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II. 문헌고찰 15

1. 칠면초(Suaeda japonica Makino) 15

2. 항산화제 15

2.1. 항산화제의 정의 15

2.2. 항산화제의 기능 15

2.3. 항산화제의 종류 16

3. 항산화활성 측정 방법 16

3.1. Hydrogen atom transfer (HAT) 측정 17

3.2. Electron Transfer (ET) 측정 17

4.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18

4.1. 활성산소종 18

4.2. 활성산소종의 생성 및 역할 18

4.3.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19

III. 재료 및 방법 20

1. 실험재료 20

2. 추출물 제조 20

3. 일반성분 측정 21

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21

5. 총 페놀 함량 측정 21

6. 항산화활성 측정 22

6.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22

6.2. ABTS 라디칼 소거활성 22

6.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22

6.4.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23

7. HepG2 세포에서 칠면초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 억제활성 측정 24

7.1. HepG2 세포배양 24

7.2. MTT 분석을 통한 세포생존율 24

7.3.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 24

7.4.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25

8. 통계처리 26

IV. 결과 및 고찰 27

1. 일반 성분 27

2. 추출 수율 28

3.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 29

4. 항산화 활성 32

4.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32

4.2. ABTS 라디칼 소거활성 35

4.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38

4.4.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40

5. HepG2 세포에서 칠면초 순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 억제활성 43

5.1. MTT 분석을 통한 HepG2 세포 생존율 43

5.2.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 45

5.3. 항산화효소 활성 47

6. 상관관계 분석 55

6.1.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 55

6.2.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세포 내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 57

V. 요약 및 결론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9

Table 1.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27

Table 2. Extraction yields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by water and ethanol. 28

Table 3.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30

Table 4.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33

Table 5.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36

Table 6.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39

Table 7.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41

Table 8.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otal pheno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56

Table 9.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otal pheno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epG2 cell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58

Figure 1.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31

Figure 2.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34

Figure 3.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37

Figure 4.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42

Figure 5. Cell viability of H₂O₂-treated HepG2 cell by treatment with Suaeda japonica... 44

Figure 6.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y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46

Figure 7. Effect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on superoxide dismutase (SOD)... 48

Figure 8. Effect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on catalase (CAT) activity in... 50

Figure 9. Effect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on glutathione peroxidase (GPx)... 52

Figure 10. Effect of Suaeda japonica Makino sprout extracts on glutathione reductase (GR)... 54

초록보기

 칠면초 순의 100% 에탄올(100EE), 50% 에탄올(50EE), 물(WE) 추출물을 제조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activity (FRAP). oxygen radical antioxidant capacity (ORAC), HepG2 세포 생존율,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소거활성,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00EE가 6.68 mg QE/g, 50EE가 6.08 mg QE/g, WE가 3.20 mg QE/g이었고, 총 페놀함량은 100EE가 16.67 mg GAE/g, 50EE가 9.47 mg GAE/g, WE가 7.15 mg GAE/g로 총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함량은 100EE가 가장 많았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125~1000 ㎍/mL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100EE, 50EE, WE 순이었다. FRAP은 100EE가 571.5 µmol FeSO₄/g, 50EE가 340.8 µmol FeSO₄/g, WE가 253.5 µmol FeSO₄/g으로 100EE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25~1000 ㎍/mL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100EE, 50EE, WE 순이었다. ORAC는 100EE가 1307.8 µmol TE/g, 50EE가 1220.5 µmol TE/g, WE가 1159.9 µmol TE/g으로 100EE, 50EE, WE 순이었다. 칠면초 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력과 수소공여능력은 모두 100EE가 가장 높았다.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HepG2 세포에 대한 칠면초 순 추출물의 세포사멸 억제활성은 50~500 ㎍/mL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100EE가 세포생존율을 약 20% 정도 증가시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세포내 ROS 소거활성은 50~500 ㎍/mL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500 ㎍/mL에서 100EE (60.4%), 50EE (34.9%), WE (27.2%) 순이었다. 항산화 효소 중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Px), glutathione reductase (GR) 활성은 100EE, 50EE, WE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catalase (CAT) 활성은 100EE와 50EE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HepG2 세포의 SOD와 CAT 활성은 100EE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았고, GPx와 GR은 추출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칠면초 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력과 수소공여 능력은 모두 100EE, 50EE, WE 순으로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페놀 함량도 100EE가 가장 많았다. 칠면초 추출물이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HepG2 세포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및 항산화 효소활성이 모두 증가하였고 100EE, 50EE, WE 순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세포생존율도 100EE를 처리했을 때 가장 높았다. 칠면초 순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활성 및 세포의 산화스트레스 억제활성을 갖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