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선행연구 개관 10
3. 연구 내용 및 방법 11
II. 중독에 대한 일반적 이해 13
1. 중독의 정의 13
2. 중독의 유형 14
3. 중독의 특징과 원인 18
1) 중독의 특징 18
2) 중독의 원인 24
III. 중독자의 왜곡된 절정경험 29
1. 절정경험 29
1) 절정경험의 개념 29
2) 몰입(flow) 32
2. 물질중독과 절정경험 33
1) 알코올 중독과 절정경험 33
2) 니코틴 중독과 절정경험 36
3) 마약 중독과 절정경험 36
3. 행위중독과 절정경험 39
1) 도박 중독과 절정경험 39
2) 인터넷 중독과 절정경험 44
3) 성 중독과 절정경험 46
IV. 중독과 영성 51
1. A.A. 그룹의 하나님 51
1) A.A. (Alcoholic Anonymous) 모임과 12단계 프로그램 51
2) A.A.의 12단계와 12전통 52
3) A.A.의 영향력 55
4)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A.A.의 모임과 12단계의 평가와 한계점 55
2. 영성적 접근의 하나님 58
1) Gerald May의 관상적 영성(contemplative spirituality)과 중독 58
2) 중독의 개념 59
3) 중독과 은혜 60
4) May의 영성적 접근 60
5) May의 영성과 기독교 상담 61
3.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해서 만나는 하나님 63
1) 성경적 인간관 63
2) 죄로서의 중독 65
3)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 67
V. 중독자의 회복과 성숙 70
1. 하나님과의 관계회복 70
1) 회개 70
2) 고백 71
3) 용서 72
4) 기도와 성령 74
2. 자신과의 관계회복 75
3. 타인과의 관계회복 77
4. 창조세계와의 관계회복 79
VI. 결론 81
1. 요약 81
2. 결론 82
3. 제언 84
참고문헌 85
Abstract 90
현재 중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사회문화전반에 흘러가고 있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중독에서 왜곡되고 변질된 절정경험과 쾌락을 느끼면서 고통 받으며 삶이 무너진 체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중독자들의 치료와 회복을 돕기 위하여 많은 치료자들이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영성적 접근을 통합하여 보다 더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조력해 가고 있는 중이다.
특히 이러한 접근 들 중 중독 치료에 있어서 영성적 접근을 제쳐 두고 치료에 임하는 것은 중독자들의 회복을 일으키는데 큰 한계가 있음을 보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먼저 현재까지 영성적 접근 안에서 중독치료에 영향력을 주고 있는 이론들을 살펴보고 평가한 이 후 중독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 기독교의 핵심영성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영성적 접근의 적용가능성과 제한점을 논의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일 먼저 중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더불어 중독자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왜곡된 경험들에 대해서 고찰하고 영성적 차원에서 AA 그룹의 위대한 신이라 일컫는 하나님, 제럴드 메이의 중독과 은혜에서 말하고 있는 영성적 접근을 논의하여 이들의 공헌 점과 제한점을 평가한 후 기독교의 핵심 영성인 복음을 제시하는 접근을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밝혔다.
제1장에서는 최근 대두 되고 있는 중독치료에 대한 접근 중 영성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이 왜 있어야 하는가에 대한 목적을 논의 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독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서술하고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독자들이 다양한 중독의 경험에서 겪게 되는 왜곡된 절정경험에 대한 논의를 함으로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이 중독자들의 삶에 얼마나 큰 부정적인 영향력을 주는지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일반 영성적 접근을 논의하고 이들의 공헌 점과 한계점을 평가한 후 기독교의 핵심영성을 제시함으로써 중독자들의 치료와 회복에 적용가능성을 피력하였다.
제5장에서는 기독교의 핵심영성인 복음을 통하여 만난 하나님으로 인해 회복되어진 중독자들이 삶의 전반적인 부분에 있어서 관계의 회복을 이루어 건강한 삶을 영위해 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의 결과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피력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중독치료에 있어서 영성적 접근이 대두되는 가운데 현재까지 가장 영향력을 주고 있는 AA 그룹의 위대한 신과 제럴드 메이의 영성적 접근에 대해서 논의하고 평가한 이 후 기독교의 핵심영성인 복음을 제시함으로써 진정한 영성의 힘이 무엇인지를 기독교 상담학적 입장에서 깊이 있게 논의한 것이다.
또한 기독교상담 내에서도, 기독교 상담자들이 중독치료에 있어서 일반 영성적 접근의 한계를 각성하고 기독교의 핵심영성인 복음의 능력이 중독자들의 치유와 회복에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선택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