의 선후 56

15. 학자는 평생 주장하고 있어야 할 책이 있으니 마땅히 어떤 책에 중심을 두어야 합니까? 57

16. 기질과 형질의 변석 59

17. 부모님 모시는 세량에게 보내는 답장 63

18. 부모님 모시는 분에게 답장함 64

19.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세량 보십시오 65

20.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분에게 답장함 65

21.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분에게 답장함 66

22. 청단에 있는 부모님 모시고 있는 분에게 답장함 67

23. 부모님 모시고 병간호 하며 공부하는 담녕에게 보냄 68

24. 위로의 편지 68

25. 안렴사 이도재의 편지 69

26. 위로의 편지 70

27. 청단 효자에게 답장을 드림 71

28. 담녕에게 답장함 73

29. 학문을 하는 담녕에게 73

30. 학문을 하는 담녕에게 74

31. 부모님 모시는 담녕에게 75

32. 학문을 닦는 제갈선비에게 76

33. 두 번째 답장 76

34. 부모님 모시는 담녕에게 답장함 77

35.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제갈담녕에게 78

36. 경서를 공부하는 담녕에게 답장함 79

37.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는 담녕에게 답장함 80

38. 일가 하백 세량을 옥과로 보내면서 지어준 글 81

39. 제갈석사에게 83

III. 《담녕집》 권 2 역주(譯註) 〔卷之二〕 84

1. 족보 발문 84

2. 세적 발문 85

3. 평택임씨육효정려기문 89

4. 담녕와 기문 91

5. 독서명 93

6. 행화를 사랑하는 설 95

7. 구재서문 96

8. 흥학당 기문 98

9. 곡은 서문 100

10. 학문에 대한 해명 101

11. 사학을 물리치는 글 104

12. 안동김씨 삼절록에 기록한 짧은 글 107

13. 이선비에게 신언함 110

14. 계안 서문 111

15. 임선비에게 신언함 112

16. 선비 홍사중에게 답하는 편지 113

17. 안렴사에게 답하는 편지 114

18. 옥산자가 월랑에 돌아갈 때 써 줌 115

19. 분석기 116

20. 취죽기 119

IV. 《담녕집》 권 3 역주(譯註) 〔卷之三〕 121

1. 부의당 기문 121

2. 충무후 선조 봉안문 〔忠武侯先祖奉安文〕 122

3. 관찰사에게 답하는 편지 123

4. 보민향약 서문 124

5. 관찰사에게 답하는 편지 26

6. 관찰사에게 답하는 편지 127

7. 관찰사에게 답하는 편지 128

8. 안진사 어른에게 답하는 편지 129

9. 금양서실 기문 130

10. 영유와 옥과 두 사당 사적 발문 132

11. 연재 송선생 제문 〔淵齋宋先生祭文〕 134

12. 심석 송선생을 위로하는 글 137

13. 이군에게 자를 설명하여 줌 138

14. 앵무봉을 바라보며 쓴 기문 139

15. 최면암 선생을 애도하는 제문 141

16. 자식을 경계하는 글 143

17. 참봉 임옥은 기문 145

18. 고금의 소학과 대학의 가르침을 변론하는 말 146

19. 자식을 경계하는 글 149

20. 운창 박선생의 간행소에 답하는 편지 150

21. 안진사 위로의 편지에 답함 152

22. 지평 정 소송공을 애도하는 제문 〔鄭持平小松公致祭文〕 153

23. 독조대 집터에 제사지내고 고한 말 〔獨釣坮家基祭告辭〕 154

24. 독조대 기문 156

1) 또 한 번 읊음 〔又一吟〕 159

25. 부모님 모시고 공부하시는 석 선비 보십시오 159

26. 독조대 기문 160

27. 담녕집 발문 161

28. 학계조약 서문 162

29. 노송기문 163

30. 심석 송선생을 애도하는 제문 〔宋心石先生敬祭文〕 165

31. 녹실 정선생을 애도하는 제문 〔鄭綠室先生敬祭文〕 167

32. 이석 고선생을 애도하는 제문 〔高尼石先生敬祭文〕 169

33. 간죽기문 171

34. 백구가 173

35. 초헌기를 쓴 후에 적음 174

36. 송 사위에게 쓰는 편지 175

37. 대형 허병에게 답하는 편지 176

38. 해주 오씨 효행록 뒤에 씀 177

39. 계산 이선생을 애도하는 제문 〔桂山李先生敬祭文〕 179

40.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용미동 조연 도주에게 답하는 편지 181

41. 영남 산청 시천면 신천리 구미동 사문 하통육 자는 상운에게 답하는 편지 183

42. 충청도 청주 가덕면 수곡리 윤치홍 호는 해걸에게 답하는 편지 184

43. 충청도 보은 산외면 아시리 최익창 호는 월탄에게 답하는 편지 185

44. 충청도 청주 미원면 운암리 이긍민, 신양우, 권영석에게 답하는 편지 186

45. 충청북도 산외면 문암리 박정호에게 답하는 편지 187

46. 충청북도 청주 가덕면 수곡 윤세구에게 답하는 편지 188

47. 충북 청주 낭성면 이정마을 이혜구에게 답하는 편지 190

참고문헌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