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3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3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14
3. 선행연구의 검토 15
II. 모타운음악의 역사와 주요 아티스트 17
1. 모타운레코드의 역사 17
2. 모타운과 소울 22
3. 모타운의 주요 아티스트와 작품 26
1) 다이애나 로스 (Diana Ross) 26
2) 슈프림스 (The Supremes) 27
3) 템테이션스 (The Temptations) 28
4) 포 탑스 (The Four Tops) 29
5) 미라클스 (The Miracles) 30
6) 잭슨 파이브 (Jackson 5) 31
7) 보이즈 투 맨 (Boyz II Men) 32
8) 브라이언 맥나이트 (Brian McKnight) 33
9) 그 외의 아티스트 33
III. 모타운음악의 분류와 특징 36
1. 모타운음악의 분류 36
1) 음악유형에 따른 분류 36
2) 레이블(label)에 따른 분류 36
3) 아티스트 구성에 따른 분류 37
2. 모타운음악의 특징 39
1) 악기 편성상의 특징 40
2) 템포상의 특징 42
3) 리듬적 특징 43
4) 가스펠음악적인 특징 46
IV. 주요 아티스트 작품 분석 49
1. 마빈 게이에 대하여 49
1) 음악적 배경 49
2) 작품 활동 52
2. 마빈 게이의 작품 분석 54
1) 〈What's Going On〉(1971) 작품 분석 54
2) 〈Let's Get It On〉(1973) 분석 61
3. 스티비 원더에 대하여 67
1) 음악적 배경 67
2) 작품 활동 70
4. 스티비 원더의 작품 분석 73
1)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1972) 분석 73
2) 〈Isn't She Lovely〉(1976) 분석 81
V. 결론 87
참고문헌 89
Abstract 93
〈그림1〉 베리 고디 17
〈그림2〉 노먼 휘트필드 19
〈그림3〉 H-D-H 트리오 23
〈그림4〉 펑크 브라더스와 스티비 원더 24
〈그림5〉 다이애나 로스 26
〈그림6〉 슈프림스 27
〈그림7〉 템테이션스 28
〈그림8〉 포 탑스 29
〈그림9〉 미라클스 30
〈그림10〉 잭슨 파이브 31
〈그림11〉 보이즈 투 맨 32
〈그림12〉 브라이언 맥나이트 33
〈그림13〉 마빈 게이 50
〈그림14〉 앨범 《What's Going On》의 자켓 사진 51
〈그림15〉 스티비 원더 67
〈그림16〉 앨범 《Fingertips》의 자켓 사진 68
〈그림17〉 무그 신디사이져 69
〈악보1〉 8th 리듬에서의 기본 드럼 패턴 43
〈악보2〉 8th 파운딩 리듬에서의 기본 드럼 패턴 44
〈악보3〉 1960년대 모타운음악에서 나타나는 셔플 리듬 드럼 악보 45
〈악보4〉 가스펠음악 〈Ride Up in the Chariot〉 보컬 선율 악보 46
〈악보5〉 The Four Tops의 〈Reach Out, I'll Be There〉 보컬 선율 악보 47
〈악보6〉 작품 〈What's Going On〉의 verse 1부분 보컬 선율 악보 57
〈악보7〉 작품 〈What's Going On〉의 chorus 1부분 보컬 선율 악보 58
〈악보8〉 E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 58
〈악보9〉 작품 〈What's Going On〉의 주요 드럼 패턴 59
〈악보10〉 작품 〈Let's Get It On〉의 verse 부분 보컬 선율 악보 63
〈악보11〉 Eb 메이저 펜타토닉 스케일 64
〈악보12〉 작품 〈Let's Get It On〉의 chorus 부분 보컬 선율 악보 64
〈악보13〉 작품 〈Let's Get It On〉의 주요 드럼 패턴 65
〈악보14〉 작품 〈Let's Get It On〉 제77~80마디 드럼 패턴 65
〈악보15〉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74
〈악보16〉 Cole Porter의 〈Night & Day〉에서 사용된 모달 인터체인지 75
〈악보17〉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76
〈악보18〉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77
〈악보19〉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77
〈악보20〉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 B 부분의 멜로디선율 78
〈악보21〉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의 주요 드럼 패턴 79
〈악보22〉 작품 〈You are the Sunshine of My Life〉의... 80
〈악보23〉 작품 〈Isn't She Lovely〉의 A 부분 보컬 선율 악보 83
〈악보24〉 작품 〈Isn't She Lovely〉의 B 부분 보컬 선율 악보 84
〈악보25〉 작품 〈Isn't She Lovely〉 제12~16마디 주선율소재인... 84
〈악보26〉 작품 〈Isn't She Lovely〉의 주요 드럼 패턴 84
현재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 대중음악계에서도 소울과 알앤비 음악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울과 알앤비 음악의 중심이 되어 두 음악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친 모타운음악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제시한 후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모타운음악의 역사와 주요 아티스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모타운음악의 유형을 분류하고 모타운음악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모타운의 주요 아티스트인 마빈 게이와 스티비 원더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모타운음악은 흑인 영가에서부터 이어져 온 블루스와 가스펠음악의 특징들과 재즈 음악의 특징들을 포함했다. 선창과 후창으로 주고 받는 보컬 형식인 콜 앤드 리스폰스·탬버린의 사용·펜타토닉 스케일을 사용한 선율적 특징·재즈의 주요 악기였던 색소폰과 비브라폰의 사용·브라스 섹션과 스트링 앙상블이 포함된 편곡은 모타운음악이 블루스와 가스펠의 영향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또한 초기의 모타운음악은 대부분의 작품에서 BPM 100 이상의 빠른 템포를 사용하였고 1박과 4박에 강세를 주는 8th 파운딩 리듬, 8분 음표에 바운스를 주는 8th 셔플 리듬이 사용되었다. 논문의 작품 분석 대상인 마빈 게이와 스티비 원더의 1970년대 주요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로 마빈 게이의 작품들은 초기의 모타운음악 특징인 블루스와 가스펠 적인 요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티비 원더의 작품들은 마빈 게이의 작품과는 대조적으로 무그 신디사이져를 사용하는 새로운 시도와 단조로운 악기 편성, 그리고 재즈적인 화성을 사용하며 기존의 모타운음악과 차이를 보여주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