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제1장 서론 9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1.2. 문헌 연구 11

1.3. 연구의 내용 14

제2장 연구 문제 및 가설 15

2.1. 연구 문제 15

2.2. 가설 15

2.2.1. VIX 지수의 종가변동률과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에 관한 가설 15

2.2.2. VKOSPI 지수와 KOSPI200 주가지수의 시가갭에 관한 가설 16

2.2.3. VIX의 종가변동률에 따른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과 장중변동률에 관한 가설 17

제3장 자료의 선정 및 연구방법 19

3.1. 자료의 선정 19

3.2. 연구방법 22

제4장 실증적 결과 24

4.1. 기초통계량 분석 24

4.2. VIX 지수의 종가변동률과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에 관한 가설 검정 25

4.3. VKOSPI 지수와 KOSPI200 주가지수의 시가갭에 관한 가설 검정 26

4.4.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과 장중변동률에 관한 가설 검정 28

제5장 결론 및 한계점 30

5.1. 결론 30

5.2. 향후 연구 31

참고문헌 32

부록 34

Abstract 38

표목차

〈표 1〉 VIX, VKOSPI 및 KOSPI200간의 상관관계분석 24

〈표 2〉 일표본 통계량 25

〈표 3〉 일표본 T-검정 25

〈표 4〉 일표본 통계량 27

〈표 5〉 일표본 T-검정 27

〈표 6〉 일표본 통계량 28

〈표 7〉 일표본 T-검정 29

〈표 8〉 종가변동률의 상승구간에 따른 + 시가갭변동률의 빈도와 평균 34

〈표 9〉 종가변동률의 상승구간에 따른 - 시가갭변동률의 빈도와 평균 35

〈표 10〉 종가변동률의 하락구간에 따른 - 시가갭변동률의 빈도와 평균 36

〈표 11〉 종가변동률의 하락구간에 따른 + 시가갭변동률의 빈도와 평균 37

그림목차

그림 3.1. VIX, VKOSPI, KOSPI 200 주가지수의 움직임 비교차트 21

초록보기

 금융시장의 세계화와 금융서비스의 발전은 세계 증시의 동조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동조화 현상을 정보전이효과(Information Spillover effect)에 대해서 변동성지수와 시가갭(Opening-Gap)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가설은 VIX 지수의 변동이 VKOSPI 지수의 시가갭에 미치는 영향과 시가갭에 따른 장중 봉의 움직임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전일 VIX 지수의 종가변동률은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고 VKOSPI 지수의 시가갭과 KOSPI200 주가지수의 시가갭도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둘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VIX 지수의 종가변동률이 VKOSPI 지수의 시가갭변동률에 영향을 미칠 때 봉의 장중움직임은 VIX의 종가변동률이 상승할 경우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VIX지수의 종가변동율에 따른 투자자들의 심리가 시가에 충분히 반영되어 장중 큰 변동을 보이지 않는다고 해석 가능할 것이다. 반대로 VIX지수의 종가변동율이 하락하여 VKOSPI 지수의 변동성이 상승하거나 하락한다면 장중 음봉과 관련이 있다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